장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Huzzlet the 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김수영 - 김수영 (1921년) 문서로 링크 바꿈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53번째 줄:
초명은 '''장지태'''(張志兑), 아호(雅號)는 운석(雲石), 세례명은 요한(Johan), 영문명은 '''John Myeon Jang'''·존 면(John Myeon), 일본식 이름은 '''다마오카 쓰토무'''(玉岡 勉).
 
[[종로구|서울 종로]]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에는 [[천주교]] 선교 사목 활동과 언론 활동, [[용산]][[신학교소|신학교]]용산신학교, [[동성고등학교 (서울)|동성상업고등학교]], 계성국민학교, 혜화유치원 등에서 교편을 잡았고, 광복 이후 정계에 투신하여 1946년 [[민주의원]] 의원, 1947년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 의원, [[1948년]] [[대한민국]]의 제헌 국회의원<ref>1949년 2월에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로 부임하였고, 1949년 3월에는 종로구 을 선거구에 대한 보궐선거가 치러졌다는 기록으로 보아 1949년 2월 경에 사임한 것으로 추정된다.</ref>에 당선되었으며, 1948년 12월 7일부터 12월 12일까지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에서 열리는 제3차 [[UN 총회]]에 한국대표단 수석대표로 파견되어 국제사회에 대한민국 정부의 승인을 얻어냈다.
 
[[1948년]] 제3차 UN 총회 한국 대표단 수석대표와 [[1951년]] 10월 제6차 UN 총회 파견 수석대표로 다녀왔으며, [[대한민국의 대통령|대통령]] [[바티칸]]특사를 거쳐 제1대 [[주미 한국대사]] 등을 지내고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미국]]군과 UN군의 한국전 참전을 호소하여 성사시켰다. [[1950년]] 8월과 9월 UN 안보리에서 ‘[[한국 전쟁]]은 내전이며 [[미국]]과 [[남한]]의 북침’이라는 [[소비에트 연방|소련]] 측의 주장을 논파하기도 하였다.
 
[[1946년]] [[남조선과도입법의원|과도입법의원 의원]] 재직 중에는 국대안(국립대학교 설치안)을 발의하여 성사시켰고, [[공창제]] 폐지를 주창하여 가결시켰다. [[1948년]] [[UN 총회]]에 [[대한민국]]의 승인을 요청하는 한국 대표단의 수석대표로 회의에 참석하여 국제사회에 대한민국 정부의 승인을 얻어냈고, [[한국 전쟁]] 때는 UN과 국제사회에 대한민국을 도와줄 것을 호소하여 지원을 이끌어냈다. [[호헌동지회]]의 조직과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민주당]] 결성에 참여하였다. 군사정권에 실각한 이후 [[1990년대]]부터 재평가 여론이 나타나고 있으며 [[199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1966년]] [[6월 4일]]에 자신의 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에서 [[간장염]]과간장염과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인하여 66세로 급서한 장면은 청렴하고 깨끗한 정치가라는 평가가 자자했다. 그의 본관은 [[인동 장씨|인동]](仁同)으로 [[아명|초명(初名)]]은 '''장지태'''('''張志兑'''), [[호 (이름)|호]]는 운석(雲石)이다. 종교는 천주교로서 세례명은 ‘[[요한]]’(John)이며, 따라서 장 요한으로도 불리고, 장면 스스로도 [[영문]]명은 '''존 면'''(John Myeon)이라 했다. 일제 강점기의 [[창씨개명]]은 ‘다마오카 쓰토무’({{lang|ja|玉岡 勉|}})이다. [[한성부]]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중화군|평안남도 중화]]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인천광역시|경기도 인천]]에서 성장하였다.
 
== 생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