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749번째 줄:
 
=== 언론과의 갈등 ===
[[민족일보]]는 [[2월 8일]]에 체결된 [[한미경제원조협정]]이한미경제원조협정이 [[2월 28일]] 국회에 통과되기까지 7회에 걸쳐 사설을 통해 집중타를 가하였다. 비판이 격렬하자 장면은 민족일보가 정권을 무너뜨린다고 생각했다.<ref name="도각공세1">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6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6) 254페이지</ref> 장면의 공보 비서였던 [[송원영 (1928년)|송원영]]은 회고록에서 민족일보는 창간 직후부터 계속 도각(倒閣) 공세를 폈다고 회고했다.<ref name="도각공세1"/>
 
[[1961년]] [[2월]] 말 [[대한민국 국무원|국무원]] 사무처에서 장면 정권에 대한 비난을 계속하던 민족일보에 대한 인쇄중단을 지시했다. 이는 연일 장면 정부를 비난하는 논설을 내보내자 공보 비서 송원영을 보내서 기사를 빼달라고 사정하기도 했으나 호응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민족일보는 곧 [[장면 정권|제2공화국]]의 언론 탄압이라며 다시 공세를 퍼부었다.
 
한편 측근이자 사돈인 [[경향신문]]의 [[한창우]] 등은 그에게 인사청탁을 했으나 그는 인사청탁을 거절하였다. 비서관이었던 [[박종률]]의박종률의 증언에 의하면 “당시 한창우 사장은 장면 총리에 대해 심기가 불편했지요. 주일공사 등에 대한 인선건이 받아들여지지 않았어요. 그래서 불평도 많이 하고 그랬지요. 당시 경향신문이 장면 정권에 대해서도 혹독하게 비판했어요. 사돈간 치고는 너무 심하다 할 정도로 말입니다”라고 회고했다.<ref>정대철 《장면은 왜 수녀원에 숨어 있었나》 (동아일보사, 1997) 320페이지</ref>
 
=== 4.19 관련자에 대한 미온적인 처벌 문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