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309번째 줄:
[[파일:South Vietnam Map.jpg|섬네일|오른쪽|250px|1967년 [[남베트남]] 군사 구역]]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존 F. 케네디]]가 대통령이 되었다. 전임 대통령 아이젠하워가 베트남과 라오스, 유럽, 라틴아메리카의 상황에 대해 언급하며 “그가 보는 것보다 아시아(의 문제)는 더 크다.”고 경고하였지만<ref name="Karnow p. 264">{{harvnb|Karnow|1991|p=264}}</ref>, 케네디는 “얼마를 지불하든, 져야할 짐이 얼마이든, 얼마나 어려운 일이 닥치든, 모든 친구를 지원하고 자유의 승리와 생존을 확약한다.”는 야심만만한 공약을 발표하였다.<ref>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http://avalon.law.yale.edu/20th_century/kennedy.asp Inaugural Address of John F. Kennedy].''</ref> 1961년 6월 케네디는 소련의 [[니키타 흐루쇼프]] 수상과 [[회동]]을회동을 갖고 베트남 문제를 논의하였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하였다.
 
케네디 정부는 [[트루먼]] 정부와 아이젠하워 정부 이래 계속 된 냉전을 바탕으로 한 외교 정책의 핵심 사항들을 유지하였지만 여러 방면에서 실패를 거듭하고 있었다. 특히, 1961년 미국 정부는 [[피그스 만 침공]]의 실패, [[베를린 장벽]]의 형성, [[파테트라오]] 결성 등의 삼면 위기 대처에 실패하였다.<ref name="Karnow p. 265">{{harvnb|Karnow|1991|p=265}} – suggested that "Kennedy sidestepped Laos, whose rugged terrain was no battleground for American soldiers."</ref> 이러한 실패 때문에 케네디는 공산주의 확산을 더 이상 막지 못할 경우 미국에 대한 평판과 동맹들의 신뢰가 낮아질 것이라 여겼다. 케네디는 베트남에서 공산주의가 승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모래 위에 선을 긋기”로 결심하였다. 케네디는 니키타 흐루쇼프를 만난 빈 회동에서 돌아온 직후, [[뉴욕 타임스]]의 제임스 레스턴에게 “지금 우리는 우리 힘이 신뢰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는 문제를 갖고 있고, 베트남이 바로 그런 곳이다.”라고 말하였다.<ref>[http://mcadams.posc.mu.edu/goldzwig.htm The case of John F. Kennedy and Vietnam Presidential Studies Quarterly] {{웨이백|url=http://mcadams.posc.mu.edu/goldzwig.htm |date=20180210110555 }}.</ref><ref>Mann, Robert. ''A Grand Delusion'', Basic Books, 2002.</ref> 케네디 정부는 전임 아이젠하워 정부가 베트남의 문제를 남북간 대결로 몰고가려 한 “단순화 전략”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활동으로 실패하였다고 보고, 전쟁의 상황에 따라 선전포고 없는 대게릴라 전쟁부터 시작하여 국지전, 통상전, 전술 핵무기 사용으로 전쟁 수위를 끌어 올리는 “유동성 대응 전략”으로 전략을 수정하였다.<ref>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978-89-7464-597-7}}, 491쪽</ref>
 
케네디의 남베트남 정책은 지엠의 군대가 스스로 게릴라를 완전히 섬멸하여야 한다는 가정에 기반한 것이었다. 케네디는 미군 전투 부대의 파병에 부정적이었는데, “큰 규모의 파병은 군사적 충돌을 일으킬 수 밖에 없고, 결국 정치적으로 해결은 어려워져 장기적으로는 군사 점령을 지속하게”될 것이라 보았기 때문이다.<ref>U.S. Department of Defense, ''U.S.-Vietnam Relations'', vol. 3, pp. 1–2.</ref> 그러나, 남베트남 군대는 형편없는 지경이었다. 무능한 지휘부, 부패, 그리고 정치적 거래가 남베트남 군과 정부의 핵심에서부터 만연해 있었다. 1961년 5월, 부통령 [[린던린든 B. 존슨]]은 사이공을 방문한 자리에서 “지엠은 아시아의 윈스턴 처칠”이라 추켜세웠다.<ref name="Karnow p. 267">{{harvnb|Karnow|1991|p=267}}</ref> 왜 그런 말을 했냐는 질문에 그는 “거기에 우리 편은 지엠 뿐”이라고 답했다.<ref name="Karnow p. 230"/>
 
케네디의 중요한 관심사 가운데 하나는 소련의 우주 미사일 프로그램이 미국의 것을 앞설지 모른다는 것이었다. 장거리 미사일의 수준은 미국과 소련이 대등하였지만, 케네디는 우주 공간을 군사화하여 [[제3 세계제3세계]]에서 일어나는 공산주의 무장 투쟁에 대응하는 것에 관심을 보였다. 베트남의 게릴라들은 프랑스 정규군을 상대로 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이미 전선의 후방을 교란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었기 때문에, 케네디는 [[미국 육군 특수부대]]와 같은 특수전 부대를 이용하여 특정 전술 목표에서 소규모 전투를 치르고 전장을 빠져나오는 “브러쉬 파이어” (Brush fire)전술이 주효할 것이라고 여겼다.
 
케네디의 고문이었던 [[맥스웰 D. 테일러]]와테일러와 [[월트 휘트먼 로스토우]]는로스토우는 미군을 홍수 방제 인원으로 위장시켜 남베트남에 파병하자고 제안하였다. 케네디는 이 제안을 거절하였지만 남베트남에 군사고문을 증파하였다. 1962년 4월 존 케네스 갈브레이스는 케네디에게 “우리가 프랑스 군을 대체한 식민지 점령군이 되면 프랑스군처럼 피를 흘리게 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였다.<ref>John Kenneth Galbraith. "Memorandum to President Kennedy from John Kenneth Galbraith on Vietnam, 4 April 1962." ''The Pentagon Papers.'' Gravel. ed. Boston, Massachusetts Beacon Press, 1971, vol. 2. pp. 669–671.</ref> 1963년, 남베트남에는 16,000 명의 미군 병사가 주둔하고 있었는데, 이는 아이젠하워가 권고한 900명을 훨씬 웃도는 것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www.swarthmore.edu/library/peace/conscientiousobjection/OverviewVietnamWar.htm |제목=Vietnam War |publisher=Swarthmore College Peace Collection |ref=harv |확인날짜=2012-12-08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803124531/http://www.swarthmore.edu/library/peace/conscientiousobjection/OverviewVietnamWar.htm |보존날짜=2016-08-03 |url-status=dead }}</ref>
 
[[전략촌 (베트남 전쟁)|전략촌]]은전략촌은 1961년부터 세워졌다. 미국과 남베트남이 함께 추진한 전략촌은 농촌 인구를 일정 지역으로 이주시켜 게릴라와 주민을 분리하고 지방에 대한 정부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전략촌이 세워진 뒤 얼마지나지 않아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활동가들이 전략촌에 잠입하기 시작하였다. 지엠 정권의 전략촌 담당자였던 [[팜응옥타오]]는팜응옥타오는 공산주의자들이 가톨릭 교인으로 위장 침투하여 베트남 공화국을 안쪽부터 파괴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지엠 정권이 토지 개혁을 무산시킨 뒤 농민들은 막대한 지대를 지주에게 내고 있었기 때문에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지지하게 되었다.
 
1962년 7월 23일, 남베트남과 북베트남,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미국을 포함한 14개국이 라오스의 중립을 약속하는 조약을 체결하였다.<ref name=laos35k>[http://www.answers.com/topic/international-agreement-on-the-neutrality-of-laos-35k International Agreement on the Neutrality of Laos].</ref> 캄보디아의 [[시아누크]] 국왕 역시 중립을 표방하고 있었기 때문에, 베트남 주변국의 상황은 북베트남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327번째 줄:
 
[[파일:Corpse of Ngô Đình Diệm in the 1963 coup.jpg|섬네일|쿠데타 뒤 총격을 받아 사망한 [[응오딘지엠]] ]]
1963년 1월 2일 [[압박 전투]]에서전투에서 350 명 규모의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게릴라 부대가 1,500~2,000 명 이상의 남베트남군을 상대하여 승리하였다.<ref>Neil Sheehan (1989) ''A Bright Shining Lie: John Paul Vann and America in Vietnam''. New York, Vintage: 201–66.</ref> 남베트남군을 지원하던 미군은 8대의 APC 장갑차와 15대의 헬기(10대는 치누크 헬기였고, 나머지 5대는 UH-1 헬기였다.)를 지원해줬다. 이 전투에서 지엠의 총애를 받던 후인반까오(Huỳnh Văn Cao) 장군이 지휘하는 베트남 4군은 크게 패하였다. 압박 전투 당시 남베트남군 측에서는 83명 이상이 전사하고, 미군 헬기 5대와 APC 장갑차 3대가 파괴됐던 데에 비해, 베트콩측의 전사자는 18명이었다. 까오는 능력보다는 가톨릭 신자라는 종교적 배경때문에 발탁된 인물로, 주된 업무는 쿠데타를 방지하는 것이었다. 까오는 게릴라의 공격을 받자 도망가기 바빴다. 워싱턴의 정책결정자들은 지엠 정권이 쿠데타를 억누르는 데 온 힘을 쏟느라 호찌민을 상대하여 공산주의를 막는데는 역부족이라는 생각을 갖기 시작하였다. 1960년부터 1962년동안 지엠은 쿠데타가 발생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었다. [[로버트 F. 케네디]]는 “지엠은 조그만한 양보도 할 줄 몰랐다. 그는 이성을 잃은 듯 하였다.”고 기록하였다.<ref>Live interview by John Bartlow Martin. ''Was Kennedy Planning to Pull out of Vietnam?'' New York, New York. John F. Kennedy Library, 1964, Tape V, Reel 1.</ref>
 
1963년 5월 8일, [[석가탄신일]]을 맞아 [[후에]]에서 [[불교]] 신자들이 [[국제불교기]]를국제불교기를 들고 지엠정권의 불교 탄압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남베트남군이 군중들을 향해 총을 쏘았고, 9명이 사망하였다. [[후에 펏단 총격 사건]]으로사건으로 지엠 정권에 대한 불교계의 분노가 폭발하였다. 지엠 정권은 애초부터 가톨릭에 우호적인 종교정책을 펼치고 있었고, 특히 지엠의 형 [[피에르 마르탱 응오딘툭]](Pierre Martin Ngô Đình Thục)은 후에의 가톨릭 대주교였기 때문에, 후에에서는 종교와 국가가 분리되지 않는 상황이었다. 지엠 정권 기간 동안 후에에서는 가톨릭에 의해 사찰과 석탑이 파괴되는 일이 빈번하였고 석가탄신일을 기념하는 행사 역시 억압받았다. 총격 사건이 일어난 후 불교 지도자들은 책임자의 처벌을 요구하였지만 지엠은 이를 거부하였다.
 
1963년 6월 11일 베트남의 승려 [[틱꽝득]]이 지엠 정권의 불교 탄압에 항의하여 분신하였다. 그러나, 지엠의 동생 [[응오딘누]]의 부인이자 독신이었던 지엠을 위해 [[퍼스트 레이디]]의 역할을 하였던 [[마담 누]]는 이를 “땡중의 바베큐 쇼”라고 비하하였고 이로 인해 불교 신자들은 지엠 정권에 저항하게 되었다.<ref>Langguth, A. J. (2000). Our Vietnam: the war, 1954–1975. New York City, New York: Simon & Schuster. {{ISBN|0-684-81202-9}}. p.216</ref> 8월 21일, 지엠의 동생 [[응오딘니우]](Ngô Ðình Nhu)의 수하인 [[레꾸앙뚱]](Lê Quang Tung) 대령이 이끄는 [[베트남공화국 특전부대]]는특전부대는 수 백 군데의 사찰을 습격하여 석탑을 파괴하였다.
 
미국은 1963년 중반부터 지엠 정권의 종교 정책 변화를 요구하였다. 미국 국방부가 지엠 정권을 계속 지지하는 동안 [[미국 국무부]]는 쿠데타도 용인할 수 있다는 태도를 취하였다. 1963년 8월 23일 미국 국무부는 주베트남 미국 대사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Henry Cabot Lodge, Jr)에게 [[전문 243]]을243을 보내 불교에 대한 탄압과 응오 일가 통치의 핵심인 비밀 경찰과 특수부대를 장악하고 있는 니우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고 지시하였다.
 
[[미국 중앙정보국]]은 지엠 정권을 제거하기로 한 계획을 접수한 뒤 베트남 군부에게 지엠이 하야하더라도 미국은 이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을 것이고 원조를 줄이지도 않을 것이라고 전하였다. 1963년 11월 2일 군부는 [[1963년 베트남 쿠데타|쿠데타]]를쿠데타를 일으켜 지엠과 그의 형제들을 체포하였다. 훗날, 맥스웰 테일러는 베트남 쿠데타 소식을 들은 케네디가 “충격을 받고 집무실에서 달려나와 얼굴을 쓸어내렸다”고 회고하였다.<ref name="Karnow p. 326">{{harvnb|Karnow|1991|p=326}}</ref> 케네디는 지엠을 죽이는 것을 승인하지 않았다. 주베트남 미국 대사는 쿠데타 지휘자를 [[주사이공 미국 대사관]]으로 초청하여 성공을 축하하고, 케네디에게는 “이로써 전쟁이 더 빨리 종식될 것”이라고 보고하였다.<ref name="Karnow p. 327">{{harvnb|Karnow|1991|p=327}}</ref>
 
쿠데타가 일어난 뒤 남베트남은 혼란에 빠졌고, 북베트남은 이 쿠데타로 남베트남 정권은 미국의 꼭두각시일 뿐인 것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주장하였다.<ref>McNamara ''Argument Without End'' p. 328.</ref>
341번째 줄:
미국 군사고문단은 남베트남군의 모든 분야에 투입되어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내전의 본질에 대해 완전히 무지하였다. 남베트남군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게릴라 사이의 내전은 본질적으로 정치 권력 투쟁으로 군사 교전은 부차적인 것이었다.<ref name="Demma">Demma, Vincent H. "The U.S. Army in Vietnam." ''American Military History'' (1989) the officia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rmy. Available [http://www.ibiblio.org/pub/academic/history/marshall/military/vietnam/short.history/chap_28.txt online].</ref> 케네디 정부는 남베트남의 안정을 확보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도록 미군의 관점을 재조정하려고 하였고, 이를 통해 주민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미군 지도부는 군사 고문이 베트남 정규군 훈련 이외의 업무를 담당하는 것에 거부감을 보였다.<ref>Douglas Blaufarb. ''The Counterinsurgency Era.'' New York, New York. Free Press, 1977, p. 119.</ref> 주베트남 미군 사령부의 폴 D. 하킨스 장군은 1963년 크리스마스까지는 완벽히 승리할 것이라고 호언 장담하였다.<ref>George C. Herring. ''America's Longest War: The United States and Vietnam, 1950–1975.'' Boston, Massachusetts McGraw Hill, 1986, p. 103.</ref> 그러나, 미국 중앙정보부는 “베트콩은 지방의 상당한 지역을 사실상 지배하고 있으며 그 영역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라고 조금은 낙관적이지 않은 전망을 하였다.<ref>''Foreign Relation of the United States, Vietnam, 1961–1963.''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1, vol. 4., p. 707.</ref>
 
준군사조직인 [[미국 중앙정보국 특무부]]는특무부는 라오스의 [[흐몽족]]을 훈련시켜 베트남에 투입하였다. 이들은 원래 라오스의 공산주의 단체인 [[파테트라오]]에 대항할 목적으로 훈련되었다.<ref>U.S. Special Forces: A Guide to America's Special Operations Units : the World's Most Elite Fighting Force, By Samuel A. Southworth, Stephen Tanner, Published by Da Capo Press, 2002, {{ISBN|978-0-306-81165-4}}.</ref> 미국 중앙정보국은 또한 [[피닉스 계획]]을계획을 운영하고 특수작전 수행을 위해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연구관찰단]]을 조직하였지만 성공적이지는 않았다.<ref>Shooting at the Moon by Roger Warner – The history of CIA/IAD'S 15-year involvement in conducting the secret war in Laos, 1960–1975, and the career of CIA PMCO (paramilitary case officer) Bill Lair.</ref>
 
== 1963년~1969년: 린든 정부의 확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