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309번째 줄:
[[파일:South Vietnam Map.jpg|섬네일|오른쪽|250px|1967년 [[남베트남]] 군사 구역]]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존 F. 케네디]]가 대통령이 되었다. 전임 대통령 아이젠하워가 베트남과 라오스, 유럽, 라틴아메리카의 상황에 대해 언급하며 “그가 보는 것보다 아시아(의 문제)는 더 크다.”고 경고하였지만<ref name="Karnow p. 264">{{harvnb|Karnow|1991|p=264}}</ref>, 케네디는 “얼마를 지불하든, 져야할 짐이 얼마이든, 얼마나 어려운 일이 닥치든, 모든 친구를 지원하고 자유의 승리와 생존을 확약한다.”는 야심만만한 공약을 발표하였다.<ref>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http://avalon.law.yale.edu/20th_century/kennedy.asp Inaugural Address of John F. Kennedy].''</ref> 1961년 6월 케네디는 소련의 [[니키타 흐루쇼프]] 수상과
케네디 정부는 [[트루먼]] 정부와 아이젠하워 정부 이래 계속 된 냉전을 바탕으로 한 외교 정책의 핵심 사항들을 유지하였지만 여러 방면에서 실패를 거듭하고 있었다. 특히, 1961년 미국 정부는 [[피그스 만 침공]]의 실패, [[베를린 장벽]]의 형성, [[파테트라오]] 결성 등의 삼면 위기 대처에 실패하였다.<ref name="Karnow p. 265">{{harvnb|Karnow|1991|p=265}} – suggested that "Kennedy sidestepped Laos, whose rugged terrain was no battleground for American soldiers."</ref> 이러한 실패 때문에 케네디는 공산주의 확산을 더 이상 막지 못할 경우 미국에 대한 평판과 동맹들의 신뢰가 낮아질 것이라 여겼다. 케네디는 베트남에서 공산주의가 승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모래 위에 선을 긋기”로 결심하였다. 케네디는 니키타 흐루쇼프를 만난 빈 회동에서 돌아온 직후, [[뉴욕 타임스]]의 제임스 레스턴에게 “지금 우리는 우리 힘이 신뢰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는 문제를 갖고 있고, 베트남이 바로 그런 곳이다.”라고 말하였다.<ref>[http://mcadams.posc.mu.edu/goldzwig.htm The case of John F. Kennedy and Vietnam Presidential Studies Quarterly] {{웨이백|url=http://mcadams.posc.mu.edu/goldzwig.htm |date=20180210110555 }}.</ref><ref>Mann, Robert. ''A Grand Delusion'', Basic Books, 2002.</ref> 케네디 정부는 전임 아이젠하워 정부가 베트남의 문제를 남북간 대결로 몰고가려 한 “단순화 전략”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활동으로 실패하였다고 보고, 전쟁의 상황에 따라 선전포고 없는 대게릴라 전쟁부터 시작하여 국지전, 통상전, 전술 핵무기 사용으로 전쟁 수위를 끌어 올리는 “유동성 대응 전략”으로 전략을 수정하였다.<ref>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978-89-7464-597-7}}, 491쪽</ref>
케네디의 남베트남 정책은 지엠의 군대가 스스로 게릴라를 완전히 섬멸하여야 한다는 가정에 기반한 것이었다. 케네디는 미군 전투 부대의 파병에 부정적이었는데, “큰 규모의 파병은 군사적 충돌을 일으킬 수 밖에 없고, 결국 정치적으로 해결은 어려워져 장기적으로는 군사 점령을 지속하게”될 것이라 보았기 때문이다.<ref>U.S. Department of Defense, ''U.S.-Vietnam Relations'', vol. 3, pp. 1–2.</ref> 그러나, 남베트남 군대는 형편없는 지경이었다. 무능한 지휘부, 부패, 그리고 정치적 거래가 남베트남 군과 정부의 핵심에서부터 만연해 있었다. 1961년 5월, 부통령 [[
케네디의 중요한 관심사 가운데 하나는 소련의 우주 미사일 프로그램이 미국의 것을 앞설지 모른다는 것이었다. 장거리 미사일의 수준은 미국과 소련이 대등하였지만, 케네디는 우주 공간을 군사화하여 [[
케네디의 고문이었던
1962년 7월 23일, 남베트남과 북베트남,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미국을 포함한 14개국이 라오스의 중립을 약속하는 조약을 체결하였다.<ref name=laos35k>[http://www.answers.com/topic/international-agreement-on-the-neutrality-of-laos-35k International Agreement on the Neutrality of Laos].</ref> 캄보디아의 [[시아누크]] 국왕 역시 중립을 표방하고 있었기 때문에, 베트남 주변국의 상황은 북베트남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327번째 줄:
[[파일:Corpse of Ngô Đình Diệm in the 1963 coup.jpg|섬네일|쿠데타 뒤 총격을 받아 사망한 [[응오딘지엠]] ]]
1963년 1월 2일
1963년 5월 8일, [[석가탄신일]]을 맞아 [[후에]]에서 [[불교]] 신자들이
1963년 6월 11일 베트남의 승려 [[틱꽝득]]이 지엠 정권의 불교 탄압에 항의하여 분신하였다. 그러나, 지엠의 동생 [[응오딘누]]의 부인이자 독신이었던 지엠을 위해 [[퍼스트 레이디]]의 역할을 하였던 [[마담 누]]는 이를 “땡중의 바베큐 쇼”라고 비하하였고 이로 인해 불교 신자들은 지엠 정권에 저항하게 되었다.<ref>Langguth, A. J. (2000). Our Vietnam: the war, 1954–1975. New York City, New York: Simon & Schuster. {{ISBN|0-684-81202-9}}. p.216</ref> 8월 21일, 지엠의 동생
미국은 1963년 중반부터 지엠 정권의 종교 정책 변화를 요구하였다. 미국 국방부가 지엠 정권을 계속 지지하는 동안 [[미국 국무부]]는 쿠데타도 용인할 수 있다는 태도를 취하였다. 1963년 8월 23일 미국 국무부는 주베트남 미국 대사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Henry Cabot Lodge, Jr)에게
[[미국 중앙정보국]]은 지엠 정권을 제거하기로 한 계획을 접수한 뒤 베트남 군부에게 지엠이 하야하더라도 미국은 이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을 것이고 원조를 줄이지도 않을 것이라고 전하였다. 1963년 11월 2일 군부는
쿠데타가 일어난 뒤 남베트남은 혼란에 빠졌고, 북베트남은 이 쿠데타로 남베트남 정권은 미국의 꼭두각시일 뿐인 것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주장하였다.<ref>McNamara ''Argument Without End'' p. 328.</ref>
341번째 줄:
미국 군사고문단은 남베트남군의 모든 분야에 투입되어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내전의 본질에 대해 완전히 무지하였다. 남베트남군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게릴라 사이의 내전은 본질적으로 정치 권력 투쟁으로 군사 교전은 부차적인 것이었다.<ref name="Demma">Demma, Vincent H. "The U.S. Army in Vietnam." ''American Military History'' (1989) the officia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rmy. Available [http://www.ibiblio.org/pub/academic/history/marshall/military/vietnam/short.history/chap_28.txt online].</ref> 케네디 정부는 남베트남의 안정을 확보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도록 미군의 관점을 재조정하려고 하였고, 이를 통해 주민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미군 지도부는 군사 고문이 베트남 정규군 훈련 이외의 업무를 담당하는 것에 거부감을 보였다.<ref>Douglas Blaufarb. ''The Counterinsurgency Era.'' New York, New York. Free Press, 1977, p. 119.</ref> 주베트남 미군 사령부의 폴 D. 하킨스 장군은 1963년 크리스마스까지는 완벽히 승리할 것이라고 호언 장담하였다.<ref>George C. Herring. ''America's Longest War: The United States and Vietnam, 1950–1975.'' Boston, Massachusetts McGraw Hill, 1986, p. 103.</ref> 그러나, 미국 중앙정보부는 “베트콩은 지방의 상당한 지역을 사실상 지배하고 있으며 그 영역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라고 조금은 낙관적이지 않은 전망을 하였다.<ref>''Foreign Relation of the United States, Vietnam, 1961–1963.''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1, vol. 4., p. 707.</ref>
준군사조직인
== 1963년~1969년: 린든 정부의 확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