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344번째 줄:
== 1963년~1969년: 린든 정부의 확전 ==
[[파일:Bombing in Vietnam.jpg|섬네일|왼쪽|위오른쪽|북베트남을 폭격 중인 미국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케네디 암살]] 이후 대통령 권한 대행이 된 [[린든 B. 존슨]]은 베트남 문제보다 “[[위대한 사회]]” 정책을 실행하는 것을 당면 과제로 여겼다. 대통령 자문위원이었던
1963년 11월 24일 존슨은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전투에 …… 반드시 합류할 것을 …… 강력히 결심하였습니다.”라고 말하였다.<ref>Vietnam: ''A History'' (New York: Penguin books, 1983), p. 339. Before a small group, including [[Henry Cabot Lodge, Jr.]], the new president also said, "We should stop playing cops and robbers [a reference to Diem's failed leadership] and get back to... winning the war... tell the generals in Saigon that Lyndon Johnson intends to stand by our word...[to] win the contest against the externally directed and supported Communist conspiracy."</ref> 존슨의 이러한 공약은 지엠 정권을 퇴출시킨 쿠데타 이후 [[메콩 강 삼각주]]를 중심으로 남베트남 측의 상황이 악화일로에 있었기에 나온 것이었다.<ref name="Karnow p. 339">{{harvnb|Karnow|1991|p=339}} – talking about the Mekong Delta, that, "At a place called Hoa Phu, for example, the [[Strategic Hamlet Program|strategic hamlet]] built during the previous summer now looked like it had been hit by a hurricane.... Speaking through an interpreter, a local guard explained to me that a handful of Vietcong agents had entered the hamlet one night and told the peasants to tear it down and return to their native villages. The peasants complied without question."</ref> 존슨은 11월 26일 국가 안보 조치 각서(National Security Action Memorandums, NSAM) 273호를 통해<ref>[http://www.jfklancer.com/NSAM273.html NSAM 273 (26 November 1963)] {{웨이백|url=http://www.jfklancer.com/NSAM273.html |date=20141212072837 }}.</ref><ref>{{웹 인용|제목=NSAM 273: South Vietnam|url=http://www.lbjlib.utexas.edu/johnson/archives.hom/NSAMs/nsam273.asp|accessdate=23 June 2011|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803125146/http://www.lbjlib.utexas.edu/johnson/archives.hom/NSAMs/nsam273.asp|보존날짜=2016년 8월 3일|url-status=dead}}</ref> 소규모 특수전을 위주로 대응하였던 케네디의 정책을 뒤집고 1963년 말까지 1만여 명의 병력을 남베트남에 배치하여<ref>[http://www.jfklancer.com/NSAM263.html National Security Action Memorandum NSAM 263 (11 October 1963)] {{웨이백|url=http://www.jfklancer.com/NSAM263.html |date=20160803124810 }}.</ref> 전쟁을 확대시켰다.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는 [[즈엉반민]]을 수장으로 하는 군사 혁명 위원회를 세웠지만, 베트남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미국 언론인
[[파일:Vietconginterrogation.jpg|섬네일|위오른쪽| 캄보디아 국경 근처에서 생포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대원을 둘러싸고 있는 미군]]
1964년 8월 2일, 북베트남 해안에서 첩보 작전 중이던 미국의 [[구축함]]
[[통킹만 사건]] 뒤 몇 일이 지난 1964년 8월 7일 미국은 보복을 명분으로 북베트남에 폭격을 감행하였다.<ref>{{서적 인용|last=Moise|first=Edwin E.|제목=Tonkin Gulf and the Escalation of the Vietnam War|year=1996|publisher=[[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isbn=0-8078-2300-7|page=78}}</ref> 선전포고 없이 진행된 이 폭격은 대통령 존슨이 동남아시아에 주둔 중인 미군에 직접 명령한 것이다.<ref name="Hp91">{{harvnb|Healy|2009|p=[http://books.google.com.ph/books?id=MRA2jIyejwAC&pg=PA91 91]}}.</ref> 미국 연방 하원은 통킹만 사건이 전면전으로 확대되는 것을 거부했지만, 존슨은 이미 대통령 독단으로 전면전을 개시하고 있었다.<ref name="Hp91"/> 같은 달, 존슨은 “아시아 ‘보이’({{llang|en|boy}})들은 자기 땅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를 도와야 할 것이고 미국 ‘보이’(boy)들이 그곳에 가 싸우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공약하였다.<ref name="Palmer">{{서적 인용|last=Palmer|first=Dave Richard|제목=Summons of the Trumpet: U.S.-Vietnam in Perspective|publisher=Presidio Press|year=1978|page=882|isbn=0-89141-550-5|ref=harv}}</ref>
통킹만 사건 당시 미국의 주장과는 달리, 2005년 기밀 해제된
“1959년 당시
[[파일:Vietcongsuspect.jpg|오른쪽|섬네일|미국 해병대 3사단 1 연대 소속의 해병들이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는 북베트남에 대한 폭격을 3단계로 격상시켰다. 1965년 3월 2일, [[미국 해병대]]는 전략 요충지인 [[쁠래이꾸]]를 공격하였다.<ref name="DennisSimon">{{웹 인용 |last =Simon |first =Dennis M. |제목 =The War in Vietnam,1965–1968 |date =August 2002 |url =http://faculty.smu.edu/dsimon/Change-Viet2.html |accessdate =7 May 2009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090426064833/http://faculty.smu.edu/dsimon/Change-Viet2.html |보존날짜 =2009년 4월 26일 |url-status =dead }}</ref> 소련 수상 [[알렉세이 코시긴]]이 북베트남을 [[국빈 방문]]한 동안 전개된
폭격은 베트남을 벗어난 인근 국가에도 행해졌다.
=== 격화되는 지상전 ===
378번째 줄:
미국의 파병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프랑스의 파병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호찌민은 미국이 “20년동안 전쟁하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20년 동안 전쟁을 할 것이다. 미국이 평화를 원한다면 우리는 그들을 초대하여 함께 차를 마시며 평화를 이룩할 것이다”고 경고하였다.<ref>Ho Chi Minh. ''Letter to Martin Niemoeller.'' December 1966. quoted in Marilyn B. Youn<gwmw class="ginger-module-highlighter-mistake-type-1" id="gwmw-15542686292891715935992">g. ''The V''</gwmw>''ietnam Wars: 1945–1990.'' New York, New York. Harper, 1991, p. 172.</ref> 북베트남의 외교부 제1 대의원 쩐꾸앙꼬는 전쟁의 최우선 목표는 베트남의 통일, 그리고 통일된 베트남의 독립과 안전확보라고 기록하였다.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이러한 목표는 당시 동남아시아의 여러 신생독립국들이 바란 것과 그리 다를 바 없었다.<ref>McNamara, ''Argument Without End'' p. 48.</ref> 그러나, “펜타곤 보고서”는 “베트남의 팽창주의는 손쉽게 인접한 캄보디아와 라오스를 집어 삼킬 것이고 …… 그리고,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심지어 인도네시아가 다음 목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ref>The Pentagon Papers (Beacon Press, 1971), vol. 1, p52.</ref>
3,500명으로 시작된 미국 해병대의 파병은 그해 12월 200,000명으로 늘었다.<ref name="McNamara 349">McNamara, ''Argument Without End'' pp. 349–51.</ref> 애초에 천명한 파병의 목표는 방어 임무였지만, 미군의 군사는 오랫동안 공격적인 전쟁에 익숙해 있었고, 미군 사령부 역시 정치적 지침에 따라 방어 임무에 치중하는 것은 익숙하지 않았다.<ref name="McNamara 349"/> 1964년 12월,
|제목=Triumph forsaken: the Vietnam War, 1954–1965
|author=Mark Moyar
387번째 줄:
|page=(http://books.google.com/books?id=phJrZ87RwuAC&pg=PA339 339)
|ref=harv
}}</ref>. 빈지아 전투에서 남베트남군이 소수의 베트콩 병력에게 대패하자 [[호치민]] 이에 대해 '작은 디엔비엔푸(Little Dien Bien Phu)'라고 극찬했다.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게릴라들이 치고 빠지기 작전을 유효하게 사용하여 강력한 남베트남군을 패퇴시킨 것이다.<ref>McNeill 1993, p. 58.</ref> 이로써 6월
[[파일:Checking house during patrol.jpg|오른쪽|섬네일|미군이 마을에서 베트콩 색출 작전을 하고 있다.]]
작전 지역을 포기하는 비율이 늘고 사기가 바닥에 떨어지자 윌리엄 웨스트모얼랜드 장군은 미국 태평양군 사령관인
* 1 단계: 1965년 말까지 미국과 여타 “자유 세계” 군대가 위수 지역에서 영토를 잃는 경향을 멈출 필요가 있음.
399번째 줄:
존슨 정부가 승인한 이 계획은 남베트남 정부가 게릴라를 억제할 책임이 있다고 하였던 케네디 정부의 구상과는 배치되는 것이었다. 웨스트모어랜드는 1967년 말까지는 최종적으로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하였다.<ref>U.S. Department of Defense, ''U.S.-Vietnam Relations'' vol. 4, pp 117–119. and vol. 5, pp. 8–12.</ref> 존슨은 이러한 전략 변경을 언론에 알리지는 않았지만, 전쟁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하였다.<ref>''Public Papers of the Presidents, 1965.''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6, vol. 2, pp. 794–799.</ref> 미국의 이러한 정책 변환은 북베트남 및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보다 격렬한 무장 충돌을 가져오게 되었다.<ref name="McNamara 353">McNamara ''Argument Without End'' pp. 353–354.</ref> 이 계획은 미국이 직접 전투 수행에 나섬으로써 남베트남 정부가 보류하였던 다른 당면 과제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자는 의도도 포함하고 있었다.<ref name="McNamara 353"/>
[[파일:Glassboro-meeting1967.jpg|섬네일|오른쪽|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의무 복무 기간은 1년이었다. 한 병사는 “우리가 베트남에 10년 동안 있지는 않겠지만, 1년씩 열 번은 있을 것”이라고 자조하였다.<ref name="Courtwright p. 210">{{harvnb|Courtwright|2005|p=210}}</ref>
408번째 줄:
미국은 [[동남아시아조약기구]](Southeast Asia Treaty Organization, SEATO)에 파병을 요청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대한민국]], [[태국]], 그리고 [[필리핀]]이 베트남 전쟁에 파병하였다.<ref name="Karnow p. 556">{{harvnb|Karnow|1991|p=556}}</ref> 그러나,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회원국]]이었던 [[캐나다]]와 [[영국]]은 파병을 거부하였다.<ref>Peter Church. ed. ''A Short History of South-East Asia.'' Singapore, John Wiley & Sons, 2006, p. 193.</ref> 미군은 파병된 동맹국 군대와 연합작전을 하였다.
이 기간 동안에도 남베트남의 정치 상황은 매우 불안정하여 쿠데타 시도가 빈발하였다. 공군 총사령관이었던
존슨 정부는 미디어 대응 정책으로 이른바 “최소한의 진실 정책”을 도입하였다.<ref name="Karnow p. 18">{{harvnb|Karnow|1991|p=18}}</ref> 전쟁에 대한 뉴스와 이야기들은 정부의 통제하에 미디어에게 제공되었다. 이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대중들은 전쟁에 대한 정부의 공식발표를 믿지 않게 되었다.<ref name="Karnow p. 18"/>
417번째 줄:
웨스트모어랜드의 미군이 [[꽝찌 성]]에서 [[케산 전투]]를 벌이느라 베트남 중부 내륙으로 이동한 사이<ref>McNamara ''Argument Without End'' pp. 363–365.</ref>,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은 베트남의 음력 [[설날]] 명절인 뗏(Tết) 휴일에 이틀 동안 휴전을 하겠다는 약속을 깨고 1968년 1월 30일 남베트남 전역에서 기습 공격을 시작하였다. 100 곳이 넘는 도시에서 공격이 이루어졌으며, 주베트남 미군 사령부의 본부와 [[주사이공 미국 대사관|미국 대사관]]이 있던 [[사이공]] 역시 공격을 받았다.
[[구정 대공세]] 초기 미군과 남베트남군은 고전을 면치 못하였고 상당 수의 지역에서 퇴각하여야 하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막강한 화력으로 응전하여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공격을 막아내었고, 이 과정에서 특히 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전투원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응우옌 왕조 시절의 수도였던 [[후에]]는 한 때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베트남인민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나 미군은 도시 전체의 80%가 폐허로 변하는 포격을 퍼부으며 전투를 벌여 후에를 탈환하였다.<ref>''Anatomy of a War'' by [[Gabriel Kolko]] {{ISBN|1-56584-218-9}} pp. 308–309.</ref> [[후에 전투]] 중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 측이 후에에 살고 있던 비전투원을 학살하는 일이 벌어졌다.
북베트남과 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구정 대공세를 통해 잠시나마 남베트남의 주요 도시들을 획득할 수 있었지만 결국 큰 피해를 입고 퇴각하였다. 그러나, 구정 대공세는 그 동안 전쟁 승리를 낙관하였던 미국 내 여론에 큰 충격을 주었다.
423번째 줄:
주베트남 미군을 총괄하던 [[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의 사령관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표상이었다. 그는 《타임》지가 선정한 1965년 올해의 인물이었고<ref name="Time">"The Guardians at the Gate", ''Time'' 7 January 1966, vol. 87, no.1.</ref>, 《타임》은 그를 “미국 전사의 늠름한 화신 …… 역사에서 바로 뛰쳐나온 듯 전투 계획을 수립하고 …… 병사들에게 그가 지닌 미국의 목표와 책임을 이상적으로 제시하였다”라고 평했다.<ref name="Time"/> 1967년 11월 웨스트모어랜드는 린든 B. 존슨 정부와 함께 승리를 낙관하고 있었다.<ref name="Witz">Witz ''The Tet Offensive: Intelligence Failure in War'' pp. 1–2.</ref> 그는 네셔널 프레스 클럽에서 베트남 전쟁이 “끝이 보이는 단계”에 와 있다고 공언하였다.<ref>Larry Berman. ''Lyndon Johnson's War.'' New York, W.W. Norton, 1991, p. 116.</ref> 구정 대공세로 웨스트모어랜드의 단언이 허풍일 뿐이란 것이 드러나자<ref name="Witz"/> 미국의 미디어들은 미군이 막대한 병력을 투입한 존슨 정부의 정책이 효과적인지 의문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존슨 정부는 군사적 실패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결국 존슨은 재선에 실패하게 되었다. 구정 대공세를 펼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군사적으로 철저히 패배하였지만 정치적 승리를 거둔 것이다.<ref name="Witz"/>
제임스 위츠는 구정 대공세가 “존슨 정부와 군부가 만든 …… 베트남 전쟁의 단계를 정면 반박하는 것”이었다고 평하였다.<ref name="Witz"/> 구정 대공세로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은 변환점을 맞을 수 밖에 없었다. 그 동안 미국 정보 당국이 평가하고 있던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전력이 과소 평가되어 있었다는 것이 드러나자<ref name="Karnow p. 556" /><ref>Harold P. Ford. ''CIA and the Vietnam Policymakers'' pp. 104–123.</ref> 언론인
[[파일:Deadvietcong2.jpg|섬네일|오른쪽|구정 대공세 중 미국 공군이 주둔 중인 떤선녓 공항을 공격하다 사망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베트남 인민군의 전투원들]]
433번째 줄:
1968년 5월 10일 북베트남과 미국 사이에 평화협정 논의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5개월 뒤 존슨이 북베트남에 대한 폭격 중지를 명령하기까지 협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미국 민주당은 대통령 후보로 부통령이었던 [[휴버트 험프리]]를 선출하였고, 공화당에서는 전 부통령 [[리차드 닉슨]]을 후보로 선출하였다.
역사학자 로버트 달렉은 “린든 존슨의 베트남 전쟁 확전은 결국 미군 병사
== 1969년~1972년: 베트남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