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496번째 줄:
그러나, 남베트남의 대통령 티에우는 평화 협정 대다수의 내용을 변경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다. 북베트남이 협정 내용을 공표하자 닉슨 정부는 북베트남이 기만 전술을 쓰고 있다고 비난하였고, 협상은 중단되었다.
 
[[파일:B-52D(061127-F-1234S-017).jpg|섬네일|왼쪽|[[라인베커 II 작전]] 중인 미국 공군, 1972년 12월]]
닉슨은 남베트남에게 여전히 지원하고 있다는 것을 보이고 북베트남으로부터 유리한 협정 조건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1972년 12월 18일부터 29일까지 [[하노이]]와 [[하이퐁]]을 폭격하는 [[라인베커 II 작전]]을작전을 실행하였다. 무차별 폭격 작전에 사용된 폭탄은 총 12만 톤으로 히로시마 원자 폭탄의 5배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이중 4만 톤이 하노이 시내에 집중되었다. 이 폭격으로 북베트남의 경제와 공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같은 시기 닉슨은 남베트남의 티에우를 압박하여 남북 양자간의 평화 유지와 미군 철수를 골자로 하는 협정 조건을 승인하도록 하였다.<ref>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978-89-7464-597-7}}, 498쪽</ref>
 
1973년 1월 15일 닉슨은 북베트남에 대한 공격을 중지한다고 발표하였고, 1월 27일 “종전과 베트남의 평화 복원에 대한” [[파리 협정 (1973년)|파리 평화 협정]]을 체결하여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을 공식적으로 종결하였다. 평화협정이 체결된 뒤 베트남 남북 정부는 휴전하였고 미군 전쟁포로가 석방되었다. 파리 평화 협정은 제네바 협정과 같이 남북 양측의 영토를 보장하고 선거를 통하여 통일 정부를 구성하도록 규정하였으며, 60일 안에 모든 미군이 철군하도록 하였다. 피터 처치는 “이 조약에 따라 이행된 것은 미군의 완전한 철수 밖에 없었다”고 평하였다.<ref>Peter Church, ed. ''A Short History of South-East Asia.'' Singapore. John Wiley & Sons, 2006, pp. 193–194.</ref>
506번째 줄:
미국 안에서 베트남 전쟁을 반대하는 이유는 다양하였다. 베트남 전쟁 동안 일어난 대규모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전쟁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초기 반전 운동은 미국이 [[제네바 협정 (1954년)|제네바 협정]]에 따른 총선거를 거부하고 지엠 정권을 지원하는 것은 민주주의가 아니라는 이유로 전쟁에 반대하였다. 존 F. 케네디 역시 상원의원 시절에는 베트남 전쟁 개입을 반대하였다.<ref name="USvietAnalysis"/>
 
가톨릭 노동자 운동과 같은 [[신좌파]] 단체들은 미국 정부가 보이는 반공주의, [[제국주의]], [[식민주의]] 등에 대한 반대의 일환으로 베트남 전쟁을 반대하였다. 한편, 스테펀 스피로와 같은 사람들은 베트남 전쟁이 [[정의로운 전쟁론|정의로운 전쟁]]이 아니라는 이유로 반대하였고, [[노먼 모리슨]]과모리슨과 같은 사람들은 팃꽝득의 행동과 베트남 사람들의 단결을 보면서 전쟁을 반대하였다. 또한,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은 유혈 난동의 확대만을 가져올 것이라는 비판 등이 있었다. 베트남 전쟁 개입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매파”, 반대하는 사람들은 “비둘기파”로 불렸다.
 
1968년 [[미라이 학살]]이 폭로 된 이후 미국 내 반전 운동은 점점 확산되었다. 1968년 8월 26일부터 29일까지 [[민주당 (미국)|민주당]]이 주최한 1968년 민주 전국 대회에 참가한 사람들은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ref>Jennings & Brewster 1998: 413.</ref> 1969년 10월 15일 미국에서는 수백만 명이 참여하는 반전 시위가 열렸다.<ref>[http://news.bbc.co.uk/onthisday/hi/dates/stories/october/15/newsid_2533000/2533131.stm 1969: Millions march in US Vietnam Moratorium]. BBC On This Day.</ref> [[오하이오주]] 켄트 주립 대학교에서는 진압부대가 시위를 하는 대학생을 향해 총격을 가해 네 명의 학생이 목숨을 잃는 [[켄트 주립 대학교 발포 사건]]이 일어났다.<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