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513번째 줄:
 
== 1973년~1975년: 미군 철수 이후 ==
[[파일:Hanoi-taxi-march1973.jpg|섬네일|1973년 석방된 미군 전쟁 포로를 실어나른 수송기는 “[[하노이“하노이 택시]]”라고택시”라고 불렸다.]]
닉슨 정부의 “베트남화” 정책의 마지막 해가 되자 베트남 주둔 미군의 수는 급격히 줄었다. 1971년 3월 5일에는 맨 처음 베트남에 투입되었던 제5 특수군단이 자신들의 본부였던 [[노스캐롤라이나주]]의 브래그 요새로 철수하였다.<ref name="Stanton p. 240">{{harvnb|Stanton|2003|p=240}}</ref> {{#tag:ref|On 8 March 1965 the first American combat troops the, Third Marine Regiment, Third Marine Division, began landing in Vietnam to protect the Da Nang airport.<ref>{{Harvnb|Willbanks|2009| p = [http://books.google.com/books?id=X5WWklFB5O4C&pg=PA110 110]}}</ref><ref name="nps.gov">{{웹 인용|ref=harv|year= 2010 |url = http://www.nps.gov/mrc/reader/vvmcr.htm|제목 = Facts about the Vietnam Veterans memorial collection| publisher = National Park Service | accessdate =26 April 2010}}</ref> |group="주해"}}
 
520번째 줄:
평화 협정이 체결되자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측은 정전 기간을 최대한 자신들이 유리한 방향으로 사용하려 하였다. 반면에, 사이공은 정전이 발효되기 직전에 미국으로부터 받은 막대한 원조 물자를 사용하여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제거하려 하였다. 이에 대항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지도자였던 [[쩐반짜]]는 1973년 3월 미국의 공습이 멈춘 틈을 타 호찌민 통로를 이용하여 하노이로 가서 이후의 전략을 세우는 회의에 참석하였다. 이 회의에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1975년과 1976년 사이의 건기를 최종 공격 시기로 잡았다.<ref name = "Karnow pp. 672-74">{{harvnb|Karnow|1991|pp=672–74}}</ref>
 
1972년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닉슨은 맥거번을 상대로 총 50개 주 가운데 49개 주에서 승리하였다. 1973년 3월 15일 재선에 성공한 미국 대통령 리차드 닉슨은 만일 공산주의 세력이 남베트남을 상대로 무력을 행사한다면 미국 역시 개입할 것이라고 천명하였다. 닉슨은 베트남의 상황을 살피기 위해 [[그레이험 마틴]]을마틴을 남베트남 대사로 파견하였다. 한편, 미국 국방부국방장관 장관 [[제임스 R. 슈레징거]]는슈레징거는 북베트남의 공격에 대항하기 위해 폭격을 재개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1973년 6월 4일 [[미국 상원]]은 이러한 개입을 금지하는 [[처치 어멘드먼트 건]]을건을 가결하였다.<ref name = "Karnow pp. 670-72">{{harvnb|Karnow|1991|pp=670–72}}</ref>
 
[[제4차 중동 전쟁]] 때문에 촉발된 1973년 [[유류 파동]]으로 남베트남은 심각한 경제 위기를 겪었다.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은 1974년 1월 건기를 맞아 공세를 시작하였다. 55명의 남베트남 병사가 사망한 두 번의 무력 충돌 이후 남베트남의 티에우 대통령은 전쟁이 재발하였고, 이어서 파리 평화 협정은 효력을 상실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정전 기간 동안 남베트남 측 사상자는 2만 5천여25,000여 명에 달했다.<ref>{{웹 인용 |url=http://www.history.com/this-day-in-history/thieu-announces-war-has-resumed |제목=This Day in History 1974: Thieu announces war has resumed |publisher=History.com |accessdate=17 October 2009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120114757/http://www.history.com/this-day-in-history/thieu-announces-war-has-resumed |보존날짜=2013-01-20 |url-status=dead }}</ref>
 
1974년 8월 9일 [[리처드 닉슨]]이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하야하자 [[제럴드 포드]]가 미국의 대통령 직을 승계하였다. 이때, 의회는 남베트남에 대한 원조 금액을 1억 달러에서 700만 달러로 삭감하였다. 1974년 미국의 보궐 선거 결과 민주당이 의석 과반수를 차지하게 되었고 정부의 전쟁 수행에 대한 반대가 더욱 강화되었다. 의회는 1975년 지원 예산 가운데 군사 활동 부분을 삭감하였고, 1976년 지원분에 대해서는 전액을 삭감하였다.
537번째 줄:
 
=== 275 작전 ===
1975년 3월 10일 중 장군은 탱크와 대형 곡사 화기를 동원하여 중부 고원지역을 공격하는 [[275 작전]]을작전을 시작하였다. 이 작전의 목표는 [[닥락 성]]의 [[부온마투옷]]이었다. 중 장군은 작전이 성공하면 [[플레이쿠]]를 공격하여 1976년까지 장기적으로 전역 작전을 펼칠 계획이었다. 3월 11일 남베트남군은 별다른 저항도 없이 패퇴하였다. 북베트남은 다시 한 번 스스로도 놀란 신속한 승리를 거두었다. 중 장군은 곧바로 플레이쿠를 공격하였으며 연이어 [[꼰뚬 성]]의 성도까지 진군하였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89-324-6081-7}}, 573-576쪽</ref>
 
남베트남군의 장군 출신인 남베트남의 대통령 [[응우옌반티에우]]는 남베트남군을 일시적으로 후퇴시켜 재집결한 뒤 반격하는 작전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남베트남군은 이미 통제불능의 상태에 있었다. 3월 20일 티에우는 이전의 작전을 취소하고 [[후에]]를 사수하도록 명령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긴급한 작전 변경은 혼란만을 더 키웠다. 3월 22일 북베트남군은 후에를 포위하였고, 3월 30일 10만명의 남베트남군은 항복하였다. 후에에서 승리한 북베트남군은 곧이어 [[다낭]]으로 개선 행진을 하였다. 이로써 베트남 중부는 북베트남의 것이 되었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89-324-6081-7}}, 577-578쪽</ref>
 
=== 최종 공격 ===
남베트남의 절반 이상을 얻게 되자 북베트남 정치국은 중 장군에게 사이공을 공격하라는 최종 공격 명령을 내렸다. [[호찌민 작전]]이라고작전이라고 불린 이 작전은 5월 1일 이전에 사이공을 함락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5월 이후 우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남베트남군이 전열을 재정비하게 될 경우 작전에 어려움이 닥칠 것을 우려하였기 때문이다. 북베트남군은 빠른 속도로 [[냐짱]], [[깜라인]], [[달랏]]을 점령해 나갔다.<ref>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978-89-7464-597-7}},501-502쪽</ref>
 
남북 베트남 군대는 4월 7일 사이공 동쪽 64km 부근에서 [[쑤언록 전투]]를 치렀다. 남베트남군 18사단은 수도를 방어하기 위해 [[옥쇄]]하기로 결정하고 북베트남군에 맞섰다. 그러나, 4월 20일 남베트남군 지휘부는 18사단에게 사이공으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ref>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978-89-7464-597-7}},5003쪽</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