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661번째 줄:
베트남 전쟁에는 여군들 역시 여러 일에 참여하였다. 1963년 초 미국 육군 간호대는 나이팅게일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간호장교를 베트남에 파병하였다. 파병된 간호장교들은 대부분 군인 집안 출신의 자원자로, 로마 가톨릭이나 개신교를 믿는 중산층 백인이었다.<ref>Norman, Elizabeth M. ''[http://books.google.com/books?id=esg7mGs6nQMC&lpg=PP1&dq=Women%20at%20War%3A%20the%20Story%20of%20Fifty%20Military%20Nurses%20Who%20Served%20in%20Vietnam&pg=PP1#v=onepage&q&f=false Women at War: the Story of Fifty Military Nurses Who Served in Vietnam]''.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90. {{ISBN|978-0-8122-1317-1}} p. 7.</ref> 간호장교들은 파병전 4개월의 집중 훈련을 받고 베트남에 배치되었다.<ref>Vuic, Kara Dixon. ''[http://books.google.com/books?id=E0nypXTQ_C4C&lpg=PP1&dq=Officer%2C%20nurse%2C%20woman%3A%20the%20Army%20Nurse%20Corps%20in%20the%20Vietnam%20War&pg=PP1#v=onepage&q&f=false Officer, Nurse, Woman: the Army Nurse Corps in the Vietnam War]''. Baltimore: Johns Hopkins UP, 2010. {{ISBN|978-0-8018-9391-9}} p. 5.</ref> 의료 인력이 늘 부족했기 때문에 간호장교들은 1주일에 6일 동안 하루 12시간씩 근무를 하였다. 여성 간호장교들은 주로 후방의 기지에서 복무하였다. 미군 여성 간호장교 가운데 적군의 총격으로 사망한 사람은 1969년 6월 8일 전사한 샤론 레인(Sharon Lane) [[중위]]가 유일하였다.<ref>Norman, p. 57.</ref>
 
베트남 전쟁 초기만하더라도 미군은 여군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쟁이 길어지자 미군은 많은 부분에서 여군의 복무를 받아들였다. 베트남 전쟁에 참여한 다수의 미국 여성들은 전쟁 기록을 정리하는 업무와 속기사로 복무하였다.<ref>Holm, Jeanne. ''Women in the Military: an Unfinished Revolution''. Novato, CA: Presidio, 1992. {{ISBN|978-0-89141-513-8}} p. 214.</ref> 그러나, 간혹 소수의 여군들이 전투 지역에 들어가는 일이 있더라도 직접 전투에 참전하는 경우는 없었다. 당시 미군은 직접 전투에 관계된 병과에 여군을 받아들일 경우 병사들 사이에 불편한 성적 긴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여군을 전투 관련 병과에 편성하지 않았다.<ref>Holm, p. 213.</ref> 1973년 당시 베트남에는 약 7,500 명의500명의 여군이 주베트남 미군 사령부에 배속되어 있었다. 베트남에 주둔한 미군은 남성 위주의 군대 내에 여군이 함께 있는 것이 오히려 군인들의 도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ref>Holm, p. 206.</ref> 같은 해 미군은 여군의 전투 병과 배속을 허용하였다.
 
=== 베트남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