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동음이의 링크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바둑}}
 
'''바둑'''(Baduk) 혹은 '''오로'''(烏鷺), '''혁기'''(奕棋/奕碁)({{llang|ja|碁|ご}}), ({{llanglang|ja|囲碁|いご}}), ({{zh|t=圍棋|s=围棋|p=wéiqí}}), ({{llang|en|Go, Weiqi}})는 두 사람이 흑과 백의 돌을 사각의 판 위에 번갈아 놓으며 집을 차지하는 것을 겨루는 [[놀이]]다. [[제로섬 게임]]이자 [[마인드 스포츠]]의 일종으로 [[중국]]에서 유래되었다. 가로와 세로 각각 19줄이 그어진 [[바둑판]] 위의 361개 교차점에 돌을 둘 수 있다. 게임의 목표는 상대보다 더 많은 공간을 자신의 돌로 둘러 싸는 것이다. 규칙은 단순하지만 매우 깊은 전략적 사고가 요구된다. 한자로는 '기(碁 또는 棋)'라고 하며, 이외에 '혁기(奕棋 또는 奕碁)', '혁(奕)', '위기(圍棋 또는 圍碁)', '방원(方圓)', '흑백(黑白)', '수담(手談)', '도끼자루', '난가(爛柯)', '귤중(橘中)의 즐거움', '망우(忘憂)', '좌은(坐隱)', '오로(烏鷺)'라고도 한다.<ref>[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_content.asp?Dictionary_Id=10008003&mode=content&query=%B9%D9%B5%CF&dircode=0 문화원형사전 - 바둑]{{깨진 링크|url=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_content.asp?Dictionary_Id=10008003&mode=content&query=%B9%D9%B5%CF&dircode=0 }}</ref> 중국어로는 '웨이치(圍棋 또는 围棋)', 일본어로는 '고 혹은 이고(囲碁:いご)'라고 하고, 영어로는 바둑의 일본어 표현인 '고(Go)'라고 부른다.
 
바둑의 기원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고대중국 전설상의 제왕인 3황5제 때에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5세기~7세기 사이에 삼국시대에 소개되었으며, [[순장바둑]]이라는 형태로, 1950년대 현대바둑이 유행하기 전까지 성행하였다.<ref>{{인용| url = http://english.baduk.or.kr/sub01_01.htm?menu=f11 | publisher = Korean Baduk Association | title = History of Korean baduk | accessdate = 2008-11-13}}</ref>시대적 흐름에 따라 자유 포석제 규칙의 바둑이 도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