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주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전환됨
14번째 줄:
* MAC 주소(어드레스) 6바이트(48비트)중 앞 3바이트(24비트)는 각각의 벤더별로 할당되어 있는 고유의 코드로 MAC만으로 어느벤더인지 확인이 가능하며, IEEE 해당 MAC 주소 관리 페이지 싸이트를 통해서 상위 3바이트(24비트)를 입력 후 Search 클릭하여 검색 가능하다.<ref>{{웹 인용|url=http://standards.ieee.org/regauth/oui/index.shtml |publisher=Standards.ieee.org |제목= IEEE MAC 주소 관리 페이지 |accessdate=2017-08-19}}</ref>
 
ㅇㅁㄴㅇㄹㄴㅇㄻㄴㅇㄹㄴㅁㅇㄻㄴㅇㄻㄴㅇㄻㄴㅇㄻㄴㅇㄻㄴㅇㄻㄴㅇㄻ
== 주소의 상세 설명 ==
[[파일:MAC-48 Address.svg|오른쪽]]
원래의 [[IEEE 802]] MAC 주소는 오리지널 [[제록스 네트워크 시스템|제록스]] 이더넷 어드레싱 스킴에서 비롯된다.<ref name="Ieee802arch">
{{서적 인용
| publisher =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 (IEEE)
| title = IEEE Std 802-2001
| date = 2002-02-07
| isbn = 0-7381-2941-0
| url = http://standards.ieee.org/getieee802/download/802-2001.pdf
| accessdate = 2011-09-08
| quote = The universal administration of LAN MAC addresses began with the Xerox Corporation administering Block Identifiers (Block IDs) for Ethernet addresses.
| page = 19
}}
</ref> 48비트 주소 공간은 잠재적으로 2<sup>48</sup>, 즉 281,474,976,710,656개의 사용 가능한 MAC 주소를 포함한다.
 
=== 전역 관리와 지역 관리 ===
주소는 전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UAA, Universally Administered Address)이거나 지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LAA, Locally Administered Address)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전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는 제조업체에 의해 고유하게 할당된다. 처음 3개의 [[옥텟 (컴퓨팅)|옥텟]](전송 순서대로)은 [[조직 고유 식별자]](OUI)이며, 식별자를 발행한 조직을 식별한다.<ref name="IeeeEui">{{웹 인용|url=http://standards.ieee.org/develop/regauth/tut/eui.pdf|title=Guidelines for use of the 24-bit 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s (OUI)|publisher=IEEE-SA|accessdate=2011-09-07}}</ref> 그 다음의 3개(MAC-48 또는 EUI-48) 또는 5개(EUI-64)의 옥텟은 조직이 원하는 거의 모든 방식대로 조직에 의해 할당되며 이는 고유성의 제한에 종속된다. IEEE는 MAC-48 공간 사용 시 수명을 100년으로 두고 있지만, 대신 EUI-64의 채택을 장려한다.<ref name="IeeeEui"/> 지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는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장치에 할당되며 기록된 주소를 무효화할 수 있다. 지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는 OUI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전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와 지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는 주소의 첫 옥텟의 두 번째로 [[최하위 비트|작은 비트]]로 설정함으로써 구별할 수 있다. 이 비트는 U/L 비트(Universal/Local의 준말)로도 부르며, 주소가 어떻게 관리될지를 식별한다. 비트가 0이면 주소는 전역적으로 관리되며, 1이면 지역적으로 관리된다. 주소 06-00-00-00-00-00의 예에서 첫 옥텟은 06(16진)이며, 이것의 이진 형태는 00000110인데 여기에서 두 번째로 작은 비트가 1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지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이다.<ref>{{웹 인용|url=http://standards.ieee.org/develop/regauth/tut/macgrp.pdf|title=Standard Group MAC Addresses: A Tutorial Guide|publisher=IEEE-SA|accessdate=2011-09-07}}</ref> 즉, 이 비트는 모든 OUI에서 0이 된다.
 
===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 ===
주소의 첫 옥텟의 최하위 비트를 0으로 설정하면, 프레임은 하나의 수신 중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에만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ref>{{웹 인용|url=http://standards.ieee.org/develop/regauth/tut/fibre.pdf|title=Guidelines for Fibre Channel Use of the 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 (OUI)|publisher=IEEE-SA|accessdate=2011-09-08}}</ref> 이러한 종류의 전송을 [[유니캐스트]]라 부른다. 유니캐스트 프레임은 [[충돌 도메인]] 안의 모든 노드에 전송되어, 일반적으로 가장 가까운 [[네트워크 스위치]]나 라우터에 이르게 된다. 스위치는 어느 포트가 해당 MAC 주소에 도달하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면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모든 포트에 걸쳐 포워드하고, 도달 여부를 알 수 있다면 적절한 포트로 전송한다. (프레임을 시작한 포트는 제외)<ref>{{웹 인용|url=https://supportforums.cisco.com/document/68421/overview-layer-2-switched-networks-and-communication|title=Overview of Layer 2 Switched Networks and Communication {{!}} Getting Started with LANs {{!}} Cisco Support Community {{!}} 5896 {{!}} 68421|website=supportforums.cisco.com|access-date=2016-05-17}}</ref><ref>[[MAC 테이블]]</ref> 일치하는 하드웨어 MAC 주소가 있는 노드만 프레임을 받아들이며, 일치하지 않은 MAC 주소의 네트워크 프레임은 장치가 [[무차별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으면 무시된다.
 
첫 옥텟의 최하위 비트를 1로 설정하면, 프레임은 한 번만 전송된다. 그러나 NIC는 MAC 주소 일치 외에 다른 기준에 기반하여 이를 받아들일지 선택한다: 예를 들어, 수락되는 멀티캐스트 MAC 주소의 구성 가능한 목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는 [[멀티캐스트]] 어드레싱으로 부른다.
 
== 응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