は: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祝日いらね(토론)의 36379384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동음이의 링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ハ|스테가나|ハ (스테가나)|조사=는}}
{{오십음}}
 
'''{{lang|ja|は}}''', '''{{lang|ja|ハ}}'''는 [[일본어]] [[음절]]의 하나이며, [[가나 (문자)|가나]]의 하나이다. 1[[모라]]를 형성한다. [[오십음|오십음도]]에서 제6행 제1단({{lang|ja|は}}행 {{lang|ja|[[あ]]}}단)에 위치한다. [[청음]] 이외에 [[탁음]]({{lang|ja|ば}}, {{lang|ja|バ}})과 [[반탁음]]({{lang|ja|ぱ}}, {{lang|ja|パ}})을 지닌다.
 
상대에는 ‘{{lang|ja|は}}’로 써서 /{{IPA|pa}}/로 발음되었다. [[중세]]에 /{{IPA|ɸa}}/로 변화되고 [[근세]] 이후 오늘날과 같이 /{{IPA|ha}}/ 음이 되었다.
 
* 현대 표준어의 발음: 1[[자음]]과 1[[모음]] ‘{{lang|ja|あ}}’에서 형성된 음. 자음은 다음과 같다.
** 청음 ‘{{lang|ja|は}}’: 성대를 접근하여 그 사이를 통하는 숨의 마찰음 [{{IPA|h}}]. [[무성음]].
** 탁음 ‘{{lang|ja|ば}}’: 두 입술을 폐쇄했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파열음 [{{IPA|b}}]. 유성자음. /{{IPA|a}}/가 선행하는 때는 [[유성 양순 마찰음]] [{{IPA|β}}]가 되는 경우가 있다.
** 반탁음 ‘{{lang|ja|ぱ}}’: 두 입술을 폐쇄했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파열음 [{{IPA|p}}]. 무성 자음.
** 조사 ‘{{lang|ja|は}}’는 ‘{{lang|ja|[[わ]]}}’로 발음한다.
**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는 [[문절]] 처음 이외의 ‘{{lang|ja|は}}’는 ‘{{lang|ja|わ}}’로 발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것은 [[は행 전호]]에 따라 어중·어미의 {{lang|ja|は}}행이 {{lang|ja|わ}}행이 되기 때문이다.
* [[오십음]] 순: 제26위.
* [[이로하 노래|이로하]] 순: 제3위. ‘{{lang|ja|[[ろ]]}}’의 다음, ‘{{lang|ja|[[に]]}}’의 앞.
* [[히라가나]] ‘{{lang|ja|は}}’의 자형: ‘{{lang|ja|波}}’의 [[초서]].
* [[가타카나]] ‘{{lang|ja|ハ}}’의 자형: ‘{{lang|ja|八}}’의 변화.
* [[로마자]]
** {{lang|ja|は}}: '''[[h]][[a]]'''
** {{lang|ja|ば}}: '''[[b]][[a]]'''
** {{lang|ja|ぱ}}: '''[[p]][[a]]'''
* [[로마자]] 입력: 위와 같음.
* [[대한민국]]의 외래어 표기법
** {{lang|ja|は}}: 하
** {{lang|ja|ば}}: 바
** {{lang|ja|ぱ}}: 파
* [[한/글]]의 [[한글]] 입력: 위와 같음.
* [[일본어 점자]]: {{점자6|136}}
* [[일본어 통화표]]: ‘{{lang|ja|はがきのハ}}(하가키노 하)’
* [[일본어 모스 부호]]: -···
* [[헨타이가나]]: [[파일:Hiragana HA 01.png]]({{lang|ja|者}})
 
== 획순 ==
[[파일:は-bw.png|200px|섬네일|left|'{{lang|ja|は}}'의 획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