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 간염바이러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2번째 줄:
 
이만석병(Hepatitis A virus, HAV, {{학명|Hepatovirus A}})는 [[간염]]의 일종인 [[A형 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말한다.
 
== 분류 ==
 
== 유전자형 ==
 
== 복제 주기 ==
사람 등의 척추동물들이 자연 숙주가 된다. 전염은 [[대변-구강 경로]]와 혈액을 통해 이루어진다.<ref name="ViralZone">{{웹 인용|url=http://viralzone.expasy.org/all_by_species/94.html|title=Viral Zone|publisher=ExPASy|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617215332/http://viralzone.expasy.org/all_by_species/94.html|archivedate=17 June 2015|url-status=live|accessdate=15 June 2015}}</ref>
 
바이러스는 섭취 이후 [[인두 (해부학)|구인두]] 및 장의 상피세포를 통해 혈액으로 들어간다.<ref name="Murray, P. r. 2005">Murray, P.R., Rosenthal, K.S. & Pfaller, M.A. (2005). Medical Microbiology 5th ed., Elsevier Mosby.</ref> 바이러스는 혈액을 타고 간으로 이동해 간의 [[대식세포]]인 [[쿠퍼세포]]와 [[간세포]] 내에서 증식한다. [[바이러스 복제]]는 [[세포질]]에서 일어난다. [[바이러스 침입|숙주 세포 내부로 침입]]은 숙주 수용체에 부착함으로써 [[세포내이입]]을 유도하여 이루어진다. 이후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의 복제 모델을 따라 복제된다. 번역시에는 숙주 세포의 리보솜을 사용한다. 이후 [[용균성 생활사|용균]] 및 비로포린을 통해 [[바이러스 배출|숙주 세포 외부로 배출]]된다. [[비리온]]은 담즙에서 분비되어 대변을 통해 외부로 나온다. 바이러스는 혈중에 항-HAV [[면역글로불린 M|IgM]]이 나타나기 약 11일동안 대량으로 배출된다. 잠복기는 15~50일이며 사망률은 0.5% 미만이다.
 
유전체는 간세포 내에서 캡시드로 포장되어 배출된다. 다른 피코르나바이러스들과는 달리 번역 개시를 위해 [[진핵세포]] 개시인자인 4G(eIF4G)를 온전하게 유지해야 한다.<ref>{{저널 인용|title=Fine-tuning translation kinetics selection as the driving force of codon usage bias in the hepatitis A virus capsid|journal=PLOS Pathog.|date=March 2010|editor1-last=Andino|editor1-first=Raul|volume=6|issue=3|page=e1000797|doi=10.1371/journal.ppat.1000797|pmc=2832697|pmid=20221432|vauthors=Aragonès L, Guix S, Ribes E, Bosch A, Pintó RM}}</ref>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