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경인TV: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KL0943(토론)의 편집을 메이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동음이의 링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전환됨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방송국 정보
*|로고 2012년 9월 29일: [[KT]] [[올레 TV]]를 통한=한 재송신을 개시.<ref name="iptv">{{뉴스 인용|제목 = KT IPTV 가입자, 채널 31번에서 OBS 시청가능|url =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982|출판사 = 미디어스|저자 = 곽상아|쪽 =|날짜 = 2012년 9월 25일|확인날짜 =}}</ref>
|로고 =
|로고 그림 설명 =
|본사 그림 = OBSgaikan.jpg
|약칭 = OBS
|회사 정보 = OBS경인TV 주식회사
|창립일 = 2006년 8월 30일
|개국일 = 2007년 12월 28일 (TV) <br/> 2023년 3월 30일 ([[OBS 라디오|라디오]])
|폐국일 =
|해체일 =
|이전 = [[경인방송|iTV 경인방송]]
|이후 =
|자본금 = 143,150,000,000원 (2015년 12월)
|매출액 = 34,058,463,008원 (2015년)
|영업 이익 = 185,816,575원 (2015년)
|순이익 = 94,904,026원 (2015년)
|자산 총액 = 21,374,526,797원 (2015년 12월)
|주주 = [[영안모자]]: 31.9% <br/> [[경기고속]]: 13% <br/> [[매일유업|매일홀딩스]]: 6.3% <br/> [[솔브레인]]: 5.4% <br/> [[클라크]]: 5.4%
|직원 수 =
|국가 = {{국기나라|대한민국}}
|본사 = {{국기나라|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오정로]] 233 (오정동) (TV) <br/> {{국기나라|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수대로]] 420 ([[인계동]], 마라톤빌딩) 7~8층 (라디오)
|사장 = 김학균
|자회사 =
|계열사 =
|슬로건 = 지역의 희망입니다.
|웹사이트 = {{URL|https://www.obs.co.kr/}}
}}
[[파일:OBS-1.jpg|섬네일|150px|OBS경인TV 사옥(1)]]
[[파일:OBS-2.jpg|섬네일|150px|OBS경인TV 사옥(2)]]
[[파일:OBS-3.jpg|섬네일|150px|OBS경인TV 사옥(3)]]
 
'''OBS경인TV'''(京仁TV)는 [[수도권 (대한민국)|대한민국 수도권]]을 대상으로 방송하는 지상파 텔레비전 네트워크다.
 
== 의미 ==
OBS에서 O는 하나를 의미하는 One, 우리를 뜻하는 Our, 열림을 뜻하는 Open, 척박한 사막의 희망 Oasis, 기회를 뜻하는 Oppotunity가 담겨져 있다.
 
== 캐치 프레이즈 ==
=== 과거 ===
==== 2000년대 ====
* 2008년 ~ 2009년 : 희망을 나눠요.
 
==== 2010년대 ====
* 2010년 : 따뜻한 세상 함께 하는 OBS
* 2011년 ~ 2014년 : 사람 세상(世上)을 만듭니다.
* 2015년 ~ 2017년 : 경인 성장의 힘 OBS
* 2018년 : 지역의 희망이 되겠습니다.
 
=== 현재 ===
==== 2010년대 ====
* 2019년 ~ '''현재''' : 지역이 희망입니다. OBS (TV)
 
==== 2020년대 ====
* 2023년 ~ '''현재''' : 열린 채널, 열린 방송 따뜻한 나눔 99.9 OBS 라디오 (라디오)
 
== 로고송 ==
* 2008년 : 오늘보다 더 희망찬 내일 OBS
* 2009년 : 다 함께 희망을 나눠요 OBS
* 2013년 ~ 현재 :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 OBS
 
== 방송 권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수도권 지역, [[충청남도]], [[충청북도]] 일부 지역을 가시청 권역으로 하고 [[대한민국의 케이블TV 방송|유료방송 재송신]]을 통해 [[서울특별시]] 전체 지역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한다.
 
== 나라별 제휴국 ==
* {{국기|일본}} [[마이니치 방송|마이니치방송]]({{llang|ja|毎日放送}})
* {{국기|일본}} [[요미우리 TV 방송]]({{llang|ja|読売テレビ放送}})
* {{국기|일본}}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llang|ja|東京メトロポリタンテレビジョン}})
 
== 연혁 ==
=== 2000년대 ===
* 2006년 8월 30일 : 법인 설립.
* 2006년 11월 8일 : 김성재 사장 취임.
* 2007년 4월 5일 : OBS경인TV 허가 추천 결정 ([[대한민국 방송위원회|방송위원회]]).
* 2007년 4월 12일 : 3개 송신소, 중계소 허가 추천서 수령.
* 2007년 7월 25일 : 주철환 사장 취임과 김성재 사장은 회장으로 취임.
* 2007년 11월 23일 : OBS경인TV 인천 [[계양산]] [[아날로그 텔레비전|아날로그 TV]], [[디지털 텔레비전|디지털 TV]] 방송국 허가증 교부([[대한민국 정보통신부|정보통신부]]), 시험 방송 실시.
* 2007년 12월 7일 : OBS경인TV 방송국 검사 필증 취득.
* 2007년 12월 26일 : [[OBS문화재단]] 설립.
* 2007년 12월 28일 : OBS경인TV 개국 및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실시.
* 2008년 8월 15일 : 경기 수원, 용인 광교산 중계소 전파 송출 시작.
* 2009년 1월 21일 : 주철환 사장 사퇴 의사 표명.
* 2009년 2월 12일 : 주주 총회에서 차용규 전 [[울산방송]] 사장을 OBS 신임 사장으로 선임.
* 2009년 2월 16일 : 차용규 사장 취임.
* 2009년 8월 : 미디어 OBS를 방송통신위원회에 PP로 등록.
 
=== 2010년대 ===
* 2010년 4월 : 손용 사장 취임.
* 2010년 5월 : [[KT스카이라이프|스카이라이프]]를 통한 재송신 개시.<ref>{{뉴스 인용|제목 = OBS, 경인 지역 스카이라이프 재송신| url=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27|출판사 = 미디어스|저자 = 도형래|쪽 = |날짜 = 2010년 4월 29일|확인 날짜 = }}</ref>
* 2010년 5월 19일 : 경인일보-OBS 양사간 업무협약 조인.<ref>{{뉴스 인용|제목 = 경인일보 - OBS 업무 협약|url = 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519536|출판사 = 경인일보|저자 = 민정주|쪽 = |날짜 = 2010년 5월 20일|확인 날짜 = }}</ref>
* 2010년 6월 12일 : [[OBS W]] 개국.<ref>{{뉴스 인용|제목 = 스카이라이프, OBSW 론칭..`메이저 리그 생중계`|url =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DC13&newsid=01682646592968920&DCD=A01404&OutLnkChk=Y|출판사 = 이데일리|저자 = 유용무|쪽 = |날짜 = 2010년 5월 14일|확인 날짜 = }}{{깨진 링크|url=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DC13&newsid=01682646592968920&DCD=A01404&OutLnkChk=Y }}</ref>
* 2011년 3월 21일 : OBS 역외 재송신 허용 ([[대한민국 방송통신위원회|방송통신위원회]]).<ref>{{뉴스 인용|제목 = 서울서 경인TV 본다…방통위, 역외재송신 허용|url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32115270025696|출판사 = 아시아경제|저자 = 명진규|쪽 = |날짜 = 2011년 3월 21일|확인 날짜 = }}</ref>
* 2011년 8월 1일 : 서울 전 지역 [[대한민국의 케이블TV 방송|케이블TV SO]]를 통한 재송신 개시.<ref>{{뉴스 인용|제목 = [브리핑] 경인TV OBS, 1일부터 서울 전역으로 송출 시작 外|url = https://news.joins.com/article/5878848|출판사 = 중앙일보|저자 = |쪽 = |날짜 = 2011년 8월 1일|확인 날짜 = 2020년 8월 30일 }}</ref>
* 2011년 12월 28일 : [[용문산 (경기)|용문산 중계소]] 전파 송출 개시.
* 2012년 3월 20일 : [[SK브로드밴드]] [[B TV]]를 통한 재송신 개시.<ref>{{뉴스 인용|제목 = OBS, 수도권 전역 모든 플랫폼으로 본다|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4393628|출판사 = 뉴시스|저자 = 유상우|쪽 = |날짜 = 2012년 3월 18일|확인날짜 = }}</ref>
* 2012년 7월 1일 : 서울 지역 스카이라이프 HD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송신 개시.<ref>{{뉴스 인용|제목 = OBS, 수도권서 위성방송 재송신|url = https://www.yna.co.kr/view/AKR20120703165400005|출판사 = 연합뉴스|저자 = 윤고은|쪽 = |날짜 = 2012년 7월 3일|확인날짜 = 2020년 8월 30일}}</ref>
* 2012년 9월 12일 : [[SK브로드밴드]] [[B TV]]를 통한 재송신 권역을 [[서울특별시]] 전 지역으로 확대.<ref>{{뉴스 인용|제목 = 서울 위성방송 가입자도 OBS 본다|url =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159|출판사 = 미디어스|저자 = 이승욱|쪽 =|날짜 = 2012년 6월 28일|확인날짜 =}}</ref>
* 2012년 9월 29일: [[KT]] [[올레 TV]]를 통한 재송신을 개시.<ref name="iptv">{{뉴스 인용|제목 = KT IPTV 가입자, 채널 31번에서 OBS 시청가능|url =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982|출판사 = 미디어스|저자 = 곽상아|쪽 =|날짜 = 2012년 9월 25일|확인날짜 =}}</ref>
* 2012년 10월 16일 : [[LG유플러스|LG]] [[U+ TV]]를 통한 재송신을 개시.
* 2012년 12월 31일 : 오전 4시 수도권 지역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