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1 (e스포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전환됨
1번째 줄:
== 역사 ==
==== 스타크래프트 ====
[[2001년 12월]] 합병하여 창단된 [[화승 OZ|IS]]에서 [[2002년 11월]] [[임요환]]이 [[스타리그#SKY 2002 스타리그|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결승전을 치른 뒤 팀내 [[프로토스]]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팀을 나오게 된다. 한달 뒤인 [[2002년 12월]] [[오리온 (기업)|동양제과]]가 [[임요환]]과 스폰서십을 체결하여 높은 연봉과 연습실을 제공하였고, [[주훈]]을 [[임요환]]의 개인 매니저로 영입하였다. 이듬해 팀단위 리그인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의 개막 소식에 주훈이 선수들을 영입하기 시작했다. 한달 후인 [[2003년 1월]] 프로팀으로서의 기틀이 갖춰진 이후, '''동양 오리온(동양 Orion)'''이라는 이름의 팀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03년 3월]]에 개막된 첫 번째 프로리그인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에서 포스트 시즌을 거쳐 결승에 진출 하였으며 [[2003년]] [[8월 30일]]에 열린 결승전에서 [[웅진 스타즈|한빛 스타즈]](현 [[웅진 스타즈]])를 4:1로 꺾고 팀내 첫 우승을 일궈냈다.
 
[[오리온 (기업)|동양제과]]의 후원 기간이 끝난 [[2003년]] [[12월 22일]] 정식으로 팀의 인수를 요구했지만, 후원자금의 규모에 대한 이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협상이 그대로 결렬되었다. 그로 인해 '''4U'''(4Union)팀으로 바뀌어 한동안 비기업 팀으로 활동하다가, [[2004년]] [[4월 13일]] [[SK텔레콤]]에 인수되어 '''SK텔레콤 T1'''으로 재창단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5년]]부터 [[2006년]]까지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에서 4회 연속 우승을 이루어, 오버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임요환]], [[성학승]]의 군입대로 전력이 쇠퇴하자 급격히 성적이 추락하기 시작했고, 여기에 전기리그에서의 여러 시스템의 실패와 후기리그에서의 개인전 성적 부진이 겹치면서 걷잡을 수 없이 폐해가 심해지자 끝내 [[2008년]] [[1월 23일]], 3시즌 연속으로 이어진 성적부진을 이유로 주훈 감독, 서형석 코치, 이효민 코치가 경질되었다.
 
SK텔레콤 T1은 [[2008년]] [[2월 27일]], MBC게임의 전략코치였던 박용운 코치를 감독대행으로 선임하고, 작년까지 선수로 활동했던 [[최연성]], [[박용욱]] 두 선수를 코치로서 승격시키기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 후 [[김택용]]의 영입과 [[도재욱]]의 성장으로 2008 시즌에선 오랜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2008년]] [[10월 1일]]에 박용운 감독대행이 감독으로 정식 승격한 이후 출전한 08-09시즌에서는 [[프로토스]]라인이 선전했음에도 [[저그]] 라인이 1라운드 전패라는 전무후무한 불명예의 부진으로 프로리그 하위권에 머물렀고 결국 극단의 조치를 취해야 했다. 10월 28일, 최연성이 플레잉코치로 변경을 시작으로, 같은 해 [[10월 31일]]엔 비욘세사건으로 방출되었던 김성제가 복귀하고, 2라운드 직전인 [[11월 26일]]에는 MBC게임의 저그 선수 정영철을 영입하며 다른 저그 팀원들 까지도 성적이 좋아졌다. [[2009년]] [[1월 17일]]부터 시작된 3라운드 - 위너스 리그에서는 [[2008년]] [[12월 21일]] 제대한 임요환이 개막전(vs 공군전)에서 오영종과의 경기에 출전하였지만 지고 말았다.
 
[[2009년 3월]]에는 [[프로리그 (스페셜포스)|스페셜포스 프로리그]] 개막을 앞두고 펼쳐진 [[스페셜포스]] 프로게임단 드래프트에서 P-plus.innovation 클랜을 지명하여 창단하였다. 생각대로T SF프로리그 2009 1st의 1라운드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2라운드 초반에 좋은 성적을 거두어 2위로 올라서기도 했으나, 끝내 2라운드 전승의 [[이스트로]]에게 밀려 최종적으로 3위로 확정되었다. 이후 최종 순위 3위와 4위가 맞붙는 준플레이오프에서 클랜 [[Archer (e스포츠)|Archer]]를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2위팀 [[이스트로]]에게 패배해서 3위로 리그를 마감하였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서는 08-09 시즌의 막바지 5라운드에서 막판에 화승 OZ를 따돌린 후 1위로 결승전에 직행해, 3년 만에 광안리 진출 티켓을 따냈고, [[2009년]] [[8월 7일]]과 [[8월 8일]] 결승전 1,2차전에서 화승 OZ를 2:0으로 꺾고 프로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 (1차전 - 4:0, 2차전 - 4:3). 또한 [[김택용]]이 정규시즌 MVP를 차지하였으며, 결승전 MVP로 [[정명훈 (프로게이머)|정명훈]]이 선정되었다.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결승전에서는 [[박재혁 (프로게이머)|박재혁]]이 선봉으로 출전하여 STX선수들을 차례대로 4명을 꺾으며 우승을 차지하는데 일조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