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랑드르 회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전거 통제 틀 추가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1번째 줄:
플랑드르 르네상스가 끝나갈 무렵 [[저지대 국가]]의 북부와 남부가 정치적으로 분리되었다. 1585년 [[안트베르펜 공성전]] 이후=== 네덜란드 남쪽 지방은 [[스페인 군주국]]의 통치하에 남아, 신생 독립국으로 나아간 [[네덜란드 공화국]]과는 별개의 지역으로서 '플랑드르'가 된 것이다.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파일:Van_Eyck_-_Arnolfini_Portrait.jpg|섬네일|246x246픽셀|[[얀 판 에이크]]의 아르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
'''플랑드르 회화''' (Flemish painting)는 [[15세기]] 초부터 [[17세기]]까지 번성한 [[저지대 국가]] 중부 일대의 [[회화]]를 말한다. 플랑드르 회화는 저지대 북부, 즉 근대 [[네덜란드]] 회화와 점차 구별되어 발달한 회화이다.
 
플랑드르 회화는 오늘날 [[벨기에]] 북부의 [[플란데런]] 지역의 회화로 받아들여지기 쉬우나, 엄밀히 말하면 [[플란데런 백국]] (오늘날 프랑스 최북단과 벨기에 플란데런 서부), [[투르네지]] (벨기에 [[투르네]]), [[브라반트 공국]] (벨기에 중앙부와 네덜란드 남부) 일대를 가리키는 '옛 플랑드르'에 해당된다. 벨기에 현지에서는 이 둘의 구분을 제대로 하고 있으나, 대다수 외국 학자와 저자들은 엄밀한 구분 없이 비슷한 지역으로 뭉뜽그려 왔다.
 
[[플랑드르 악파]]도 플랑드르 회화와 거의 동시기에 번성하였다.
 
== 역사 ==
=== 후기 고딕과 르네상스 ===
{{참고|플랑드르파}}
플랑드르 회화의 초기는 1400년대부터 1520년경까지에 해당되며, [[저지대 국가]] 전 지역을 아울러 발달한 회화이다. 이는 곧 [[플랑드르파]]라고 칭하는데, 영어권에서는 보다 명확한 구분을 위해 '초기 플랑드르 회화', 혹은 저지대 전체를 아우른다는 점에서 '초기 네덜란드 회화'라고도 부른다. 이 시기 회화는 플랑드르 남부가 지배했지만 저지대 북부, 네덜란드 일대의 화가들도 중요하게 다뤄진다.
 
이 시기 화가들은 [[유화]] 물감을 최초로 대중화하였으며, [[국제 고딕|후기 고딕 시대]]의 [[세밀화]]에 기원을 두고 있다. 대표 화가로는 [[얀 판 에이크]], [[한스 멤링]], [[휴고 반 데르 고스|휴고 판 데어 구스]], [[로버트 캄핀|로베르 캉팽]], [[로히어르 판 데르베이던]]이 있었다. 이들 화가의 핵심 후원처로는 [[부르고뉴 공국]]의 궁정이 있었다.
 
16세기 초부터 [[이탈리아 르네상스]]는 알프스 너머 플랑드르 화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그 결과는 전형적인 이탈리아 르네상스 그림과는 매우 달랐다. 1520년부터 1580년경까지의 회화에 해당되는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르네상스 회화|플랑드르 르네상스 회화]]는 [[안트베르펜]]을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대표 화가로 [[피터르 브뤼헐 더 아우더]]가 있다. 그는 통상적인 북유럽 매너리즘 회화와는 달리 이탈리아의 직접적인 영향을 피하였다.
[[파일:Peter_Paul_Rubens_(1577-1640)_Zelfportret_-_Rubenshuis_Antwerpen_27-09-2021.jpg|섬네일| [[페테르 파울 루벤스]]의 자화상]]
 
=== 바로크 ===
플랑드르 르네상스가 끝나갈 무렵 [[저지대 국가]]의 북부와 남부가 정치적으로 분리되었다. 1585년 [[안트베르펜 공성전]] 이후 네덜란드 남쪽 지방은 [[스페인 군주국]]의 통치하에 남아, 신생 독립국으로 나아간 [[네덜란드 공화국]]과는 별개의 지역으로서 '플랑드르'가 된 것이다.
 
17세기 전반기에 접어들면서 많은 예술가들이 종교 전쟁을 피해 [[네덜란드 남부|남네덜란드]]에서 [[네덜란드 공화국]]으로 이주하면서 [[네덜란드 황금기 회화]]를 꽃피웠지만, 비슷한 시기 플랑드르 바로크 회화는 그에 못지않은 바로크 화풍, 특히 [[안트베르펜파]]를 중심으로 발전해 나갔다. [[페테르 파울 루벤스|루벤스]], [[안토니 반 다이크]], [[야코프 요르단스|야콥 요르다엔스]]가 대표 화가로 꼽힌다.
 
이 시기 플랑드르는더 보기
이 시기 플랑드르는 북유럽을 대표하는 화가들의 고장으로 거듭났고, 타국의 여러 유망한 젊은 화가를 끌어들이는 계기가 되었다. 플랑드르 화가들은 다른 국가의 회화파로 진출하였고 유럽 전역에 영향을 끼쳤다.
 
=== 쇠퇴와 부활 ===
1640년 루벤스를 비롯한 주요 화가들이 사망하고, 1648년 [[네덜란드 독립 전쟁|80년 전쟁]]이 종결되면서 플랑드르의 예술은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이후 이 지역에서 회화 예술이 부흥한 것은 [[나폴레옹 시대]]가 끝나고 1830년 [[벨기에 혁명]]이 벌어지던 시기로, 플란데런의 작가들은 [[옛 거장]]들이 세운 명성에 다시 한 번 기여해 왔다.<ref name="myfundi">
{{백과사전 인용|출판사=MyFundi}}
</ref>
 
부활기의 작품 역시 플랑드르 회화로 분류되는 경우가 종종 있긴 하나,<ref name="insecula">
{{웹 인용|url=http://www.insecula.com/oeuvre/O0025869.html|제목=Guide de visite : Episode des journées de septembre 1830 sur la place de l'Hôtel de Ville de Bruxelles|웹사이트=Musée d'Art Ancien (Musées royaux des Beaux-Arts de Belgique) — Peinture flamande – Ecoles du Nord — XIXème siècle en Belgique|출판사=Insecula Society, Thailand|언어=fr|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713040724/http://www.insecula.com/oeuvre/O0025869.html|보존날짜=13 July 2011|url-status=dead|확인날짜=16 February 2011}}</ref> 애국주의 시대를 거쳐 번성하게 된 화가들은 이제 플랑드르보다는 [[벨기에]] 화가로 불리우기 시작하였다. 이는 비교적 최근의 예술가 분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더 보기 ==
* [[부르고뉴령 네덜란드|부르고뉴 네덜란드]]
* [[네덜란드 황금 시대|네덜란드 황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