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42번째 줄:
* 1960. 위대한 애국 전쟁 이후 국가 도시의 복원 및 재건을 위한 기본 계획을 가장하여 건축 기념물의 파괴가 계속되었습니다. 벨로루시인들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건축 유산 측면에서 가장 큰 손실을 입었습니다 <ref>Касперович Л. [https://web.archive.org/web/20180313145029/https://news.tut.by/culture/583749.html Местные бабушки плакали: "Оставьте нам церковь". Деревянные храмы Беларуси, которые нужно увидеть], [[TUT.BY]], 12 сакавіка 2018 г.</ref>
* 1995.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가 집권 한 후 벨로루시의 국가 상징 인 흰색-빨간색-흰색 깃발과 역사적인 문장 "파호니아"가 수정 된 소련 상징으로 대체되었고 국가도 대체되었습니다. 또한, 러시아어는 제2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습니다(러시아어는 모든 교육 기관과 미디어에서 사용됩니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벨로루시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ref>{{Літаратура/Дзевяноста пяты (2015)|к}} С. 10.</ref>.
 
=== 연대기 ===
* 1690. 러시아 정교회는 당시 우크라이나 문학어로 인쇄된 교구 서적을 금지했는데, 이는 최초의 파기 사례였습니다. (이 정책은 헤트만 제도에 대한 러시아 보호령이 수립된 직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ref>[https://web.archive.org/web/20201027050204/http://movahistory.org.ua/wiki/XVII_%D1%81%D1%82#1690 XVII ст]</ref>
* 1720. 키예프와 체르니히프의 인쇄소에서 우크라이나어로 된 책의 인쇄를 금지하는 황제 피터 1세의 법령 <ref>[http://litopys.org.ua/ohienko/oh14.htm XIVЯК МОСКВА ЗНИЩИЛА ВОЛЮ ДРУКУ КИЄВО-ПЕЧЕРСЬКОЇ ЛАВРИ]</ref>
* 1764. 우크라이나, 스몰렌스크(벨로루시 민족 영토), 발트해 연안 국가 및 핀란드의 러시아화에 대한 캐서린 2세 황후의 지시. (러시아어 - обрусение) <ref>[https://archive.org/details/sirio007/page/n389/mode/1up?view=theater Собственноручное наставление Екатерины II князю Вяземскому при вступлении им в должность генерал-прокурора (1764 года)]</ref>
* 1784. 러시아 제국 영토에서 우크라이나어 초등 교육이 완전히 금지되었습니다
* 1786. 종교 예배에서 우크라이나어 사용과 고등 교육 기관에서 우크라이나어 교육을 금지합니다.
* 1831. 도시의 러시아 당국이 마그데부르크 법을 폐지하여 우크라이나어로 법원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불가능해졌습니다
* 1862년. 우크라이나 교구 학교가 문을 닫습니다. 우크라이나 문학, 과학, 정치 저널 "기초"의 출판이 중단되었습니다
* 1863. 년 표트르 발류프 내무장관 법령에서 그는 "우크라이나어도 없고, 있을 수도 없으며,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러시아의 적이다"라고 선언했습니다 <ref>[http://resource.history.org.ua/cgi-bin/eiu/history.exe?&I21DBN=EIU&P21DBN=EIU&S21STN=1&S21REF=10&S21FMT=eiu_all&C21COM=S&S21CNR=20&S21P01=0&S21P02=0&S21P03=TRN=&S21COLORTERMS=0&S21STR=Valuievskyj_tsyrkuliar ВАЛУЄВСЬКИЙ ЦИРКУЛЯР]</ref>
* 1876. 엠스키 법령 . 해외로부터 우크라이나 도서 수입 금지, 악보에 우크라이나어 텍스트 서명 금지, 우크라이나 공연 금지. 콘서트 중에 유명한 작곡가 Mykola Lysenko의 합창단은 우크라이나 민요 "Rain"을 프랑스어로 불러야했습니다.
* 1881. 사전을 우크라이나어로 인쇄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러시아어 철자를 준수하는 법
* 1882. 러시아 정부는 외국 문헌이 우크라이나어로 번역되는 것을 막기 위해 검열관에게 외국 문헌 기록의 출판을 엄격히 감시하라고 명령했습니다.
* 1887. 년에 검열관은 읽지 않은 우크라이나어 문법 원고를 저자에게 보내어 "존재하지 않을 언어의 문법 출판을 허용하지 마십시오"라고 썼습니다.
* 1888. 알렉산더 3세 황제의 법령 "공식 기관에서 우크라이나어 사용 금지"
* 1889. 키예프에서는 고고학 회의 중에 우크라이나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로 연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 1894. 해외에서 우크라이나 서적을 수입하는 것이 금지되었습니다.
* 1895. 러시아 제국에서 우크라이나 아동 도서 출판이 금지되었습니다.
* 1903. 작가 이반 코틀랴레브스키 의 기념비가 폴타바 에서 열렸을 때 그들은 연설을 읽고 우크라이나어로 말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 1905. 러시아 내각은 우크라이나어 금지 조치를 해제해 달라는 키예프와 하르키우 대학의 요청을 "비실용적"이라며 거부했습니다.
* 1906~1907년에 우크라이나어 신문 "프로스비타"가 오데사와 미콜라이프 에서 문을 닫았습니다.
* 1908년. "우크라이나의 교육 개선은 러시아에 해롭고 위험하다"는 상원 법령.
* 1910. 우크라이나인을 외국인 범주에 포함시키고 우크라이나 정치 조직 창설을 금지하는 것에 관한 러시아 스톨리핀 장관 협의회 의장 법령.
* 1913. 년에 키예프 지역 장은 학생들이 우크라이나 연극 공연에 참석하는 것을 금지하는 명령을 발표했습니다.
* 1914. 뛰어난 우크라이나 작가 타라스 셰브첸코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명절이 러시아 제국에서 금지되었습니다
* 1914. 뛰어난 우크라이나 작 [[타라스 셰우첸코|가 타라스 셰브첸코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명절이 러시아 제국에서 금지되었습니다 <ref> [https://kpi.ua/shevchenko-revolt Ювілей Т.Г. Шевченка і студентські заворушення в Києві 100 років тому]</ref>
* 후에 [[소련-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소련 권력의 수립, 러시아의 일부가 된 우크라이나인 거주 지역에서 우크라이나어 신문 "프로스비타"의 금지
* 1929. 소련 보안군에 의한 우크라이나 지식인과 정치인의 최초 대량 체포(우크라이나 SSR의 "우크라이나화"는 미래의 억압 피해자를 식별하기 위해 1920년대에 수행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1933. [[홀로도모르]] 기간 동안 우크라이나화를 중단하라는 스탈린의 전보가 출판되었습니다
* 1937. 우크라이나 지적 엘리트, 예술가, 작가, 영화 감독, 건축가의 대부분의 대표자들에 대한 소련 특별 서비스의 총격 사건 (당국에 의해 총에 맞지 않은 사람들은 [[굴라크]]로 보내지거나 강제로 자살했습니다) <ref name="слюніна">Українська література ХХ століття: навч.-метод. посіб. для студентів 2-го курсу, які навчаються за спец. 035&nbsp;— Філологія (заоч. форма) / Нар. укр. акад., [каф. українознавства; упоряд. О.&nbsp;В.&nbsp;Слюніна].&nbsp;— Харків: Вид-во НУА, 2018.&nbsp;— 128 с.</ref> <ref>''[[Червоний ренесанс]]. Фільм третій: Безодня (1930—1934)''.&nbsp;— [[Контакт (кіностудія)|Кіностудія «Контакт»]]. 2004.&nbsp;— 12:06/51:33.</ref> <ref>[[Лавріненко Юрій Андріанович|Юрій Лавріненко]]. [http://fmm51.org.ua/html_books/lavrinenko_rozstriliane_vidrodzhennia.htm Розстріляне відродження: Антологія 1917—1933.]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1213085603/http://fmm51.org.ua/html_books/lavrinenko_rozstriliane_vidrodzhennia.htm |date=13 грудня 2010 }}&nbsp;— Київ: [[Смолоскип (видавництво)|Смолоскип]], 2004.</ref> <ref>Іменник мартиролога українського письменства // [[Жулинський Микола Григорович|Микола Жулинський]]. [http://www.sbu.gov.ua/sbu/doccatalog/document?id=42800 Безодня української печалі…]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1021213959/http://www.sbu.gov.ua/sbu/doccatalog/document?id=42800 |date=21 жовтня 2010 }}</ref> <ref>''[[Червоний ренесанс]]. Фільм третій: Безодня (1930—1934)''.&nbsp;— [[Контакт (кіностудія)|Кіностудія «Контакт»]]. 2004.&nbsp;— 47:01/51:33.</ref> <ref>[http://ukrlife.org/main/evshan/martyrolog.htm …З порога смерті…: Письменники України&nbsp;— жертви сталінських репресій.]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1201092305/http://ukrlife.org/main/evshan/martyrolog.htm |date=1 грудня 2010 }}&nbsp;— Упорядник [[Мусієнко Олекса Григорович|Мусієнко О. Г.]]&nbsp;— Київ, 1991.</ref>
* 1938. 우크라이나 학교에서 러시아어 의무 학습에 관한 크렘린 법령.
* 1958. 우크라이나 학교를 러시아어 교육으로 전환하는 것에 관한 공산당 총회 결의안. 우크라이나 SSR의 베르코브나 라다(Verkhovna Rada)는 1959년 9월 17일 관련 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 1961. 소련 공산당 제22차 대회 — 당의 새로운 강령 — "국가들을 하나의 소련 국민으로 통일".
* 1975. 소련의 검열로 인해 우크라이나 작가의 작품이 축약된 형태로 출판되었습니다.
* 1980. 소련 당국의 요청으로 우크라이나 지식인과 반체제 인사들이 다시 체포되어 노동 수용소에 갇혔고, 정신과 징벌적 고문도 당했다.
* 2014.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는 학교가 러시아 교육으로 전환되고, 러시아인들은 공개적으로 우크라이나 서적과 국가 상징물을 불태우고, 우크라이나 코사크 기념비를 철거합니다 <ref>[https://web.archive.org/web/20220508234920/https://www.bbc.com/ukrainian/ukraine_in_russian/2016/10/161027_ru_s_ukrainian_in_donetsk Школы "ДНР": как изучают украинскую историю и язык?]</ref>
* 2016. 점령 중인 러시아군은 크림반도에 우크라이나어 학교를 단 하나만 남겼습니다. 공식적으로는 우크라이나어 학습이 허용되지만 비공식적으로는 그러한 시도가 적극적으로 차단됩니다 <ref>[https://web.archive.org/web/20220509000046/https://ru.krymr.com/a/29219102.html Искоренить идентичность: как из крымских школ выдавливают украинский язык]</ref>
* 2019. 크리미아의 마지막 우크라이나어 학교가 문을 닫았습니다. 부모님에 따르면 모든 과목은 실제로 러시아어로 가르쳤습니다 <ref>[https://web.archive.org/web/20220509000048/https://ru.krymr.com/a/news-v-krimu-ne-ostalos-shkol-s-obucheniem-na-ukrainskom-yazike/29842791.html В Крыму не осталось ни одной школы с обучением на украинском языке – правозащитники]</ref>
* 2022. 일시적으로 점령된 영토에 주둔한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문학과 우크라이나 역사 교과서를 압수하고 파괴했으며 교사들이 학교에서 러시아어로만 교육 과정을 진행하도록 강요했습니다 <ref>[https://language-policy.info/2022/09/linhvotsydna-stratehiya-kremlya-u-rosiji-hochut-rehulyuvaty-normy-ukrajinskoji-movy-azh-do-zlyttya/ Лінгвоцидна стратегія Кремля: у Росії хочуть «регулювати норми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аж до злиття]</ref>. 2022년에 점령 당국은 우크라이나 남동부의 교사들을 "러시아 교육 표준"으로 전환하기 위해 소위 재훈련 캠프를 만들었습니다 <ref>[https://web.archive.org/web/20220404080748/https://life.pravda.com.ua/society/2022/03/16/247835/ Росіяни хочуть скасувати українську мову, літературу та історію у школах під окупацією]</ref> <ref>[https://web.archive.org/web/20220405005345/https://www.radiosvoboda.org/a/novyny-pryazovya-okupatsiya-peresliduvannya-vchyteliv/31782322.html Змушують вчити російською». На півдні України військові РФ полюють на освітян]</ref>{{,}}<ref>[https://m.censor.net/ua/news/3342092/v_melitopoli_okupanty_nyschat_knygy_z_istoriyi_ukrayiny В Мелітополі окупанти нищать книги з історії України]</ref>
* 2023. 임시 점령 지역에서 러시아인들은 일반 도서관과 학교 도서관의 기금에서도 우크라이나어 서적을 제거하여 보일러실에서 불태웠습니다 <ref>[https://sprotyv.mod.gov.ua/okupanty-spalyuyut-na-tot-ukrayinski-knygy-v-kotelnyah/ Окупанти спалюють на ТОТ українські книги в котельнях]</ref>
 
== 핀란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