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여성기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홈페이지 공식 내용 반영
태그: 되돌려진 기여 nowiki 추가됨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유엔 여성유엔여성기구(UN 기구Women)''' 알려진 '''성평등과 여성의여성 권한을역량 위한강화를 국제연합기구'''는위해 여성의2010년 권한을 위해 일하는설립된 [[유엔|국제연합]]이다 기구로 여성의 권익을 옹호하는 글로벌 챔피언이다.
 
유엔여성기구는 유엔회원국이 성평등 달성을 위한 국제적 기준을 마련하고, 정부 및 시민 사회가 협력하여 이런 기준을 효과적으로 준수하는 데 필요한 법과 규제를 개선하고, 전 세계 여성이 진정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데 필요한 정책, 프로그램,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원한다. 유엔여성기구는 전 세계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비전을 모든 여성의 삶에서 실현하고 여성의 동등한 참여를 지지하고자 다음 네 가지 전략적 과제에 집중한다.
유엔 여성 기구는 2011년 1월에 만들어졌다.<ref>http://www.unwomen.org/</ref> 칠레 전 대통령 [[미첼 바첼레트]]는 첫 전무이사였고, [https://en.wikipedia.org/wiki/Phumzile_Mlambo-Ngcuka Phumzile Mlambo-Ngcuka]가 현 전무이사이다.<ref>http://www.unwomen.org/en/news/stories/2013/7/phumzile-mlambo-ngcuka-appointed-as-new-un-women-executive-director</ref> 이전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72775&cid=51299&categoryId=51300 유엔여성개발기금]과 함께 유엔 여성 기구는 [[유엔 개발 그룹]]의 일원이다.<ref>{{웹 인용 |url=http://undg.org/index.cfm?P=13#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13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124073925/http://www.undg.org/index.cfm?P=13# |보존날짜=2015-01-24 |url-status=dead }}</ref>
 
거버넌스 및 공적 생활 참여: 여성이 의사 결정에 완전하고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으며, 성인지적인 법, 정책, 예산, 서비스, 또한 책임성 있는 기관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역사 ==
유엔 총회 결의안 63/311에 응하여, 사무 국장은 "양성평등과 여성의 권한을 위한 혼합독립체를 위한 포괄적인 제안" 보고서 A/64/588을 2006년 1월에 발표했다. 그의 보고서에서, 사무 국장은 성평등과 여성의 권한의 촉진에 기여하기 위한 국제연합 체계의 책임의 다른 부분을 경감시키기 보다는 새로운 독립체가 국제 연합 체계 전체의 양성 평등 활동들의 초점과 영향을 더 분명히 추구해야 한다고 결심했다. 추가적으로, [[반기문]] 사무 국장은 매년 대략 1억 2500만 달러가 운영 비용과 국가, 지역의 그리고 본부의 수준에서의 초기 착수 수용력을 위해 필요하다고 어림했다. 더 나아가, 매년 3억 7500만 달러의 추가적인 돈이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국가 수준 요청에 응하기 위한 시초의 양상에서 필요하다.<ref>http://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A/64/588</ref>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 여성이 소득의 안정성, 좋은 일자리, 경제적 자율성을 누린다.
유엔 회원국, 여성 단체 그리고 시민 사회 사이에서 몇 년간의 협상 후에, 유엔 총회는 2010년 7월 2일 만장일치로 결의안 64/289를 도입했다. 그리하여 여성지위향상국(DAW), 여성훈련원(INSTRAW), 젠더관련사무총장 특별자문관실(OSAGI) 그리고 국제연합여성발전기금(UNIFEM)이 통합되어 유엔 여성 기구가 만들어졌다. 반기문 사무총장은 설립지에서 "세계의 여성과 소녀들을 위해 이 중요한 조치를 취해온 회원국들에게 감사하다. 유엔 여성 기구는 지구를 둘러싼 양성평등, 기회 확산, 그리고 차별 해소 촉진을 위한 UN의 노력을 상당히 북돋을 것이다."라고 선언했다.<ref>http://www.unwomen.org/en</ref>
 
여성폭력 종식: 여성이 모든 종류의 폭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누린다.
2010년 11월 14일, 칠레 전 대통령 [[미첼 바첼레트]]가 유엔 여성 기구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고 알려졌다.<ref>http://www.ipsnews.net/2010/09/michelle-bachelets-appointment-to-head-un-women-widely-applauded/</ref> 다양한 국가들이 중앙부의 창조를 지지하였고 수장으로서의 바첼레트를 환영하였다.<ref>http://www.un.org/en/ga/65/meetings/generaldebate/View/Sept24.aspx</ref> 국제 연합의 65번째 총회의 개막식에서의 대체토론 중에, 세계 지도자들은 첫 수장으로서의 바첼레트의 지위를 환영할 뿐만아니라 중앙부의 창조와 그것의 여성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목적을 권하였다.<ref>http://www.un.org/en/ga/69/meetings/gadebate/</ref>
 
여성, 평화, 안전, 인도주의적 활동과 재난 위험 경감: 여성이 지속가능한 평화와 재난 회복력을 구축하는 일에 기여하고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며, 자연 재해 및 분쟁 방지와 인도주의적 활동으로부터 동등한 혜택을 받는다.
본부는 [[미국]] [[뉴욕]]에 있다.
 
또한 유엔여성기구는 2030 어젠다와 관련된 모든 고려 사항과 협약에서 유엔 시스템의 성평등 증진 활동을 조율하고 장려하며, 성평등을 지속가능개발목표의 핵심 요소로 만들고 보다 포용적인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https://asiapacific.unwomen.org/en/countries/rok/kr/about-unwomen]
 
==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 UN Women Centre of Excellence for Gender Equality ==
유엔여성기구는 대한민국에서는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유엔여성기구 성평등센터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성평등과 여성·여아의 역량 강화를 집중 전담하는 유엔 기구로, 2022년 대한민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설립됐다. 센터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지식·파트너십 허브로서 한국을 넘어 아시아태평양 지역 이해관계자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성평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공공·민간 부문의 정책 입안자와 실무자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https://asiapacific.unwomen.org/en/countries/rok/kr]
 
== 각주 ==
{{위키공용분류}}https://asiapacific.unwomen.org/en/countries/rok/kr/about-unwomen
<references/>
 
https://asiapacific.unwomen.org/en/countries/rok/kr<nowiki/>{{유엔}}
{{유엔}}
{{전거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