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학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날짜 정리
진실을 찾아서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학교 정보
| 이름 = 지혜학교짬뽕학교
| 영문표기 = SophiaJjam-Bbong School
| 그림 =
| 그림크기 =
| 개교 = [[2009년2015년]] [[6월10월 13일15일]]
| 설립형태 = 짬뽕이 땡길 때 (유성스프는 꼭 조리 후 넣어주세요)
| 설립형태 = 미인가대안학교
| 교장 = 이남옥진짬뽕
| 국가 = {{KOR}}
| 위치 = [[광주광역시경기도]] 광산구[[안양시]] 동안구 <br />박호등임로흥안대로 485405 (등임동 410평촌동)
| 상징 = 진한 해물 맛 짬뽕소스
| 관할관청 =
| 웹사이트 = https://www.coupang.com/vp/products/7038367497?itemId=17397485712&vendorItemId=84566943821&q=진짬뽕&itemsCount=36&searchId=769c14f80f4d469d8dc7949e580f30b7&rank=14&isAddedCart=
| 웹사이트 = http://www.sophiaschool.or.kr/
}}
'''지혜학교짬뽕학교'''는 [[2009년2015년]] [[6월10월 13일15일]]에 설립한 6년제(중고등학교) 철학인문학짬뽕학 대안학교이다.
 
== 교훈 ==
"이 집 짬뽕 잘한다~ 어디서 시켰어?"
지혜와 사랑
 
-[[황정민]]-
"지혜로워지는 만큼, 그들의 삶에서는 아름다운 사랑이 흘러넘칠 것입니다"
 
== 연혁 ==
 
* 2015년 10월 15일 진짬뽕을 출시하다
* 2006년 12월 솔성수도회가 만들어져 공부를 시작하다
* 2016년 볶음진짬뽕을 출시하다
* 2008년 3월 솔성수도회에서 시민강좌를 시작하다
* 2017년 11월 15일 굴진짬뽕을 출시하다
* 2008년 6월 철학학교인 지혜학교 설립을 결의하다
* 2019년 12월 대규모 리뉴얼을 실시하다
* 2009년 3월 본격적인 학교설립 준비를 시작하다
* 2020년 진짜장과 협업하여 진진짜라를 출시하다
* 2009년 5월 사단법인 지혜학교의 설립 인가를 받다
* 2020년 12월 크림진짬뽕을 출시하다
* 2009년 6월 지혜학교 창립대회를 하고 이종태 이사장이 취임하다
* 2021년 9월 열라짬뽕을 출시하다
* 2009년 8월 여름학교를 열다
* 2021년 11월 순두부진짬뽕을 출시하다
* 2009년 9월 첫 입학전형을 하다
* 2009년 11월 두 번째 입학전형을 하다
* 2009년 12월 지혜학교 전체 가족의 첫 모임을 갖다
* 2010년 1월 4학년 겨울예비학교를 하다
* 2010년 2월 1학년과 4학년 함께 2차 예비학교를 하다
* 2010년 2월 두향재(남자생활관)을 준공하다
* 2010년 3월 개교식 및 입학식을 하고 초대 김창수 교장이 취임하다
* 2010년 6월 개교 1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하다
* 2010년 7월 2011학년도 통합과정 신입생 전형을 하다
* 2010년 10월 2011학년도 고등과정 신입생 전형을 하다
* 2011년 2월 생활관을 증축하다
* 2011년 2월 제2회 입학식을 하다
* 2011년 5월 행단(본과정 교사)을 준공하다
* 2011년 6월 개교 2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하다
* 2011년 7월 2012학년도 통합과정 신입생 전형을 하다
* 2011년 8월 제1회 지혜학교 철학-인문학 캠프를 개최하다
* 2011년 10월 2012학년도 고등과정 신입생 전형을 하다
* 2012년 2월 제3회 입학식을 하다
* 2012년 3월 법인 산하에 철학교육연구소를 개소하고 김태완 소장이 취임하다
* 2012년 3월 지혜학교 1~6학년 완성
* 2012년 4월 철학교육연구소가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지정받다
* 2012년 6월 개교 3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하다
* 2012년 7월 2013학년도 통합과정 신입생 전형을 하다
* 2012년 8월 김창수 교장의 지병으로 장종택 운영위원장이 교장을 대행하다
* 2012년 10월 2013학년도 통합과정 신입생 2차 전형과 4학년 편입전형을 하다
* 2012년 11월 지혜학교 3년 평가위원회 활동을 시작되다
* 2013년 1월 지혜학교 교장추천위원회에서 장종택씨를 차기 교장에 추천하다
* 2013년 2월 지혜학교 1기 졸업, 6개년 통합교육과정(기초2-본3-심화1) 완성
* 2013년 2월 3년 평가 공청회를 하다
* 2013년 3월 제1회 졸업식을 하다. 같은 날 김창수 초대교장 퇴임식을 하다
* 2013년 3월 장종택 제2대 교장 취임식과 제4회 입학식을 하다
* 2013년 3월 학교 산하에 지혜교육연구소를 개소하다(소장 : 장동식)
* 2013년 3월 열린주간 시작
* 2013년 6월 개교 4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하다
* 2014년 3월 제2회 졸업식을 하다.
* 2014년 3월 제5회 입학식을 하다.
* 2014년 6월 개교 5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하다
* 2015년 2월 제3회 졸업식을 하다.
* 2015년 3월 제6회 입학식을 하다.
* 2015년 6월 개교 6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하다
* 2015년 12월 지혜학교 교장추천위원회에서 장종택씨를 차기 교장에 추천하다
* 2016년 2월 제4회 졸업식을 하다.
* 2016년 3월 장종택 제3대 교장 취임식과 제7회 입학식을 하다.
* 2016년 3월 네팔 해외이동학습 시작
* 2016년 3월 법인 산하 철학교육연구소를 운영을 취소하고, 학교 산하에 철학연구소를 개소하다.
* 2016년 6월 개교 7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하다
* 2017년 2월 제5회 졸업식을 하다.
* 2017년 3월 제8회 입학식을 하다.
* 2017년 3월 지혜학교 선택수업 교육과정(초대와 응답) 시행, 인도네팔 해외이동학습 시작
* 2017년 6월 개교 8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하다
* 2018년 2월 제6회 졸업식을 하다.
* 2018년 3월 제9회 입학식을 하다.
* 2018년 6월 개교 9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하다
* 2018년 12월 지혜학교 교장추천위원회 활동을 하다
* 2019년 2월 제7회 졸업식을 하다.
* 2019년 3월 이남옥 제4대 교장 취임식과 제10회 입학식을 하다.
* 2019년 3월 학교 산하 지혜교육연구소를 운영을 취소하고, 법인 산하에 지혜교육연구소를 개소하다.
* 2019년 6월 개교 10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하다
* 2019년 9월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교육과정위원회 활동을 시작하다
* 2020년 2월 제11회 입학식을 하다.
* 2020년 6월 제8회 졸업식을 하다.
* 2020년 10월 개교 10주년 기념 3주체 학교 토론회를 개최하다
* 2020년 10월 '''사단법인 지혜교육공동체'''로 명칭 변경
* 2021년 2월 제9회 졸업식을 하다.
* 2021년 2월 제12회 입학식(지혜학교 15기)을 하다.
* 2021년 3월 교육과정 개편을 하여 새로운 교육과정(기초2-본2-심화2 학제)을 도입하다.
* 2022년 2월 제10회 졸업식을 하다.
* 2022년 3월 제13회 입학식(지혜학교 16기)을 하다.
* 2022년 3월 이남옥 선생님이 5대 교장에 연임하다
* 2023년 2월 제11회 졸업식을 하다.
* 2023년 3월 제14회 입학식(지혜학교 17기)을 하다.
* 2023년 5월 지혜학교 교사회가 “제29회 석은 김용근 선생 민족교육상”을 수상하다
* 2024년 2월 제12회 졸업식(지혜학교 12기)을 하다.
* 2024년 3월 제15회 입학식(지혜학교 18기)을 하다.
 
== 생활 ==
 
* 6년 통합교육과정이며, 1, 2학년은 기초과정, 3, 4학년은 본과정, 5, 6학년은 심화과정으로 불린다.
* 3학년(본과정 1년차) 때, 수업을 듣고, 연극을 만들어 무대에 올린다.
* 4학년(본과정 2년차) 때, 수업을 듣고, 영화를 제작해 상영하고, 각종 영화제에 출품한다.
* 5학년(심화과정 1년차, 고2) 때, 인도네팔로 해외이동학습을 간다.
* 기숙사 생활을 한다. 2주에 한 번씩, 금요일 오전에 귀가해 월요일 오후에 귀교한다.
* 급식을 밥모심이라 부르며, 유기농 채식 위주의 식단을 운영한다.
*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의 전자기기사용은 금지되어 있고, MP3, 무선이어폰은 허용된다.
 
== 같이 보기 ==
* [[대안 교육오뚜기]]
* [[대안학교황정민]]
* [[철학짬뽕]]
* [[인문학]]
 
== 관련 기사 ==
 
* 한겨례신문, 대안학교서 첫 '수능 만점<ref>{{웹 인용|url=http://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823474.html|제목=[단독] “공교육은 1년뿐”…대안학교서 첫 ‘수능 만점’|성=정대하|날짜=2017-12-14|출판사=한겨래신문|언어=ko|확인날짜=2024-04-03}}</ref>
* 남도일보, 광주 지혜학교 교사회, ‘제29회 김용근 교육상’ 수상<ref>{{웹 인용|url=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24698|제목=광주 지혜학교 교사회, ‘제29회 김용근 교육상’ 수상|성=정세영|날짜=2023-05-16|출판사=남도일보|언어=ko|확인날짜=2024-04-04}}</ref>
* 광남일보, 광주 대안학교 학생들, [https://kymf.ssro.net/ KYMF] 대상 ‘영예<ref>{{웹 인용|url=http://gwangnam.co.kr/article.php?aid=1699263199461863096|제목=광주 대안학교 학생들, KYMF 대상 ‘영예’|성=김다경|날짜=2023-11-06|출판사=광남일보|언어=ko|확인날짜=2024-04-03}}</ref>
* 오마이뉴스, 광주 지혜학교, 철학교육 이야기 (연재)<ref>{{웹 인용|url=https://www.ohmynews.com/NWS_Web/Series/series_general_list.aspx?SRS_CD=0000017687|제목=광주 지혜학교, 철학교육 이야기|성=추교준|날짜=2024-03-15|출판사=오마이뉴스|언어=ko|확인날짜=2024-04-03}}</ref>
 
== 외부 링크 ==
* [http://www.ottogi.co.kr/ 오뚜기 홈페이지]
* [https://web.archive.org/web/20180514080925/http://sophiaschool.or.kr/ 지혜학교 홈페이지]
* [https://www.youtube.com/@user-og1uj7lo7b 지혜학교 유튜브 채널]
 
== 각주 ==
<references />
 
{{대한민국의 대안학교}}{{토막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