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412번째 줄:
{{대한민국}}
{{강원도 (남)}}
{{대하민국의 도}}
{{한국의 지역}}
 
{{전거 통제}}
[[분류:강원도 (남)| ]]
[[분류:1395년 설치]]
줄 464 ⟶ 463:
* 1962년 12월 12일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2023년 6월 11일 대한민국의 강원도를 [[강원특별자치도]]로 개칭하였다.
=== 강원도의 분리 ===
{{참고|강원특별자치도|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5년에 강원도는 [[북위 38도#38선|38선]]을 기준으로 분할되어 북쪽은 소련군, 남쪽은 미국군이 진주하였다. 이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두 개의 정부가 각자 관할하게 되었다.
 
현재 남측의 강원도는 북측이 실효 지배하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이북5도위원회]]를 통한 형식적인 시장 및 군수 등을 임명하고 있다. 분단 후 북측은 함경남도 원산시를 강원도에 포함시키는 등, 당시의 행정구역을 일부 확장하였다. 단, 이는 대한민국에서 인정되지 아니한다.
 
남측은 북측의 강원도(원산시 등 구 함경남도령 제외)를 자신들의 강원도에 포함시키고 있지만, 북측은 자신들의 강원도를 북강원도, 남측을 남강원도로, 사실상 다른 도로 분리하고 있다.
 
== 행정 구역 ==
=== 조선 ===
《[[경국대전]]》에서 강원도의 관할로 1대도호부 1목 5도호부 7군 12현을 규정하고 있으며, 《[[대전통편]]》에서는 원주 목사가 강원도 관찰사를 겸임한다고 규정하였다.
{| class="wikitable"
|+ 조선 시대 법전에 따른 강원도의 행정 구역 직제<ref>[https://db.history.go.kr/law/ 조선시대법령자료] {{웨이백|url=https://db.history.go.kr/law/ |date=20231101045959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ref>
|-
! style="width: 14em;"| 수령과 그 품계
! [[경국대전]] (1484)
!
|-
| 부: 도호부사(都護府使), 종3품
| 5: {{hlist|회양(淮陽)|양양(襄陽)|춘천(春川)|철원(鐵原)|삼척(三陟)}}
| 7: {{hlist|회양(淮陽)|양양(襄陽)|춘천(春川)|철원(鐵原)|삼척(三陟)|영월(寧越)|이천(伊川)}}
|-
| 군: 군수(郡守), 종4품
| 7: {{hlist|평해(平海)|통천(通川)|정선(旌善)|고성(高城)|간성(杆城)|영월(寧越)|평창(平昌)}}
| 6: {{hlist|평해(平海)|통천(通川)|정선(旌善)|고성(高城)|간성(杆城)|평창(平昌)}}
|-
| 현: 현령(縣令), 종5품
| 3: {{hlist|금성(金城)|울진(蔚珍)|흡곡(歙谷)}}
| 3: {{hlist|금성(金城)|울진(蔚珍)|흡곡(歙谷)}}
|-
| 현: 현감(縣監), 종6품
| 9: {{hlist|이천(伊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