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시 참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출처 제시바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출처 제시바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42번째 줄:
이 사건에 대해 대한민국 고등학교 국사교과서는 "적색군의 감언이설에 속아 자유시로 이동하였고, 적색군을 도와 내전에 참전하였다. 그러나 적색군은 내전에 승리한 후 독립군의 무장을 강제로 해제하려 하였고, 이에 저항하는 독립군을 공격함으로써 무수한 사상자를 낸 이른바 자유시 참변을 야기하였다."고 설명하였다.<ref>국사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사(하),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57면, 위 조한나 논문에서 재인용.</ref>
 
*
== 연표 ==
* [[1917년]] 10월: 러시아의 [[10월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 멸망, [[러시아 내전]]발생
* [[1918년]] 7월: 일본군이 [[백군]]를 돕기 위해 [[시베리아]] 출동했지만 [[붉은 군대]]와 싸우던 [[미국]]과 [[체코슬로바키아]], 그 외의 연합군이 철수함.
* 1918년 [[11월 11일]]: [[독일]]의 항복으로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남
* [[1919년]] [[3월 1일]]: [[3·1 운동]] 발생.
* [[1920년]] 3월: [[니콜라옙스크 사건]]발생, 러시아에서 철수하는 일본군이 남하하는 과정에서 만주에 있는 조선 항일 무력단체들을 토벌하기로 함
* [[1920년]] 6월: [[봉오동 전투]] 발생. [[최진동]] 장군이 이끄는 [[북로독군부]]가 중국 지린성 허룽현 봉오동에서 일본군 제19사단과 싸워 크게 이김.
* [[1920년]] [[10월 21일]]: [[김좌진]] 장군의 [[북로군정서]]군, 최진동 장군과 [[홍범도]] 장군이 이끄는 부대가 함께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을 크게 물리침.
* 1920년 10월 ~ 1921년 4월: 연이어 대패한 일본군은 만주에 있는 한국독립군을 완전히 소탕하기 위해 [[간도참변]]을 일으켰다.
* [[1921년]] 1월: 일본군의 대대적 토벌로 인해 독립군은 전략상 노령(露領)으로 이동하게 되었는데, 이동중 밀산(密山)에서 독립군을 통합 재편성하여 새로운 [[대한독립군단]]을 탄생시킴. 병력은 약 '''3,500명''' 정도. [[대한독립군단]]이 [[러시아]] [[연해주]] [[자유시]]로 진입. 분산된 모든 독립군들을 자유시로 불러모음.
* 1921년 1월~6월: 수많은 부대가 총집결한 대한독립군단 내부에 군권장악과 관련 권력투쟁이 발생함.
* 1921년 [[6월 28일]] - 붉은 군대가 대한독립군단의 소수파인 공산주의자와 함께 대한독립군단을 공격함. 자유시 참변 발생. 분산되었던 조선의 독립군들이 모두 모여서 3500명의 대규모 부대를 이루어 놓은 것을 적군(赤軍)에 의해 사살, 부상당하거나 수용소로 끌려감. 탈출한 사람은 극히 드물었고, 연해주 지방의 조선독립군 세력은 모두 와해됨.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