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002:31AF:AB47:0:0:0:31AF:AB47(토론)의 36893200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동음이의 링크
2번째 줄:
{{다른 뜻 넘어옴|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과거 탈레반이 수립한 동명 국가|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996년)}}
{{아프가니스탄 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llang|ps|دامارت اسلامی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امارت|더 아프가니스탄 이슬라미 이마라트}}, {{llang|prs|امارت اسلامی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امارت|이마라티 이슬라미이 아프가니스탄}}, {{문화어|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추장국}}), 약칭 '''아프가니스탄'''({{llang|ps|l2=prs|افغانستان}})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이다국제적 승인 미획득 국가이다.<ref name="korea">{{보고서 인용|저자=주 아프가니스탄 대사관|url=https://overseas.mofa.go.kr/viewer/skin/doc.html?fn=20221201053838000.pdf&rs=/viewer/result/202302|제목=아프가니스탄 약황(2022. 12월)|출판사=외교부 주 아프가니스탄 대사관|날짜=2022년 12월 1일}}</ref>
 
[[내륙국]]으로 북쪽은 [[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 북동쪽은 [[중화인민공화국]], 동쪽과 남쪽은 [[파키스탄]], 서쪽은 [[이란]]과 맞닿아 있다. [[수도]]는 [[카불]]이다. 다민족 국가로서 주류 민족인 [[파슈툰족]]을 비롯해 [[타지크족]], [[하자라족]], [[우즈베크인]], [[아이마크인]] 등이 거주한다. 역사적으로 중동과 아시아의 여러 지역의 문화가 만나는 곳이었으며, 여러 세기를 거쳐 다양한 민족들의 고향이 되었다.
8번째 줄:
전략적인 위치로 인해 수많은 군사 활동이 이루어진 곳이 되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정복 세력으로는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알렉산더 대왕]], [[이슬람 제국]], [[몽골 제국]], [[대영제국]], [[소련]], 그리고 현대의 서방 세력에 이른다. 또한 [[쿠샨 제국]], [[에프탈|에프탈 제국]], [[사만 토후국]], [[사파르 토후국]], [[가즈나 제국]], [[고르 술탄국]], [[할지 술탄국]], [[무굴 제국]], [[호타크 제국]], [[두라니 제국]], 기타 등등의 제국들을 일으킨 민족들의 근원지가 되기도 하였다.<ref name="Galvin-PreIslamic">{{웹 인용|url=http://www.gl.iit.edu/govdocs/afghanistan/PreIslamic.html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11103002246/http://www.gl.iit.edu/govdocs/afghanistan/PreIslamic.html |archivedate=2001-11-03|title=The Pre-Islamic Period |publisher=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work=Afghanistan Country Study |first=Luke |last=Griffin |date=2002-01-14 |accessdate=2010-10-14}}</ref> 1747년,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두라니 제국]]을 세웠는데, 이 때가 근대 아프가니스탄의 시발점으로 여겨진다.<ref name="britannica-durrani">[http://concise.britannica.com/ebc/article-9354776/Ahmad-Shah-Durrani ''Ahmad Shah Durrani''], Britannica Concise.</ref> 나중에 두라니 제국의 도읍은 [[칸다하르]]에서 [[카불]]로 옮겨졌으며, 제국 영토 대부분은 이웃 강국들에게 빼앗겼다. 19세기 말, [[영국령 인도 제국]]과 [[러시아 제국]]이 "[[그레이트 게임]]"(The Great Game)을 벌이는 가운데 아프가니스탄은 두 제국의 [[완충국]]으로 전락하였다.<ref>The Decline of the Pashtuns in Afghanistan, Anwar-ul-Haq Ahady, Asian Survey, Vol. 35, No. 7. (Jul., 1995), pp. 621–634.</ref> 제3차 앵글로-아프간 전쟁 이후 1919년 8월 19일에 이 나라는 [[대영제국]]에게서 독립을 쟁취하였다. [[무함마드 자히르 샤|자히르 샤]]의 40년 통치 동안 아프가니스탄은 평화를 유지하였다.
 
1970년대 말부터 아프가니스탄은 [[아프가니스탄 전쟁|내전]] 상태에 빠진 상황이였으며, 1979년에 [[소비에트 연방의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2001년 [[미국]] 주도로 [[탈레반]]을 축출한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외국의 점령을 겪게 되었다. 2001년 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대서양 조약기구]] 군대로 구성된 [[국제 안보 지원군]](ISAF) 창설을 승인하였다. 아프가니스탄은 후발 개발도상국의 하나로, 농업과 목축업의 의존도가 높다. 현재 해외 원조로 재건되고 있으나 심각한 내부 분쟁을 겪고 있다. 최근에는 1000억 달러 규모의 전국적인 재건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mcclatchydc.com/news/nation-world/national/national-security/article24783502.html |title=Pentagon can’t account for $1 billion in Afghan reconstruction aid |publisher=mcclatchydc.com |date=2015-04-23 |accessdate=2015-09-08}}</ref> 미군 철수 직후 이어진 [[탈레반]]의 공격([[2021년 탈레반 공세]])으로 2021년 8월 15일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정부가 [[탈레반]]에 항복하고 대통령 등이 외국으로 도주함에 따라([[2021년 카불 함락|카불 함락]]), 아프가니스탄의 대부분은 [[탈레반]]에게 권력이 넘어가게 되었다.
1970년대 말부터 아프가니스탄은 공화주의자, 사회주의자 등의 반란으로 [[아프가니스탄 분쟁 (1978년~현재)|내전]] 상태에 빠졌으며 1979년에는 소련이 친소련 성향의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을 유지시키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으로 침공하며 10년에 걸친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발발하였다. [[무자헤딘]]으로 통칭된 반공 이슬람주의 무장세력들은 1989년 [[소련군의 아프가니스탄 철수]] 이후로도 아프가니스탄의 주도권을 두고 서로 내전을 벌이기 시작했고, 결과적으로 2001년 시점에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1996년)|이슬람 토후국]]이 영토의 85%를 장악하게 되었으나 [[알카에다]] 소탕을 명분으로 한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축출되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이후 탈레반과 정부군 사이에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아프가니스탄 전쟁]]이 지속되며 새로운 내전에 돌입한다. 2001년 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대서양 조약기구]] 군대로 구성된 [[국제 안보 지원군]](ISAF) 창설을 승인하였다.
 
2020년부터그러나 탈레반과판지시르주에 미국의있는 합의로민병대와 단계적인기존 미군정부군, 철수가부통령 시작됨과등의 함께정치가가 탈레반이합세하여 전쟁의[[판지시르 주도권을저항군]]을 장악하기결성해 시작하며([[2021년판지시르주]]에서 [[탈레반 공세]]) 끝내대한 2021년조직적 8월저항을 15일하며,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정부가이어가고 있었다. 하지만 미군의 철수를 시작으로 무너지고([[2021년탈레반]]이 카불승리하기 함락|카불시작하고 함락[[2021년 탈레반 공세]]), 마지막으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전쟁 토후국이(2001년~2021년)|아프가니스탄 재건되었다. 그러나전쟁]]은 [[판지시르주탈레반]] 등을승리로 기반으로끝나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은 충성파와멸망하고 반탈레반20년만에 세력이 조직적 저항을 이어가며아프가니스탄은 [[판지시르 분쟁탈레반]]의 손에 이어지고들어가게 있다되었다.<ref>{{웹 인용|title=An anti-Taliban front forming in Panjshir? Ex top spy Saleh, son of 'Lion of Panjshir' meet at citadel|url=https://www.theweek.in/news/world/2021/08/17/an-anti-taliban-front-forming-in-panjshir-ex-top-spy-saleh-son-of-lion-of-panjshir-meet-at-citadel.html|access-date=2021-08-17|website=The Week|language=en}}</ref><ref>{{웹 인용|url =https://marketresearchtelecast.com/the-panjshir-valley-what-is-the-main-bastion-of-resistance-against-the-taliban-advance-in-afghanistan/131364/|title=The Panjshir Valley: what is the main bastion of resistance against the Taliban advance in Afghanistan | date = 17 August 2021| publisher=Market Research Telecast}}</ref><ref name="week">{{뉴스 인용|date=August 17, 2021|title=An anti-Taliban front forming in Panjshir? Ex top spy Saleh, son of 'Lion of Panjshir' meet at citadel|work=[[The Week]]|url=https://www.theweek.in/news/world/2021/08/17/an-anti-taliban-front-forming-in-panjshir-ex-top-spy-saleh-son-of-lion-of-panjshir-meet-at-citadel.html|url-status=live|access-date=August 17, 202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10817065524/https://www.theweek.in/news/world/2021/08/17/an-anti-taliban-front-forming-in-panjshir-ex-top-spy-saleh-son-of-lion-of-panjshir-meet-at-citadel.html|archive-date=August 17, 2021}}</ref> 현재까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은 국제사회로부터 정통 정부로 승인받지 못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은 후발 개발도상국의 하나로, 농업과 목축업의 의존도가 높다. 현재 해외 원조로 재건되고 있으나 심각한 내부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는 1000억 달러 규모의 전국적인 재건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mcclatchydc.com/news/nation-world/national/national-security/article24783502.html |title=Pentagon can’t account for $1 billion in Afghan reconstruction aid |publisher=mcclatchydc.com |date=2015-04-23 |accessdate=2015-09-08}}</ref>
 
== 어원 ==
줄 24 ⟶ 22:
Regents Professor of Geography and Geology, University of Nebraska. Editor, Himalaya to the Sea: Geology, Geomorphology, and the Quaternary and other books). [https://web.archive.org/web/20091031052339/http://encarta.msn.com/text_761569370___42/Afghanistan.html Archived] 2009-10-31.</ref>
 
아프가니스탄은 수많은 [[인도-유럽 문명]]들이 상호작용하고 투쟁하던 독특한 연결점이며,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땅이었다. 오랜 세월 동안 이 땅은 온갖 민족의 터전이었는데, 그 가운데는 [[박트리아]], [[아리아 (태수령)|아리아]], [[아라코시아]] 등 [[인도이란인]]들도 있었다. 또 이 땅을 정복한 집단으로는 [[메디아 제국]], [[페르시아 제국]],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 [[셀레우코스 제국]], [[인도-그리스 왕국]], [[튀르크인]], [[몽골인]] 등이 있었다. 현대에는 [[영국]]과 [[소비에트 연방|소비에트]]가, 그리고 최근에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미국과 동맹국]]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전쟁을 벌이고 있다. 한편 아프가니스탄 원주민 집단은 주변의 [[이란고원이란 고원]], [[중앙 아시아]], [[인도 아대륙]]을 침략하여 자신들의 제국을 세우기도 하였다.
 
=== 이슬람 이전 시대 ===
[[파일:AsokaKandahar.jpg|섬네일|왼쪽|[[칸다하르]]에서 발견된 [[아소카]] 황제의 포고령. 기원전 3세기의 것으로 [[코이네 그리스어|그리스어]]와 [[아람어]]로 쓰여져 있다.]]
20세기에 이루어진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의 지리적 영역은 이웃 지역들과 문화, 교역으로 깊이 연결되어 있었다고 한다. [[구석기 시대]], [[중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그리고 [[철기 시대]]의 유물들이 아프가니스탄에서 발견되어 왔다. 도시 문명은 기원전 3000년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문디각 ([[칸다하르]] 인근의 남부 도시)은 인근의 [[인더스 문명]]의 식민지였을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더욱 최근의 발견들에 의하면, 인더스 문명이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지역까지 영역을 넓혀서, 현재의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그리고 인도 지역에 고대 문명이 존재했던 사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현재의 파키스탄 북동부에서 인도의 북서부와 아프가니스탄의 북동부까지 영역을 넓혔다. 인더스 문명의 유적이 아프가니스탄 북부에 위치한 쇼투가이의 [[아무다리야강아무다리야 강]]에서 발견된 바 있다.<ref name="The Ancient Indus pp.1">The Ancient Indus: Urbanism, Economy, and Society. pp.1</ref><ref>Kenoyer, Jonathan Mark (1998). Ancient cities of the Indus Valley Civilisation. pp.96</ref> 여러 작은 규모의 인더스 부락들도 아프가니스탄에서 발견되어 왔다.
[[파일:BamyanBuddha Smaller 1.jpg|위오른쪽|섬네일|[[바미얀 석불]] 중의 하나. 이슬람 세력의 아프가니스탄 정복 이전에 [[불교]]가 널리 포교되었다.]]
 
줄 47 ⟶ 45:
서기 1219년, [[징기즈칸]]과 [[툴루이]]를 비롯 그들의 [[몽골 제국]] 군사가 지역을 공격하였다. 그의 군사는 [[바미안]] 뿐만 아니라 헤라트와 1220년 발흐 지역을 섬멸, 파괴하였다. 몽골인의 파괴로 많은 주민들이 죽거나, 농촌 사회로 돌아가게 되었다. 몽골의 지배는 북서부 지역에서 [[일 칸국]]으로 지속되었고 [[할지 술탄국]]이 힌두쿠시 남부 지역의 아프간 부족 지역을 지배하였으나, 오래 가지 않아 1370년 [[티무르 제국]]을 건국한 [[티무르]]가 지역을 정복한다.
 
16세기 초, [[페르가나]]에서 온 [[바부르]]가 아르군 왕조가 지배하고 있던 카불을 함락시킨다. 그는 1526년에 [[델리]]를 정복하여 [[로디 술탄국]]을 멸망시키고 그 자리에 [[무굴 제국]]이 세워지게 한다. 16세기와 18세기 사이에는 [[부하라 칸국]], [[사파위 제국]], 그리고 무굴 제국이 지역의 부분들을 지배한다. 19세기 이전에는 아프가니스탄의 북서부 지역은 [[호라산]]이라는 지역명으로 불렸다. 호라산의 네 수도들 중 두 곳 ([[헤라트]]와 [[발흐]])은 현재의 아프가니스탄에 위치해 있었고, [[칸다하르]], [[자불주자불 주|자불리스탄]], 가즈니, 카불리스탄, 그리고 당시 아프가니스탄의 지역들이 호라산과 [[힌두스탄]] 사이의 변경지대였다.<ref name="EI">{{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cJQ3AAAAIAAJ&printsec=frontcover#v=onepage&q&f=false |chapter=Khurasan |title=The Encyclopaedia of Islam |page=55 |quote=In pre-Islamic and early Islamic times, the term "Khurassan" frequently had a much wider denotation, covering also parts of what are now Soviet Central Asia and Afghanistan |publisher=Brill |year=200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09231141/https://books.google.com/books?id=cJQ3AAAAIAAJ&printsec=frontcover |archivedate=2014-02-09 }}</ref><ref name="Routledge">{{서적 인용|title=Travels in Asia and Africa, 1325–1354 |last1=Ibn Battuta |edition=reprint, illustrated |year=2004 |publisher=Routledge |isbn=978-0-415-34473-9 |page=416 |url=https://books.google.com/books?id=zKqn_CWTxYEC&lpg=PP1&pg=PA180#v=onepage&q&f=false|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05002013/https://books.google.com/books?id=zKqn_CWTxYEC&lpg=PP1&pg=PA180 |archivedate=2014-04-05 }}</ref><ref name="Firishta">{{서적 인용|url=http://persian.packhum.org/persian/pf?file=80201016&ct=199 |title=The History of India |volume=6 |chapter=Chapter 200: Translation of the Introduction to Firishta's History |page=8 |accessdate=2010-08-22 |author=Muhammad Qasim Hindu Shah |others=Sir H. M. Elliot |publisher=Packard Humanities Institute |location=London |year=1560|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726121158/http://persian.packhum.org/persian/pf?file=80201016&ct=199 |archivedate=2013-07-26 }}</ref>
 
=== [[호타크 왕조]]와 두라니 제국 ===
줄 72 ⟶ 70:
=== 공산 혁명과 [[소련]]의 침공 ===
{{본문|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
[[파일:Day after Saur revolution in Kabul (773).jpg|섬네일|1978년 4월 [[샤우르 혁명]] 때 [[무함마드 다우드]] 대통령과 그의 일가 가족이 모두 살해되고 다음날 카불 아르그 대통령궁의 외경.]]
1978년 4월, 공산주의 정당인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PDPA)이 [[샤우르 혁명]]을혁명을 기점으로 아프가니스탄에서 권력을 잡게 된다. 공산 정부에 반대하던 세력은 몇 개월 만에 아프가니스탄 동부 지역에서 봉기를 일으키는데, 이는 곧바로 전국적으로 퍼져나가 [[무자헤딘]]이 이끄는 게릴라군이 정부군에 대항하는 내전으로 발전한다. 소련이 인민당을 지원하기 위해 몇 천명의 군사 고문을 보내는 동안, 파키스탄 정부는 반란군들에게 비밀 훈련소를 제공하였다.<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TRW_M_xybyYC|제목=Pakistan and the Emergence of Islamic Militancy in Afghanistan|성=Hussain|이름=Rizwan|날짜=2005-01-01|출판사=Ashgate|쪽=108–109|언어=영어|isbn=9780754644347}}</ref> 그동안 인민당에서는 다수였던 칼크와 온건적인 파르참으로 계파가 나뉘어 마찰을 연이어 빚다, 파르참 계파가 쿠데타를 일으키려 했다는 구실로 관련된 정부 각료를 해고하고 군 장교를 체포한다. [[하피줄라 아민]]과 인민 민주당의 군부 인사는 건재하여 반란을 도모하였다.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 [[바브락 카르말]], [[하피줄라 아민]]이 이끄는 인민 민주당은 무함마드 다우드 정권을 전복하였으며, 다우드는 가족과 함께 살해되었다. 이 정변은 [[샤우르 혁명]], 즉 위대한 4월 혁명으로 알려졌다. [[1978년]] [[5월 1일]], 타라키는 대통령, 총리, 인민 민주당 사무총장직을 겸임하였다. 그리하여 아프가니스탄은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으로 개명하였으며, 인민 민주당 정권은 [[1991년]]까지 존속하였다.
 
1978년의 칼크 반란으로 두라니족(다우드 칸을 비롯하여 이전 아프가니스탄 왕국의 왕조)과 대립하던 [[파슈툰족]]의 길자이 부족이 소생하게 되었다.<ref name="Iranica">{{백과사전 인용|성=Hanifi|이름=M. Jamil|백과사전=[[Encyclopædia Iranica]]|제목=<u>GH</u>ILZĪ or <u>GH</u>ALZĪ|url=http://www.iranica.com/newsite/articles/v10f6/v10f637.html|accessdate = January 2008|edition=Online Edition|출판사=[[Columbia University]]|위치=United States|archive-date=2009-02-14|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90214001123/http://www.iranica.com/newsite/articles/v10f6/v10f637.html|url-status= }}</ref>
 
[[파일:Evstafiev-40th army HQ-Amin-palace-Kabul.jpg|섬네일|200px|소련 침공 이전에 카불에 있던 여왕 궁전. 아프가니스탄 인민 민주당의 당사로 쓰였다.]]
줄 100 ⟶ 98:
전쟁 때문에 수많은 엘리트와 지식인들이 해외로 피신하여,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지도층의 불균형 현상이 일어났다. [[소련군]]을 물리친 무자히딘 내 각 분파들은 계속 서로 싸웠으며, 아프가니스탄은 군벌 내전 상태에 빠졌다. 이 시기에 가장 심각한 전투는 1994년에 있었는데, 카불 한 곳에서 10,000여명이 넘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이 때 [[탈리반|탈레반]]이 정치-종교 세력으로 성장하여 결국 1996년에 카불을 장악하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세웠다. 2000년 말에 탈레반은 국토의 95%를 장악하고 있었다.
 
탈레반이 7년간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면서, 주민 절대다수는 자유가 억압당하고 인권이 유린당했다. 여성은 직업을 가지는 것이 엄금되었으며, 어린 여성이 학교나 대학에 가는 것도 엄금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physiciansforhumanrights.org/library/documents/reports/talibans-war-on-women.pdf#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09-12-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0702234326/http://physiciansforhumanrights.org/library/documents/reports/talibans-war-on-women.pdf# |보존날짜=2007-07-02 |url-status=dead }}</ref> 공산주의자들은 조직적으로 근절되었으며, 절도범은 손과 발이 잘리는 형벌을 받았다.<ref>{{뉴스 인용|author=Erik Eckholm|title=A NATION CHALLENGED: PENALTIES; Taliban Justice: Stadium Was Scene of Gory Punishment|url=http://query.nytimes.com/gst/fullpage.html?res=9C00E6DD1231F935A15751C1A9679C8B63&sec=&spon=&pagewanted=all|publisher=The New York Times|date=2001-12-26|accessdate=2008-05-19 }}</ref> 2001년에 탈레반은 아편 생산을 거의 일소하였다.<ref>(http://opioids.com/afghanistan/index.html {{웨이백|url=http://opioids.com/afghanistan/index.html |date=20011108055954 }} Afghanistan, Opium and the Taliban<!-- 봇이 따온 제목 -->)</ref>
 
=== 탈레반 토후국과 북부 연맹 ===
줄 109 ⟶ 107:
탈레반에게 카불을 빼앗긴 이후에 북부동명 지도자인 아흐메드 샤 수드와 도스툼은 아프가니스탄 구국 이슬람 통일전선 ([[북부동맹 (아프가니스탄)|북부동맹]])을 형성한다. 탈레반은 마자리샤리프 전투 (1997-98)에서 도스툼 세력을 패배시켰다. 당시 파키스탄의 군 참모장이였던 [[페르베즈 무샤라프]]는 탈레리반 북부 연맹을 물리치는 것을 돕기 위해 몇 천명의 파키스탄인들을 보내기 시작하였다.<ref name=":2" /><ref>{{웹 인용|url=http://www.historycommons.org/entity.jsp?entity=ahmed_shah_massoud|제목=Ahmed Shah Massoud|날짜=2014-01-25|확인날짜=2016-07-13|archive-date=2014-01-25|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125130822/http://www.historycommons.org/entity.jsp?entity=ahmed_shah_massoud|url-status=}}</ref><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DN8vAQAAIAAJ|제목=The Afghanistan wars|성=Maley|이름=William|날짜=2009-09-15|출판사=Palgrave Macmillan|쪽=288|언어=영어|isbn=9780230213135}}</ref><ref>{{웹 인용|url=http://www.telegraph.co.uk/news/worldnews/asia/afghanistan/1340244/Afghanistan-resistance-leader-feared-dead-in-blast.html|제목=Afghanistan resistance leader feared dead in blast|성=Lahore|이름=By Ahmed Rashid in|확인날짜=2016-07-13}}</ref> 또한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오사마 빈라덴]]과 [[아이만 알자와히리]]가 이끌던 [[알카에다]] 네트워크도 아프가니스탄에서 가동되었다. 미국은 이 사실과 함께 100만 명에 이르는 아프간인들이 내부적으로 축출되었다는 소식에 대해 우려하였다. 1990년부터 2001년 9월까지 40만명의 아프간인들이 내부적으로 이루어진 접전들에 의해 사망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csmonitor.com/2001/0920/p1s3-wosc.html/(page)/4|제목=Life under Taliban cuts two ways|성=Baldauf|이름=Scott|날짜=2001-09-20|뉴스=Christian Science Monitor|issn=0882-7729|확인날짜=2016-07-17}}</ref>
 
[[2001년]] [[9월 9일]], [[마수드]]는 아프가니스탄 [[판지시르주판지시르 주]]에서 알카에다가 사주한 명의 아랍인들에 의해 [[자살 공격]]을 당해 암살되었다. 이틀 후, 미국에서 [[9·11 테러]]가 일어난다. 미 정부는 오사마 빈 라덴을 공격의 가해자로 지목하며, 탈레반에 그의 신병 인도를 요구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guardian.co.uk/world/2001/oct/17/afghanistan.terrorism11|제목=New offer on Bin Laden {{!}} World news {{!}} The Guardian|날짜=2013-06-28|확인날짜=2016-07-17|archive-date=2013-06-2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628053351/http://www.guardian.co.uk/world/2001/oct/17/afghanistan.terrorism11|url-status=}}</ref> 탈레반이 협조를 거부하자 2001년 10월 작전명 [[항구적 자유 작전]]이 실행되었다. 최초의 침공 기간 동안기간동안, 미군과 영국군은 알카에다 훈련 캠프를 폭격하였다. 미국은 탈레반을 권력에서 몰아내기 위해 북부 동맹과 협력한다.<ref>{{웹 인용|url=http://www.nytimes.com/2001/10/08/world/nation-challenged-attack-us-britain-strike-afghanistan-aiming-bases-terrorist.html?scp=2&sq=Afghanistan+&st=nyt|제목=A NATION CHALLENGED - THE ATTACK - U.S. AND BRITAIN STRIKE AFGHANISTAN, AIMING AT BASES AND TERRORIST CAMPS - BUSH WARNS 'TALIBAN WILL PAY A PRICE' - NYTimes.com|날짜=2014-04-11|확인날짜=2016-07-17|archive-date=2014-04-1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11134316/http://www.nytimes.com/2001/10/08/world/nation-challenged-attack-us-britain-strike-afghanistan-aiming-bases-terrorist.html?scp=2&sq=Afghanistan+&st=nyt|url-status=}}</ref>
 
[[2001년]] 12월, 구 무자히딘의 지도자와 난민들이 [[독일]]에서 만나 본 협정을 맺었는데, 여기서 아프가니스탄에 새로운 민주주의 국가를 세우고, 칸다하르 시 남부 출신으로 파슈툰족 [[두라니 씨족]](구 왕가 출신) 사람인 [[하미드 카르자이]]를 [[아프가니스탄 과도 정부]]의 의장으로 세우기로 하였다.
 
=== 최근 역사 (2002년 ~ 현재) ===
=== 21세기 ===
{{본문|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2001년 12월, 탈레반 정부가 전복된 이후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아프가니스탄 정부]]가 출범하였고, [[카르자이 행정부]]를 보조하고 기본적인 방위를 위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국제안보지원군]]을 결성한다.<ref>{{웹 인용|url=http://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S/RES/1386(2001)|제목=United Nations Official Document|웹사이트=www.un.org|확인날짜=2016-07-17}}</ref> 반면 탈레반 세력은 파키스탄에서 재결성되었고, 그동안 아프가니스탄에는 연합군이 진입하고 전쟁으로 인해 황폐화된 국가를 재건하였다.<ref>{{웹 인용|url=http://afghanistan.usaid.gov/en/Index.aspx|제목=USAID/Afghanistan|날짜=2010-10-17|확인날짜=2016-07-17|archive-date=2010-10-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1017104214/http://afghanistan.usaid.gov/en/Index.aspx|url-status=}}</ref><ref>{{웹 인용|url=http://www.afghanistan.gc.ca/canada-afghanistan/news-nouvelles/2010/2010_07_09.aspx?lang=eng|제목=WebCite query result|웹사이트=www.webcitation.org|확인날짜=2016-07-17|archive-date=2014-03-1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313044754/http://www.afghanistan.gc.ca/canada-afghanistan/news-nouvelles/2010/2010_07_09.aspx?lang=eng|url-status=}}</ref>
줄 127 ⟶ 125:
2014년 대통령 선거를 기점으로 카르자이 대통령은 권력에서 물러났고 2014년 9월 [[아슈라프 가니]]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4/sep/29/afghan-president-ashraf-ghani-inaugurated|제목=Afghan president Ashraf Ghani inaugurated after bitter campaign|성=Rasmussen|이름=Sune Engel|날짜=2014-09-29|뉴스=The Guardian|언어=영어|issn=0261-3077|확인날짜=2016-08-08}}</ref>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미국의 전쟁 (미 역사상 가장 길었던 전쟁)이 2014년 12월 28일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그러나, 수천명이 넘는 미국 주도의 나토 군대가 아프가니스탄 정부 군대를 훈련시키고 자문하기 위해 나라에 남았다.<ref>{{웹 인용|url=http://www.cbsnews.com/news/america-formally-ends-the-war-in-afghanistan/|제목=U.S. formally ends the war in Afghanistan|확인날짜=2016-08-08}}</ref> 전쟁은 반란 주동자, 아프가니스탄 시민들과 정부 군대를 포함하여 직접적으로 9만여명의 사망자를 남겼다. 10만여명이 넘는 사람들이 부상을 입었다.
 
미국은 자신이 무장시킨 30만 군대를유령군대를 믿었으나 이들은그것은 심각하게 훈련이 부족한 허수아비 군대였고환상이었고 따라서 2021년 6월 [[미군]] 철수의 움직임을 계기로 탈레반이 다시금 아프간 영토를 [[2021년 탈레반 공세|장악]]하게 되었다. 결국 8월 15일 수도 카불이 사실상 함락되며 구 정권은 탈레반에 항복을 선언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yna.co.kr/view/AKR20210930170800077|제목=[특파원 시선] '30만 대군 격파' 탈레반, 2천명 IS-K엔 '쩔쩔' 이유는|성=김영현|날짜=2021-10-02|언어=ko|확인날짜=2023-04-08}}</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81518430005910|제목=아프간 "탈레반에 정권 이양"...사실상 항복, 미국 '제2의 베트남 패전' 현실화|성=허|이름=경주|날짜=2021-08-15|뉴스=한국일보|언어=한국어|확인날짜=2021-08-15}}</ref><ref>{{뉴스 인용|url=https://www.washingtonpost.com/world/2021/08/15/afghanistan-taliban-kabul-embassy-jalalabad/?itid=hp-top-table-main|제목=Taliban enters Kabul, leaving Afghan government on brink of collapse|날짜=2021-08-15|뉴스=The Washington Post|언어=영어|확인날짜=2021-08-15}}</ref><ref>{{웹 인용|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28425|제목=‘장부상 30만명’ 아프간 유령군인, 싸울 의지도 없었다|성=기자|이름=박형수 기자 김홍범|날짜=2021-08-16|언어=ko|확인날짜=2023-04-08}}</ref>
 
== 지리 ==
[[파일:Afghanistan map of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svg|섬네일|[[쾨펜의 기후 구분]]에 의한 아프가니스탄 지도]]
아프가니스탄은 서남아시아<ref>{{웹 인용|url=http://pubs.usgs.gov/of/1997/ofr-97-470/OF97-470C/asiaGmap.html|제목=USGS Open-File Report 97-470C - Geologic Map|날짜=2013-12-25|확인날짜=2016-08-13|archive-date=2013-12-25|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25134851/http://pubs.usgs.gov/of/1997/ofr-97-470/OF97-470C/asiaGmap.html|url-status=}}</ref><ref>{{웹 인용|url=http://millenniumindicators.un.org/unsd/methods/m49/m49regin.htm#asia|제목=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Standard Country and Area Codes Classifications (M49)|웹사이트=millenniumindicators.un.org|확인날짜=2016-08-13|archive-date=2011-07-1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713041240/http://millenniumindicators.un.org/unsd/methods/m49/m49regin.htm#asia|url-status=}}</ref><ref>{{웹 인용|url=https://global.britannica.com/place/Afghanistan|제목=Afghanistan|성=|이름=|날짜=|웹사이트=Encyclopædia Britannica|출판사=|확인날짜=|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12155736/http://global.britannica.com/place/Afghanistan#|보존날짜=2016-04-12|url-status=dead}}</ref>에 속하는 지역으로, 북부와 남서부의 평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이 산악 지방인 [[내륙국]]이다. [[대중동 권역]] [[이슬람 세계]]에 속하며, [[위도]] 29° N과 39° N 사이와 [[경도]] 60° E와 75° E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높은 산은 해발 7,492 m (24,580 ft)의 [[노샤크 산]]이다. 아프가니스탄은 대륙성 기후에 속하여, 중앙의 고원 지역과 [[누리스탄주누리스탄 주]] 주변의 빙하 지역, 그리고 와칸 회랑지대 등의 지역은 1월에 평균 −15&nbsp;°C (5&nbsp;°F) 이하까지 기온이 내려가며, 남서부의 시스탄 유역과 동부의 [[잘랄라바드 (아프가니스탄)|잘랄라바드]] 유역, 그리고 북부의 [[아무다리야강아무다리야 강]]을 둘러싼 투르케스탄 평원 등의 저지대는 7월에 평균 35&nbsp;°C (95&nbsp;°F)까지 기온이 올라간다.
 
아프가니스탄에는 수많은 강과 저수지가 분포하여 있으나, 국토의 많은 부분이 건조하다. [[내륙유역]]인 시스탄 유역은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다.<ref>{{저널 인용|제목=History of Environmental Change in the Sistan Basin|저널=|성=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이름=|url=http://postconflict.unep.ch/publications/sistan.pdf|날짜=|출판사=|access-date=2009-12-04|archive-date=2007-08-0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0807214557/http://postconflict.unep.ch/publications/sistan.pdf|url-status=}}</ref> 아프가니스탄은 기존 강우량 외에도 동절기에 [[힌두쿠시산맥힌두쿠시 산맥]]과 [[파미르고원파미르 고원]]에서 눈이 내리며 봄이 되며 녹은 눈이 주변의 강, 호수 그리고 하천에 유입된다.<ref>{{웹 인용|url=http://earthobservatory.nasa.gov/NaturalHazards/view.php?id=16066|제목=Snow in Afghanistan : Natural Hazards|날짜=2013-12-30|확인날짜=2016-08-14|archive-date=2013-12-30|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30235107/http://earthobservatory.nasa.gov/NaturalHazards/view.php?id=16066|url-status=}}</ref><ref>{{웹 인용|url=http://in.reuters.com/article/2012/01/18/afghanistan-snow-idINDEE80H0BR20120118|제목=Snow may end Afghan drought, but bitter winter looms|성=ROB TAYLOR|이름=|날짜=2012-01-18|웹사이트=REUTERS|출판사=|확인날짜=|archive-date=2013-12-30|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30233432/http://in.reuters.com/article/2012/01/18/afghanistan-snow-idINDEE80H0BR20120118|url-status=}}</ref> 그러나 나라의 전체 물 자원의 3분의 2가 이란, 파키스탄, 그리고 투르크메니스탄 등의 인접 국가로 유출된다. 물 자원을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선 최소 20억 달러 이상의 관개 시스템 정비 비용이 필요하다.<ref>{{뉴스 인용|url=http://www.csmonitor.com/World/Asia-South-Central/2010/0615/Afghanistan-s-woeful-water-management-delights-neighbors|제목=Afghanistan's woeful water management delights neighbors|날짜=2010-06-15|뉴스=Christian Science Monitor|issn=0882-7729|확인날짜=2016-08-14}}</ref>
[[파일:Afghanistan physical en.png|섬네일|아프가니스탄 지형도]]
아프가니스탄 [[바다흐샨주]] 안과 주변에 위치한 힌두쿠시 [[산맥]]은 거의 매년 지진이 일어나는 지역으로 지질적으로 활발한 곳이다.<ref>{{저널 인용|제목=Earthquakes Pose a Serious Hazard in Afghanistan|저널=|성=U.S. Geological Survey|이름=|url=http://pubs.usgs.gov/fs/2007/3027/pdf/FS07-3027_508.pdf|날짜=|출판사=|access-date=2016-08-14|archive-date=2013-07-2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727072311/http://pubs.usgs.gov/fs/2007/3027/pdf/FS07-3027_508.pdf|url-status=}}</ref> 지진은 종종 파괴적인 성격을 띄는데, 겨울 동안 [[산사태]]와 눈사태를 일으키기도 한다. 역대 가장 강력한 지진은 1998년에 일어났는데, 타지키스탄 인근 바다흐샨에서 6,000여명의 사망자를 기록했다.<ref>{{웹 인용|url=http://news.bbc.co.uk/2/hi/8628901.stm|제목=BBC News - 'Seven dead' as earthquake rocks Afghanistan|날짜=2013-12-31|확인날짜=2016-08-14|archive-date=2013-12-3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31000835/http://news.bbc.co.uk/2/hi/8628901.stm|url-status=}}</ref> 이어 2002년 힌두쿠시 지진이 일어나 150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망하고 1,000명이 넘는 부상자를 기록했다. 2010년에 일어난 지진은 11명의 사망자, 70명이 넘는 부상자, 그리고 2,000 가구 이상의 가옥들이 파괴되었다.
줄 200 ⟶ 198:
 
=== 종교 ===
{{본문|아프가니스탄의 종교}}
{{bar box
|title=종교구성(아프가니스탄)<ref>http://gulf2000.columbia.edu/images/maps/Afghanistan_Religion_lg.png</ref>
줄 212 ⟶ 209:
아프가니스탄 인구의 99%가 넘는 사람들은 무슬림으로 그 중 70% 정도가 [[수니파]]이며, 29%는 [[시아파]]이다.<ref>{{저널 인용|제목=COUNTRY PROFILE: AFGHANISTAN|저널=|성=Library of Congress – Federal Research Division|이름=|url=http://lcweb2.loc.gov/frd/cs/profiles/Afghanistan.pdf|날짜=|출판사=|access-date=2016-08-21|archive-date=2014-04-0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08085103/http://lcweb2.loc.gov/frd/cs/profiles/Afghanistan.pdf|url-status=}}</ref><ref>{{웹 인용|url=http://www.pewforum.org/2012/08/09/the-worlds-muslims-unity-and-diversity-1-religious-affiliation/#identity|제목=Chapter 1: Religious Affiliation|성=PewResearchCenter|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ref>
 
1890년대까지 [[누리스탄주누리스탄 주]]를 둘러싼 지역은 카피리스탄{카피르인(무신론자들, 이방인의 땅)}으로 불렸는데, 이는 누리스탄 족이 이슬람교를 믿지 않고 애니미즘, 다신교, 샤머니즘 등과 같은 민속 신앙을 가지고 있던 문화적 특성에 비롯된 것이였다.<ref>{{웹 인용|url=http://www.iranicaonline.org/articles/nuristan|제목=NURISTAN – Encyclopaedia Iranica|날짜=2013-07-26|확인날짜=2016-08-21|archive-date=2013-07-26|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0726102738/http://www.iranicaonline.org/articles/nuristan|url-status=}}</ref> 아프가니스탄 사람 중에 시크교나 힌두교를 믿는 집단도 주요 도시에서 찾아볼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hinduismtoday.com/archives/1994/4/1994-4-02.shtml|제목=Hindus Abandon Afghanistan|성=Lavina Melwani|이름=|날짜=|웹사이트=Hinduism Today|출판사=|확인날짜=|archive-date=2007-01-1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0111080626/http://www.hinduismtoday.com/archives/1994/4/1994-4-02.shtml|url-status=}}</ref><ref>{{웹 인용|url=http://news.bbc.co.uk/1/hi/world/south_asia/3138282.stm|제목=Sikhs struggle in Afghanistan|성=Sanjoy Majumder|이름=|날짜=|웹사이트=BBC NEWS|출판사=|확인날짜=|archive-date=2009-02-2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90222132753/http://news.bbc.co.uk/1/hi/world/south_asia/3138282.stm|url-status=}}</ref> 아프가니스탄에는 작은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하였으나 20세기 말에 이스라엘이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자블론 시민(토프) 한 명만이 남아있다.<ref>{{웹 인용|url=http://www.washingtonpost.com/wp-dyn/articles/A39702-2005Jan26.html|제목=Afghan Jew Becomes Country's One and Only (washingtonpost.com)|웹사이트=www.washingtonpost.com|확인날짜=2016-08-21}}</ref>
 
== 난민 문제 ==
2021년 이후에 탈레반 정권이 장악하고 나서, 난민 문제가 사회 문제로 떠오르는 관점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정확한 통계를 계산할 수 없다는 보장이며, 현대에도 계속 난민 문제는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8390698|제목=아프가니스탄 난민들, 탈레반 피해 파키스탄으로|웹사이트=www.bbc.com/korean|확인날짜=2021-08-31}}</ref><ref>{{웹 인용|url=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8298938|제목=아프간: 탈레반 피해 탈출한 아프간 난민들의 운명|웹사이트=www.bbc.com/korean|확인날짜=2021-08-23}}</ref><ref>{{웹 인용|url=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61605|제목=목숨 걸고 탈출했는데…아프간 떠난 난민 2백만 명 어디로|웹사이트=news.kbs.co.kr/common/main.html?ref=pLogo|확인날짜=2021-08-22}}</ref>
 
== 정치와 행정 ==
줄 224 ⟶ 221: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사는 권력 투쟁, 유혈 [[쿠데타|정변]], 불안정한 권력 이동으로 점철되었다. 지난 20세기 동안 이 나라는 [[군사 독재]]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 정치 형태([[왕정]], [[공화정]], [[신정 정치|신정]], [[공산주의 국가|공산 통치]])를 겪었다. 2003년 로야 지르가에서 비준된 헌법으로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삼부로 이루어진 [[이슬람 공화국]]이 되었다. 2021년 8월 15일 탈레반이 수도 카불을 점령했다.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의 2010년 1월 보고서에 따르면 뇌물 수수가 아프가니스탄 국가 전체 GDP의 23%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unodc.org/unodc/en/frontpage/2010/January/corruption-widespread-in-afghanistan-unodc-survey-says.html|제목=Corruption widespread in Afghanistan, UNODC survey says|날짜=2014-04-16|확인날짜=2016-08-27|archive-date=2014-04-16|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16023007/http://www.unodc.org/unodc/en/frontpage/2010/January/corruption-widespread-in-afghanistan-unodc-survey-says.html|url-status=}}</ref> 다수의 정부 기관에서 부정부패가 만연한 가운데, 카르자이 대통령은 2009년 말 이에 관련하여 "비리에 관련된 사람은 정부에서 발붙일 곳이 없을 것이다."라고 발언하기도 하였으나,<ref>{{웹 인용|url=http://www.cbc.ca/news/world/karzai-vows-to-tackle-corruption-1.827422|제목=Karzai vows to tackle corruption - World - CBC News|날짜=2013-12-30|확인날짜=2016-08-27|archive-date=2013-12-30|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30233852/http://www.cbc.ca/news/world/karzai-vows-to-tackle-corruption-1.827422|url-status=}}</ref> 당시 많은 고위급 정부 관리들이 [[카불 은행]]을 통해 엄청난 양의 현금을 횡령하고 남용하고 있었다. [[국제 투명성 기구]]의 2014년 부정부패 인식 지수 자료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은 세계에서 4번째로 부정부패한 국가라고 한다.<ref>{{웹 인용|url=http://www.transparency.org/cpi2014/results|제목=How corrupt is your country?|성=e.V.|이름=Transparency International|웹사이트=www.transparency.org|언어=영어|확인날짜=2016-08-27|archive-date=2015-12-0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1202072021/http://www.transparency.org/cpi2014/results|url-status=}}</ref>
 
=== 선거와 정당 ===
줄 257 ⟶ 254:
# [[헤라트주]](Herāt)
# [[주즈잔주]](Jowzjān)
# [[카불주카불 주]](Kābul)
# [[칸다하르주칸다하르 주]](Kandahār)
# [[카피사주카피사 주]](Kāpīsā)
# [[호스트주호스트 주]](Khowst)
# [[쿠나르주쿠나르 주]](Konar)
# [[쿤두즈주쿤두즈 주]](Kondoz)
# [[라그만주라그만 주]](Laghmān)
# [[로가르주로가르 주]](Lowgar)
# [[낭가르하르주낭가르하르 주]](Nangarhār)
# [[님루즈주님루즈 주]](Nīmrūz)
# [[누리스탄주누리스탄 주]](Nūrestān)
# [[우루즈간주우루즈간 주]](Orūzgān)
# [[팍티야주팍티야 주]](Paktiyā)
# [[팍티카주팍티카 주]](Paktīkā)
# [[판지시르주판지시르 주]](Panjshīr)
# [[파르반주파르반 주]](Parvān)
# [[사망간주사망간 주]](Samangān)
# [[사르이폴주사르이폴 주]](Sār-e Pol)
# [[타하르주타하르 주]](Takhār)
# [[바르다크주바르다크 주]](Vardak)
# [[자불주자불 주]](Zābol)
 
=== 외교와 국방 ===
줄 293 ⟶ 290:
 
=== 법 집행 ===
[[파일:ANP trucks in Kunar.jpg|섬네일|[[쿠나르주쿠나르 주]]의 경찰 트럭]]
국가 안보국 (NDS)은 아프가니스탄 국내에서 활동하는 [[정보 기관]]으로, 15,000명에서 30,000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내에는 126,000명의 경찰력이 있으며, 160,000명 규모가 될 때까지 계속하여 경찰력을 모집할 계획이 있다. 아프가니스탄 경찰 (ANP)은 내무부 산하의 기관으로 아프가니스탄 내의 유일한 [[법집행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시민 안전 경찰이 [[ANP]]의 주 기관으로, 각 준장이 5개의 군단을 관리하고 있다. 군단은 카불, 가르데즈, 칸다하르, 헤라트 그리고 [[마자르 이 샤리프|마자르샤리프]]에 위치해 있다. 각 주에는 정부에서 임명된 주 경찰청장이 관할 지역을 맡아 관리하고 있다.
 
줄 357 ⟶ 354:
아프가니스탄 전체 인구의 문맹률은 더 많은 학생들이 학교에 다님에 따라 점차 개선되고 있다.<ref name=":12">{{웹 인용|url=http://www.army.mil/article/59541/Rising_literacy_in_Afghanistan_ensures_transition/https://web.archive.org/web/20131209021825/http://www.army.mil/article/59541/Rising_literacy_in_Afghanistan_ensures_transition/|제목=Rising literacy in Afghanistan ensures transition|성=Rob McIlvaine|이름=|날짜=June 13, 2011|웹사이트=WWW.ARMY.MIL|출판사=|확인날짜=|archive-date=2013-12-0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09021825/http://www.army.mil/article/59541/Rising_literacy_in_Afghanistan_ensures_transition/https://web.archive.org/web/20131209021825/http://www.army.mil/article/59541/Rising_literacy_in_Afghanistan_ensures_transition/|url-status=}}</ref> 2010년부터 미국은 아프가니스탄 전역에 링컨 학습 센터를 짓기 시작하였다. 링컨 학습 센터는 영어 교실, 도서관 시설, 다목적 회당, 인터넷 연결, 그리고 기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아프가니스탄 보안군은 의무적으로 문자해독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ref name=":12" /> 미국의 [[세서미 스트리트]]를 기반으로 한 [[바체-이-심심]]은 2011년 말 아프가니스탄 아동의 교육을 목적으로 편성되었다.
 
2009년과 2010년에는 익명의 재단의 지원을 바탕으로 5,000대의 컴퓨터가 [[OLPC]]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칸다하르에 배치되었다.<ref>{{웹 인용|url=http://armdevices.net/2011/10/24/olpc-summit-afghanistan/#disqus_thread|제목=OLPC Summit: Afghanistan – ARMdevices.net|확인날짜=2016-11-13|archive-date=2017-06-09|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609134107/http://armdevices.net/2011/10/24/olpc-summit-afghanistan/#disqus_thread|url-status=}}</ref>
 
== 문화 ==
줄 365 ⟶ 362: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은 자신들의 문화, 국가, 조상, 특히 종교와 독립에 대한 큰 자부심을 느낀다. 다른 산악 지방에서도 볼 수 있듯이, 그들은 명예, 부족에 대한 충성, 그리고 분쟁을 잠재우기 위해 기꺼이 자신의 힘을 보태려고 여겨진다. 이는 외부인에 대한 우려와 겸양으로도 이어진다.<ref name=":13">Heathcote, Tony (1980, 2003) "The Afghan Wars 1839–1919", Sellmount Staplehurst.</ref> 아득한 옛날부터 부족간의 전투와 내전이 주된 탓에, 이렇게 쌓여진 독립적인 성향은 외부 세력의 침략을 어렵게 하였다. 토니 히스코트는 부족사회를 지리적으로 험준한 국가에 많은 사람들을 구성케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하였다.<ref name=":13" /> 아프가니스탄에는 60여 족의 주요 [[파슈툰인]]들이 살고 있으며,<ref>{{웹 인용|url=https://global.britannica.com/topic/Pashtun|제목=Pashtun|성=The Editors of Encyclopædia Britannica|이름=|날짜=|웹사이트=Encyclopædia Britannica|출판사=|확인날짜=|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0116110316/https://global.britannica.com/topic/Pashtun#|보존날짜=2017-01-16|url-status=dead}}</ref> 아프간 부족민의 수는 200~300만여 명으로 추정된다.<ref>{{뉴스 인용|url=http://www.irinnews.org/report/76794/afghanistan-kuchi-nomads-seek-better-deal|제목=Kuchi nomads seek a better deal|날짜=2008-02-18|뉴스=IRIN|확인날짜=2016-12-11}}</ref>
 
아프가니스탄은 매우 복잡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문화의 형태로나, 혹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와 기념물의 형태로도 남아있다. 그러나, 많은 역사적 기념물들은 최근 아프가니스탄에서 벌어진 전쟁들에 파괴되었다.<ref>G.V. Brandolini. ''Afghanistan [[cultural heritage]]''. Orizzonte terra, [[Bergamo]]. 2007. p. 64.</ref> [[바미얀 석불]]은 [[우상숭배]]라는 이유로 탈레반에 의해 파괴되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고고학자들은 아프가니스탄 각지에서 불교 유물들을 찾고 있으며, 어떤 것들은 2세기에 만들어졌다고 추정되는 것도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cal.org/co/afghan/ahist.html|제목=WebCite query result|웹사이트=www.webcitation.org|확인날짜=2016-12-11|archive-date=2010-03-1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0317123355/http://www.cal.org/CO/afghan/ahist.html|url-status=}}</ref><ref>{{웹 인용|url=http://www.newsdaily.com/stories/tre67g1cn-us-afghanistan-buddhist-relics/|제목=NewsDaily: Afghan archaeologists find Buddhist site as war rages|날짜=2010-08-18|확인날짜=2016-12-11|archive-date=2010-08-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0818151642/http://www.newsdaily.com/stories/tre67g1cn-us-afghanistan-buddhist-relics/|url-status=}}</ref><ref>[http://www.presstv.ir/detail/139117.html "Buddhist remains found in Afghanistan"] {{웨이백|url=http://www.presstv.ir/detail/139117.html |date=20100820081616 }}. Press TV. 17 August 2010.</ref> 이는 아프가니스탄에 불교가 유행하였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외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도시로 [[헤라트]], [[칸다하르]], [[가즈니]], [[마자르이샤리프]], 그리고 [[자란즈]] 등이 있다. [[하리강하리 강]] 기슭에 위치한 [[얌의 첨탑]]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이슬람의 예언자 [[무함마드]]가 줄곧 입었던 망토는 칸다하르의 [[망토 사당]]에 보전되어 있다. 칸다하르는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가 건설한 도시이자 아프가니스탄의 첫 수도이기도 하다. [[헤라트 성채]]는 최근 몇년간 복원되어 현재는 여행객들에게 유명한 관광지로 변모하였다. 북부에는 무함마드의 원조자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가 묻혔다고 믿어진 [[알리 사당]]이 있다. 아프가니스탄 정보문화부는 가즈니에 있는 42개의 역사 유적지를 2013년까지 복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가즈니 주는 [[이슬람의 황금 시대|이슬람 문명]]의 수도로 선언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pajhwok.com/en/2011/08/27/survey-historical-sites-ghazni-launched|제목=Survey of historical sites in Ghazni launched|성=Mirwais Himmat|이름=|날짜=2011-08-27|뉴스=Pajhwok Afghan News|출판사=|확인날짜=|archive-date=2013-11-05|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105194347/http://www.pajhwok.com/en/2011/08/27/survey-historical-sites-ghazni-launched|url-status=}}</ref> [[아프가니스탄 국립박물관]]은 카불에 위치하여 있다.
 
문맹률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고대의 [[페르시아 문학]]과 파슈토 문학은 아프가니스탄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시가 문학은 언제나 교육의 기둥으로 여겨져 왔으며, 문화의 일부분이라 여겨지기도 하였다. 주목할 만한 시인들로는 [[루미]], 라비아 발키, [[사나이 (시인)|사나이]], [[자미]], 쿠샬 카타크, 라만 바바, 칼릴루아 칼릴리, 그리고 파르윈 파즈왁 등이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afghan-web.com/culture/poetry/cpoets.html|제목=Afghanistan Online: Classical Afghan Poets|날짜=2013-10-06|확인날짜=2016-12-11|archive-date=2013-10-06|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06084545/http://www.afghan-web.com/culture/poetry/cpoets.html|url-status=}}</ref>
줄 426 ⟶ 423:
[[분류:내륙국]]
[[분류:유엔 회원국]]
[[분류:이슬람 공화국]]
[[분류:이슬람 국가]]
[[분류:이슬람 협력 기구 회원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