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고구려(高駒驪)의 ‘북한산군(北漢山郡)’은 어디에서 나 온 이름이며, 신라(新羅)의 ‘북한산주(北漢山州)’는...?
태그: 되돌려진 기여 한글 자모가 포함된 편집 요약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33번째 줄:
}}
 
의 ‘북한산주(北漢山州)’는...?)
'''북한산'''(北漢山)은 [[서울특별시]] [[강북구]]·[[도봉구]]·[[은평구]]·[[성북구]]·[[종로구]]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양주시]]·[[의정부시]]의 경계에 있는 높이 835.6m(2013년 6월 국토지리정보원 지도)의 [[산]]으로, 이름은 조선 후기시대때 [[한성부|한성]]의 북쪽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의문? 고구려(高駒驪)의 ‘북한산군(北漢山郡)’은 어디에서 나온 이름이며, 신라(新羅)의 ‘북한산주(北漢山州)’는...?)
 
북한산은 1억 7천만년전에 형성되었으며, 최초로는 [[마한]]의 땅으로 [[삼국시대]] [[백제]]에서는 '''한산(漢山)'''이라 불렸고 인수봉은 '''부아악(負兒嶽)'''이라 불렸으며 시조 [[비류]]와 [[온조]] 형제가 올랐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31년 이후 '''횡악(橫嶽)'''이라고도 불렸다. 475년 [[고구려]]가 이곳을 정벌하여 '''북한산군(北漢山郡)'''이라 칭한다. 신라가 이곳을 정벌하고(553년) 난 후 557년에 일시적으로 '북한산주(北漢山州)'를 설치하였다. 이때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가 세워졌다.
 
[[남북국시대]] [[신라]]에서는 '''부아산(負兒山)'''이라고도 불렀고, 993년 이후 때 부아봉(현 인수봉 810.5m), 중봉(현 백운대 835.6m), 국망봉(현 만경대 800.6m, 국토지리정보원) 세 봉우리가 모여 있어 삼각(三角)처럼 보여 '''삼각산(三角山)'''으로 불려왔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 고려시대에 측성한 [[중흥산성]]을 보수축하여 [[북한산성]]을 축성(1711년)한 이후 [[한성부|한성]]의 북쪽이라는 의미에서 '''북한산(北漢山)'''이란 산명을 별칭으로 사용해 오다가, [[일제강점기]] 이후로 점차 '''북한산(北漢山)'''이란 산명을 정식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1983년]]에 대한민국의 [[국립공원]] '''북한산'''으로 지정되었고, [[2010년]]에는 '''북한산''' 둘레길 코스가 개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