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외부 링크: 원불교신문 불상 없음 관련 기사를 추가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2번째 줄:
{{원불교}}
 
'''원불교'''(圓佛敎, Won-Buddhism)는 [[일제강점기]]인 1916년 소태산(少太山) [[박중빈]]이 창시한 [[신흥 종교]]이다. 2016년 개교 100주년을 맞았다.<ref>[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5/03/20160503002806.html?OutUrl=naver 원불교 개교 100주년 맞아 기념대회 개최] 세계일보, 2016-05-03</ref> [[부처|불법]](佛法, 부처의 가르침)을 종교의 근원으로 표방하나 창시자(소태산 박중빈)가 《[[금강반야바라밀경|금강경]]》을 독학해서<ref>{{뉴스 인용
| 제목 = ‘축의 시대’를 다시 돌아보는 이유·
| url =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9083
| 출판사 = 법보신문
| 저자 = 장재진 교수
| 쪽 =
| 날짜 = 2015-10-05
| 확인날짜 = 2022-02-05
}}</ref> 창시했던 터라 [[최제우]]의 영향을 받은 도(道)적인 영향이 있어 종단의 성립과 조직, 운영에서 기존의 불교와는 관련이 없는 신흥 종교이며<ref nam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_원불교">[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0670 원불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완전한 불살생을 강조하는 불교와 달리 연고(緣故) 없이 살생을 말라는 규칙이 있다<ref>{{뉴스 인용
| 제목 = [김덕권의 훈훈한 세상] ‘보살통’으로 강력범죄 예방교육 시켰으면···
| url = http://kor.theasian.asia/archives/137186
| 출판사 = 아시아엔
| 저자 = 김덕권 원불교문인회 명예회장
| 쪽 =
| 날짜 = 2015-05-29
| 확인날짜 = 2022-02-05
}}</ref>.
 
불교에 동그라미 하나 붙여서 유치하게 원불교이다.
2016년 창교 100주년을 기념해 원불교 대사전 발간, 문화예술단체 육성, 출판 영상물 제작 보급, 원불교 앱개발, 익산성지 장엄사업, 영산성지 장엄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였다.<ref>{{뉴스 인용
 
| url =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5589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것 처럼 표현하지만 사실 우리가 흔히 즐기는 양파링 과자에 비교해도 양파링에게 죄송해야할 정도로 종교가 근본이 없다. 단체활동보다는 개인적인 성공에 초점을 두는 이기적 사고를 갖추도록 교육하는 데에 초점을 둔다. 예를 들어 단체 활동을 할 때에는 여러 사람의 이익을 증진하는 것보다 자신의 숙제에 몰두를 한다.
| 제목 = 원불교 100주년, 기념성업 잇따라 펼쳐
| 성 = 송
| 이름 = 민애
| 날짜 = 2015-01-30
| 뉴스 = 전북도민일보
| 출판사 =
| 확인날짜 = 2015-04-16
}}</ref>
 
== 역사 ==
줄 38 ⟶ 14:
=== 창시 ===
{{참고|박중빈}}
원불교의 역사는 1916년 교조(敎祖)인 소태산(少太山) 대종사(大宗師) [[박중빈]]의 대각(大覺)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개교(開敎)의 동기를 "물질이 개벽(開闢)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로 요약해서 표현했다. 이는 정신 문명의 주체성을 확립해서 물질문명을 올바른 방향으로 활용하여 정신문명과 물질문명이 원만하게 발전되는 새로운 세계를 지향함을 뜻한다.<ref name="글로벌백과">원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박중빈은 1891년 [[전라남도]] [[영광군 (전라남도)|영광군]] 백수면 길룡리에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릴때부터 우주의 자연현상과 인간의 만사에 궁금증이 컸다고 한다. 20세에 아버지가 죽은 뒤 심한 생활고를 겪으면서도 고행과 수도를 이어가던 가운데 1916년 스스로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ref nam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_원불교">[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0670 원불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그의 깨달음은 "만유가 한 체성이며 만법이 한 근원이로다"는 것으로<ref>[http://won.or.kr/bupmun/sub/daejong0101 대종경제 1 서품(序品) 1장], 원불교</ref> 여러 종교의 경전을 살핀 뒤 《[[금강반야바라밀경|금강경]]》에서 자신의 깨달음이 [[석가모니]]의 가르침과 행적에 부합하므로 그것을 연원으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ref>[http://won.or.kr/bupmun/sub/daejong0102 대종경제 1 서품(序品) 2장], 원불교</ref>
 
=== 초기 공동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