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2번째 줄:
[[파일:K-Andesite.jpg|thumb|[[태백석탄박물관]]에 전시된 안산암]]
[[파일:Amygdaloidal andesite.jpg|thumb]]
'''안산암'''(安山岩, andesite)은 중성 성분의 [[화산암]]이다. [[비현정질]] 또는 [[반상조직]]을 보인다. [[광물]] 조합은 [[사장석]]이 많으며 [[휘석]]이나 [[각섬석]]을 포함한다. [[자철석]], [[지르콘]], [[형석]], [[일메나이트]], [[흑운모]], [[석류석]] 등이 부성분 광물로 나타난다. 알칼리 [[장석]]이 소량 존재할 수 있다. 안산암을 기술할 때에는 가장 흔한 반정의 광물 이름을 붙이는데 예를 들어 각섬석안산암은 부성분광물로 각섬석이 가장 흔한 경우이다. 중생대 [[백악기]] 동안에는 한반도 남부 지방에 활발한 화산 활동이 있었는데, 당시의 화산체에서 안산암이 많이 발견된다.
 
심성암인 [[섬록암]]이 분출된 쪽의 것을 안산암이라 한다. 안산암은 남 아메리카의 서부 해안과 같은 활동적인 해양연변부의 섭입 환경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암석이다. 안산암의 영문이름 andesite는 [[안데스산맥]]에서 유래되었고, 안산암은 그 음차이다.
 
== 기원 ==
안산암은 부가적인 판 연변부에서 형성된다. 중성 화산암은 몇 가지 과정에 의해서 형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