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번째 줄:
니엄마다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고인돌 (비디오 게임)|역사적 유적|비디오 게임}}
{{다른 뜻 넘어옴|돌맨|영화|돌맨 (영화)}}
[[파일:Korea-Ganghwado-Dolmen-02.jpg|섬네일|300px|강화도 부근리 고인돌 (유네스코 세계유산)]]
'''고인돌'''(dolmen) 또는 '''지석묘'''(支石墓,<ref>석붕묘; 石棚墓,</ref>)는 고인의 시신을 넣은 관을 묻는 크고 평평한 바위를 몇 개의 바위로 괴어 놓은 [[고대]]의 [[거석]](Megalith) 구조물을 말한다. [[아시아]]와 [[유럽]], [[북아프리카]]에 6만개정도가 분포하며, 숫자상으로 [[한국]]에 남·북한을 합쳐 4만기 정도로 가장 많다.<ref>[http://www.segye.com/content/html/2008/11/19/20081119003587.html 세계일보, 2008년 11월 19일 기사, 이종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ref><ref>이종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빙연구원의 주장으로 학자마다 숫자는 조금씩 다르다. 고인돌은 순수한 우리말이다. 자칫 한자어로 오해하기 쉽지만 괸돌, 고임돌이란 뜻이다. 큰 돌 아래에 작은 돌을 괴어놓은 돌 전체를 말한다. 한자식 표현으로는 지석묘(支石墓)라고 한다. 전 세계에 분포하는 청동기시대 거석문화(巨石文化, 거대한 돌에 대한 믿음, 신앙, 표식 따위의 의도적인 돌로 만든 형상을 말함)의 한 가지이지만 아시아와 유럽에 많이 분포한다. 현재 한국의 경우, 남북한 학계에 보고된 고인돌의 수가 무려 2만 5,000~3만 5,000개로 추정되고 있다. 전 세계 고인돌이 약 7만개 정도로 보고되었으니 한국에 약 절반이 있는 셈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고창, 화순, 강화도 고인돌이 대표적이다.</ref> 고인돌은 윗부분이 평평하며, 내부에는 방이 마련되어 있다. 세워진 연대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유럽과 아프리카는 기원전 5,000년 ~ 기원전 4,000년, 동아시아는 기원전 2,500년 ~ 기원전 수백 년 전후로 추정된다. 유럽의 고인돌들은 주변에 흙이나 작은 돌로 덮어 무덤을 조성하기도 하였다.
 
== 기원과 명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