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리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9번째 줄:
 
== 모델 ==
태곳
== 도난 사고 ==
[[파일:Louis_Beroud_-_Mona_Lisa_au_Louvre_1911.jpg|섬네일|1911년 모나리자의 절도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한 화가 루이 베루드가 그린 모나리자의 모작.]]
프랑스 혁명 이후 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겨졌지만, 1821년에는 [[튀일리궁]]에 있는 [[나폴레옹]]의 침실로 잠시 옮겨지기도 하였다.<ref name=":02">{{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06KfDgAAQBAJ&q=moved+it+to+the+Palace+of+Versailles,+where+it+remained+until+the+French+Revolution&pg=PT95|title=The History of Art in 50 Paintings (Illustrated)|last1=Classics|first1=Delphi|last2=Russell|first2=Peter|date=2017-04-07|publisher=Delphi Classics|language=en|isbn=978-1-78656-508-2}}</ref> 1860년대에는 프랑스 지식인들의 일부가 르네상스 회화의 걸작이라는 지위를 부여하기 시작했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npr.org/2011/07/30/138800110/the-theft-that-made-the-mona-lisa-a-masterpiece|title=The Theft That Made The 'Mona Lisa' A Masterpiece|date=30 July 2011|work=[[NPR]]|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827142640/http://www.npr.org/2011/07/30/138800110/the-theft-that-made-the-mona-lisa-a-masterpiece|archive-date=27 August 2014|url-status=live|access-date=26 August 2014}}</ref> [[프로이센-프랑스 전쟁]](1870-1871) 동안에는 루브르 박물관에서 [[브레스트 (프랑스)|브레스트]] 해군기지로 옮겨졌다.<ref name="Bohm-Duchen2001p53">{{서적 인용|url=https://archive.org/details/isbn_9790520233781|title=The private life of a masterpiece|last=Bohm-Duchen|first=Monica|year=2001|publisher=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page=[https://archive.org/details/isbn_9790520233781/page/53 53]|isbn=978-0-520-23378-2|access-date=10 October 2010|url-access=registration}}</ref>
 
1911년 8월 21일에는 루브르 박물관에서 전시중이던 모나리자가 도난당하는 일이 발생한다.<ref name="Stoner-PBS">{{뉴스 인용|url=https://www.pbs.org/treasuresoftheworld/a_nav/mona_nav/main_monafrm.html|title=Theft of the Mona Lisa|publisher=Stoner Productions via Public Broadcasting Service (PBS)|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91029133742/http://www.pbs.org/treasuresoftheworld/a_nav/mona_nav/main_monafrm.html|archive-date=29 October 2009|url-status=live|access-date=24 October 2009}}</ref> 1911년까지만 해도 이 그림은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 잘 알려진 작품은 아니었다.<ref name="ny2019">{{잡지 인용|last=Halpern|first=Jack|date=9 January 2019|title=The French Burglar Who Pulled Off His Generation's Biggest Art Heist|url=https://www.newyorker.com/magazine/2019/01/14/the-french-burglar-who-pulled-off-his-generations-biggest-art-heist|magazine=The New Yorker|access-date=9 January 2019}}</ref> 박물관측은 다음 날 화가 [[루이 베루드]]가 모작을 위해 방문한 후에야 도난 사건을 알았는데, 처음에는 사진촬영을 위해 어딘가로 옮겨진 줄 알았다가 나중에 도난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후 루브르 박물관은 조사를 위해 일주일간 폐관했다. 미술관과 박물관에 대한 부정적 주장을 펼쳐온 프랑스의 [[모더니즘]] 시인 [[기욤 아폴리네르]]가 처음에 용의자로 지목되고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아폴리네르의 친구인 [[파블로 피카소]] 역시 끌려와 조사를 받았다. 그러나 두 사람 모두 무죄가 확인되었다.<ref name="Scotti2010">{{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UmaaVuZMCAkC|title=Vanished Smile: The Mysterious Theft of the Mona Lisa|author=R. A. Scotti|date=April 2010|publisher=Vintage Books|isbn=978-0-307-27838-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102112800/https://books.google.com/books?id=UmaaVuZMCAkC|archive-date=2 January 2016|url-status=live}}</ref><ref name="monalisa25">{{잡지 인용|date=2 December 2007|title=Top 25 Crimes of the Century: Stealing the Mona Lisa, 1911|magazine=TIME|url=http://www.time.com/time/2007/crimes/2.html|url-status=dead|access-date=15 September 2007|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0714103850/http://www.time.com/time/2007/crimes/2.html|archive-date=14 July 2007}}</ref> 진범은 루브르 박물관의 직원으로 작품의 유리 케이스를 만드는 일을 하던 빈첸초 페루자였다.<ref>{{웹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books/2009/may/09/ra-scotti-lost-mona-lisa|title=Review: The Lost Mona Lisa: The Extraordinary True Story of the Greatest Art Theft in History by RA Scotti|last=Sale|first=Jonathan|date=8 May 2009|website=The Guardian|access-date=23 July 2019}}</ref> 그는 박물관이 문을 닫은 뒤 평소 시간에 건물 안으로 들어가 빗자루 옷장에 숨어 있다가 외투 밑에 그림을 숨겨놓고 걸어 나오는 방식으로 모나리자를 빼돌렸다.{{sfn|Bartz|König|2001|p=626}}
 
{{multiple image|perrow=2|image1=Mona Lisa stolen-1911.jpg|caption1=1911년 도난되어 작품의 자리가 비어있다.|image2=Mona Lisa Found, La Joconde est Retrouvée, Le Petit Parisien, Numéro 13559, 13 December 1913.jpg|caption2="La Joconde est Retrouvée" ("모나리자의 귀환"). 《쁘띠 파리지앵》 1913년 12월 13일 호.|image3=Monalisa uffizi 1913.jpg|caption3=1913년, [[피렌체]]의 [[우피치 미술관]]에서 전시중인 모나리자. 그림의 우측에 미술관 관장 지오반니 포기가 그림을 감상하고 있다.|image4=Excelsior, journal illustré quotidien, La Joconde est Revenue, 1 January 1914.jpg|caption4=La Joconde est Revenue" ("모나리자, 돌아오다."), 《Excelsior》, 1914년 1월 1일 호}} 페루자는 이탈리아인으로, 레오나르도의 그림이 이탈리아에 반환되었어야 한다고 생각해 이와 같은 범죄를 저질렀다고 진술하였으나,<ref>{{뉴스 인용|url=https://www.theguardian.com/artanddesign/gallery/2009/feb/19/greatest-art-heists-in-pictures|title=In pictures: The greatest art heists in history|last1=Iqbal|first1=Nosheen|last2=Jonze|first2=Tim|date=2020-01-22|work=The Guardian|language=en-GB|issn=0261-3077|access-date=2021-04-17}}</ref> 그림이 도난당한 후 모나리자의 가치가 크게 상승할 것이라는 동료의 꼬드김에도 영향을 받았다.<ref name="lost">[https://books.google.com/books?id=kSdYINRtkWEC& ''The Lost Mona Lisa''] by R. A. Scotti ([[Random House]], 2010)</ref> 페루자는 자기 집 난로 밑에 2년 동안 숨겨두었다가,<ref name="jookc 275">주경철 <유럽인 이야기 1> 휴머니스트, p275</ref> 피렌체에 있는 [[우피치 미술관]]의 관리인 조반니 포그에게 모나리자를 팔려고 시도하다가 붙잡혔다. 이 작품은 우피치 미술관에서 2주간 전시되었고 1914년 1월 4일 루브르 박물관에 반환되었다.<ref>{{웹 인용|url=http://blogs.artinfo.com/secrethistoryofart/2011/08/09/chronology-of-the-mona-lisa-history-and-thefts/|title=Noah Charney, ''Chronology of the Mona Lisa: History and Thefts'', The Secret History of Art, Blouin Artinfo Blogs|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1027061739/http://blogs.artinfo.com/secrethistoryofart/2011/08/09/chronology-of-the-mona-lisa-history-and-thefts/|archive-date=27 October 2015|url-status=live|access-date=25 October 2015}}</ref> 페루자는 이 범죄로 6개월 동안 감옥살이를 했지만, 이탈리아에서는 환영을 받았다.<ref name="monalisa25" /> 도난 사건 1년 후, 이 절도를 계획하고 주도했다고 주장하는 에두아르도 드 발피에르노라는 인물도 나타났다. 이브 초드론이라는 인물이 모나리자 6장을 위조하여 미국에서 판매할 예정이었다고도 했다.<ref name="lost" /><ref>{{웹 인용|url=https://www.saturdayeveningpost.com/2013/12/the-mona-lisa-heist/|title=100 Years Ago: The Mastermind Behind the Mona Lisa Heist {{!}} The Saturday Evening Post|last=Nilsson|first=Jeff|date=7 December 2013|website=Saturday Evening Post|access-date=23 July 2019}}</ref>
 
== 2차 세계대전 이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