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두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001:E60:87DD:1A0C:105F:7A3F:CD7D:59B1(토론)의 판 36597810으로 되돌림 (TW)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42번째 줄:
|각주 =
}}
'''박두성'''(朴斗星, [[1888년]] [[4월 26일]] ([[음력 3월 16일]]) ~ [[1963년]] [[8월 25일]])은 [[일제강점기]]의 한글 점자(點字)를 창안한<ref>{{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0020653}}</ref> [[대한민국]]의 교육자로, 본명은 '''박두현'''(朴斗鉉)이다. 본관은 [[무안 박씨|무안]]. 자는 두성(斗星), 호는 송암(松庵)이며, [[경기도]] [[교동군|교동부]] 동면 상방리 월정(현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상용리 달우물마을) 출신이다. 일제 강점기에 박두성은 시각장애인을 가르치는 교사로 활동했다. 박두성은 최초의 한국 점자 '훈맹정음'을 만들었다. 점자는 시각장애인이 손가락으로 더듬어 읽는 특수한 문자다. 슬하에 3남(박순봉, 박순대, 박희복) 2녀(박정희, 박명희)를 두었다.
 
== 경력 ==
=== 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