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여성기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6번째 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무소: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중국, 피지(Fiji Multi-Country Office), 인도, 인도네시아, 미얀마, 네팔, 파키스탄, 파푸아 뉴기니, 스리랑카, 동티모르, 베트남
* 유럽/중앙아시아 지역 사무소: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조지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몰도바 공화국, 우크라이나
 
=== 유엔여성기구 총재 ===
초대 유엔여성기구 총재(2010-2013)로 칠레 전 대통령인 [[미첼 바첼레트]](Michelle Bachelet)가 임명되었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칠레 대통령을 역임한 미첼 바첼레트는 연금 개혁, 여성과 아동을 위한 사회 보장제도 확립 및 관련 연구를 지원했다. 또한 저소득층을 위한 무료 아동보육센터 3배 증설 및 전국 약 3,500개의 보육 센터를 완공하는 성과를 이루었다.<ref>https://www.unwomen.org/en/about-us/directorate</ref>
 
2대 총재(2013-2021)로는 [[:en:Phumzile_Mlambo-Ngcuka|품질레 믈람보 응쿠카]](Phumzile Mlambo-Ngcuka)가 임명되었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부통령을 역임하며 빈곤 퇴치와 빈곤 인구의 경제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담당했으며, 특히 여성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그 전에는 1999년부터 2005년까지 광물에너지부 장관, 1996년부터 1999년까지 무역산업부 차관을 역임했습니다.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남아공 최초의 민주 정부에서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습니다.
 
현재 유엔여성기구 총재는 [[:en:Sima_Sami_Bahous|시마 바하우스]](Sima Bahous)이며, 주유엔대표부 요르단 대사를 역임했다.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