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되돌려진 기여 일반 문서의 넘겨주기화
1번째 줄:
#넘겨주기 [[귤]]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철도차량
| 차량명 =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 그림 = KORAIL EMU3000.jpg
| 그림설명 = [[지축역]]에 진입한 수서행 384편성 ([[2022년]] [[12월]] 폐차)
|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3}}
| 글자색 = black
| 량수 = 10량
| 전기방식 = [[직류]] 1,500V 가공가선방식
| 제어방식 =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게이트 턴 오프 사이리스터|GTO]](미쓰비시) 1C4M제어<ref>미쓰비시 MAP-204-D15V41형</ref> [[미쓰비시]] [[IGBT]] (예정)
| 전동기출력 = 200
| 편성출력 = 4,000(5800마력)
| 설계최고속도 = 110
| 기동가속도 = 3.0
| 감속도 = 상용: 3.5 km/h/s<br> 비상: 4.5
| 구동장치 = [[유도전동기]]<ref>미쓰비시 MB-5052-A형, 정격출력 200KW, 단자전압 1100V, 전류 130A, 회전수 1945rpm</ref>
| 궤간 = 1,435
| 용도 = [[통근형 전동차]]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직결 운행]]용)
| 제동방식 = [[회생 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제동|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MT비 = 5M 5T
| 보안장치 =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 [수동운전]
| 제작사 = {{기호없는 목록| ''[[현대모비스|현대정공]]'' →([[현대로템]])}} [[우진산전]]
| 제작연도 = [[1995년]]~[[1997년]] (371~386)<br>[[2022년]]~[[2023년]] (387~394)<br>[[2022년]]~[[2024년]] (368~370, 395~399)
| 생산량 = 32개 편성 320량
| 사용량 = 11개 편성 110량
| 운영회사 = [[한국철도공사]]
| 비고 = [[서울교통공사]]의 수탁 관리를 받고 있다.
| 영업최고속도 =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 구간 80
}}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1996년]] [[1월|1월 30일]] [[일산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다. 현재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 운행]]하고 있으며, 이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 중 유일무이한 [[직류]] 1,500V 전용 차량으로, [[서울교통공사]]에 수탁 관리 운영되어, [[교류]] 구간의 운행은 매우 불가능하다. 현재 15개 편성(150량)이 운행 중이다.
 
== 3호선 최초의 [[VVVF]] 전동차 ==
[[1996년]] [[1월]]에 개통된 [[일산선]]은 기존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직결 운행]] 시 문제가 되었던 좌·우측 통행 및 직·교류 전기 공급 방식의 혼선 문제로 발생한 차량, 운용, 시설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철도]]법에 의거하여 건설되어, [[서울교통공사]] 소속의 [[지축차량사업소|지축차량기지]]에서 담당한다. 본 노선에선, [[직류]] 1,500V와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직·교류 겸용차량이 필요 없게 되었으며, 특히 [[서울교통공사]]에서는 [[창동차량사업소|창동차량기지]]의 부지 부족으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4호선 VVVF 제어 차량]]의 중검수 시설을 설치하지 않아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지축차량기지]]에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4호선 VVVF 차량]]의 중검수를 통합하여 운용했기 때문에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등과 동일한 차량을 도입한 후 검수 절차 및 차량 운용을 [[서울교통공사]] 측에 수탁했다. 이로써, [[한국철도공사]]는 별도의 차량기지를 건설할 필요 없이 그대로, [[지축차량사업소|지축차량기지]]의 규모 확충만으로도 상호 간 부품 공통화 등의 효율성이 한층 제고가 이루어졌다.
 
== 기술적 사양 ==
기본적인 사양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중 101~110편성,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중 401~409, 451~463편성과 동일하다. 다만, 설계 최고 속도는 110km/h로 10km/h가 더 높으며 [[한국철도공사]]의 승무원이 운용하기 때문에 여타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의 응답성 및 가속성에 최대한 흡사하도록 기어비가 조정되어 있다. 그러나 체감상으로 기어비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한다. 그리고 20여년 동안 [[서울교통공사]]에서 별개로 관리를 받아 사실상 기어비가 원래 값에서 많이 변경되었을 것이라는 의문이 나왔다. 차내에는 역 통과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나 사용하지는 않는다. [[TGIS]]가 1비트의 화면에서 4비트의 [[TGIS]]로 새로 바뀌었다. 레이아웃은 그대로이지만 기능들이 조금 더 다양해졌다.
 
== 특이 사항 ==
=== 시운전 사고 ===
{{본문|일산선 전동차 추돌 사고}}
[[1995년]] [[11월 24일]], 수서 방향 시운전을 하던 374편성의 3074호가 시운전을 마치고 [[지축차량사업소|지축차량기지]]에 입고하다가 서행 운행 중이던 377편성의 3977호와 충돌했다. 사고의 발단은 374편성의 기관사가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가 미작동 중인 상태에서 서행 운행을 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 음성 방송장치 개량 ===
[[2007년]]에 모든 [[수도권 전철 3호선]] 전동차에 대해 음성 방송 장치가 음질 개선 차원에서, 기존의 아날로그 ROM 방식에서 디지털 MP3 방식으로 바뀌었다. (방송 장치만 개량이 이루어졌으며, 스피커는 개량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현재 일부 차량에 스피커가 바뀌었으나, 경고음은 장착하지 않았다가 모든 차량에 경고음이 바뀌었다.)
 
=== 코모넷 차내방송 시스템 ===
377~384편성에 코모넷 차내방송 시스템을 설치하였으나 현재는 철거된 상태다.
 
=== 내장재 교체 사업 및 도색 변경 ===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 차량의 내연 기준에 의해 [[2005년]] 375~376, 379, 381, 385~386편성이 불연재 기준에 맞추어 바뀌었으며 [[2006년]]엔 개조를 받지 않은 나머지 편성이 바뀌었다. 교체 사업은 [[SLS중공업]]이 참여했으며 [[한국철도공사|코레일]] 표준 시트가 적용되어 있다. 이에 걸맞추어 [[한국철도공사]]의 CI가 변경되어 철도공사의 신 CI 도색이 [[2005년]] 리뉴얼 받은 차량으로부터 적용되어 [[2006년]]까지 전 차량의 도색 변경이 마쳐졌다. 색상은 [[주황색]]-[[군청색]] 계통으로 바뀌었으며 [[한국철도공사]]에서 도색 원본을 보내 [[서울교통공사]]에서 수탁하던 형태로 도색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와 동시에 보수성이 떨어진 전면 측면 행선 표시 장치(DI)를 롤지 회전 방식에서 [[LED]] 현시 방식으로 교체했다. 한편 차내 [[LED]] 전광판에 대한 표출 방식 개선도 동시에 이루어졌다.
 
=== 측면 로고 ===
측면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로고가 'Let's Korail' 스티커로 모두 바뀌었다. 이전엔 다른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열차와 같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스티커가 부착되기도 했다.
 
=== 측면 [[LED]] 가동 중단 ===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측면 [[LED]]가 꺼졌다.
 
== 편성 ==
=== 1차분 ===
371~386편성(초창기 도입분)은 PAN와 C/I가 탑재된 M'차, 그리고 SIV, CM, BAT, 등을 갖춘 Tc차와 T1, 그리고 아무런 전장이 설치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어 있다.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
|
|-
|30XX
|31XX
|32XX
|33XX
|34XX
|35XX
|36XX
|37XX
|38XX
|39XX
|-
|Tc
|M'
|M'
|T
|M'
|T1
|T
|M'
|M'
|Tc
|-
| ←대화
| colspan="8" | <small>※XX는 편성 번호</small>
| 오금→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0%;"
!style="width: 20%;"|객차번호
!style="width: 80%;"|설치된 전장품
|-
!30XX
|Tc(SIV, CM, BAT)
|-
!31XX
|M'(PAN, C/I)
|-
!32XX
|M'(PAN, C/I)
|-
!33XX
|T
|-
!34XX
|M'(PAN, C/I)
|-
!35XX
|T1(SIV, CM, BAT)
|-
!36XX
|T
|-
!37XX
|M'(PAN, C/I)
|-
!38XX
|M'(PAN, C/I)
|-
!39XX
|Tc(SIV, CM, BAT)
|}
 
=== 2~3차분 ===
368~370, 387~399편성은 [[집전장치|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와 제어실이 없는 T1, 그리고 아무런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어 있다.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
|
|-
|30XX
|31XX
|32XX
|33XX
|34XX
|35XX
|36XX
|37XX
|38XX
|39XX
|-
|Tc
|M
|M'
|T
|M'
|T1
|T
|M
|M'
|Tc
|-
| ←오금
| colspan="8" | <small>※XX는 편성 번호</small>
| 대화→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0%;"
!style="width: 20%;"|객차번호
!style="width: 80%;"|설치된 전장품
|-
!3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XX
|M(주변환장치)
|-
!32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3XX
|T(무동력객차)
|-
!34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5XX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6XX
|T(무동력객차)
|-
!37XX
|M(주변환장치)
|-
!38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9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배속 ==
원래는 [[구로차량사업소|구로차량기지]] 소속이지만 기술적 문제로 실질적으로는 [[지축차량사업소|지축차량기지]]에서 관리한다. 4자리 편성인 371~386편성으로 부여하여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와의 통합적인 원스톱 관리가 가능해졌다. [[2011년]] [[한국철도공사]]의 광역전철용 차호가 300000호대로 개정됐지만, 해당 차량들의 경우 [[서울교통공사]] 측의 효율성 관리 차원에서, 예외로 분류된다.
* 368~370, 379~381, 387~399편성: [[지축차량사업소|지축차량기지]], 10량
 
== 현재 운행구간 ==
* {{한국 도시철도|SM3}}
**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역|지축]] ~ [[오금역|오금]]
** [[일산선]]: [[대화역|대화]] ~ [[지축역|지축]]
 
== 도입 역사 ==
'''최초 도입분은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에서 운행 중인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 차량(101~106편성),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운행 중인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 차량(401~409, 451~463편성)을 기초로 제작됐으며, 이후 여러 설비를 변경하여 총 2차례에 걸쳐 도입이 이루어졌다. 전두부 형상을 기준으로 크게 3세대로 나뉜다.'''
 
=== 1세대(1차분) [[1995년 8월]]~[[1997년 9월]] ===
'''해당 편성: 371~86편성(총 16편성)<br/>제작사: [[현대정공]]'''
 
초창기에 도입된 371~377편성은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지축역|지축]]~[[대화역|대화]] 개통 및 [[서울 지하철 3호선]] [[직결 운행]]과 함께 도입됐으며, 이후 378~383편성이 [[1996년]] 1차 증차분으로, 384~386편성이 [[1997년]] 2차 증차분으로 도입된 편성이다. 16개 편성 160량 모두 '''[[현대정공]] 창원공장'''에서 제작되어 도입된 차량이다. 2차 증차분의 경우 [[2022년 9월]] 384편성은 극심한 차량 노후화 및 주요 부품 결함, 385~386편성은 [[내구 연한]] 만료에 의해 영구 휴차됐다가 [[2022년 10월]]에 차적 삭제 및 결번 처리 후 [[2022년 12월]]에 반출 및 폐차 매각이 이루어졌다. [[2023년 8월]]부터 [[12월]]까지 371~378, 382편성도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 2세대(2차분) [[2022년 7월]]~[[2023년 1월]] ===
'''해당 편성: 387~94편성(총 8편성)<br/>제작사: [[현대로템]]'''
 
해당 차량은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371~378편성의 대차분이다.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됐고, 행선안내기와 열번표시기가 기존 구형 3색 [[LED]]에서 신형 7색 [[LED]]로 바뀌었다. 또한 객차 간 통로문이 제거되어 없어졌으며, 객실 중앙좌석이 기존 7석에서 6석 플라스틱 의자로 바뀌었다. 또한 차내 [[LCD]] 표출방식도 개정된다. 387~389편성은 [[수서차량사업소]]에서 주박 중이며, [[2023년 8월]] 392편성과 394편성이 운행을 시작했다.
 
=== 3세대(3차분) [[2022년 12월]]~[[2024년 4월]] ===
'''해당 편성: 368~70편성, 395~99편성<br/>제작사: [[우진산전]]'''
 
해당 차량은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379~386편성의 대차분이다. '''[[우진산전]] 증평공장'''에서 제작됐고, 일본 [[미쓰비시]]가 개발한 SiC([[실리콘 카바이드]]) 신소재의 [[IGBT]]가 장착된 차량분이다. [[야마노테 선]]에서 운행하던 [[동일본 여객철도 E235계 전동차]]과 흡사한 구동음이다.
 
== 현황 ==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 1세대분 ===
[[2024년]] [[6월]]까지 [[내구연한]] 종료로 전량 [[폐차]]될 예정이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width="50"|차호!!width="75"|도입 시기!!width="90"|운행 중단 시기!!비고
|-
|371 편성||rowspan="7"|[[1995년]]|| rowspan="7" |[[2023년]]||
|-
|372 편성||
|-
|373 편성||KTCS-M 장치가 설치되어, 시범운영을 한 이력이 있다.
|-
|374 편성||
|-
|375 편성||
|-
|376 편성||
|-
|377 편성||rowspan="8"|코모넷 차내방송 시스템을 설치한 이력이 있다.
|-
|378 편성|| rowspan="6"|[[1996년]]||[[2024년]]
|-
|'''379 편성'''|| rowspan="3"|[[2024년]] 예정
|-
|'''380 편성'''
|-
|'''381 편성'''
|-
|382 편성||[[2023년]]
|-
|383 편성||[[2024년]]
|-
|384 편성||rowspan="3"|[[1997년]]||rowspan=3|[[2022년]]
|-
|385 편성||
|-
|386 편성||
|}
 
=== 2세대분 ===
해당 편성들부터 신도색이 적용됐으며, 배장기가 제거되어 없어졌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width="50"|차호!!width="75"|도입 시기!!width="90"|운행 중단 시기!!비고
|-
|'''387 편성'''|| rowspan="7"|[[2022년]]||운행 중||
|-
|'''388 편성'''
|운행 중||
|-
|'''389 편성'''
|운행 중||
|-
|'''390 편성'''
|운행 중||
|-
|'''391 편성'''
|운행 중||
|-
|'''392 편성'''
|운행 중||
|-
|'''393 편성'''
|운행 중||
|-
|'''394 편성'''||[[2023년]]
|운행 중||
|}
 
=== 3세대분 ===
해당 편성엔 알루미늄 차체가 적용됐으며, 편성번호가 운전실 측면 앞쪽에 표시된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width="50"|차호!!width="75"|도입 시기!!width="90"|운행 중단 시기!!비고
|-
|368 편성||rowspan="3"|[[2024년]]||시운전 중||
|-
|369 편성||시운전 중||
|-
|370 편성||시운전 중||
|-
|'''395 편성'''||[[2022년]]||운행 중||
|-
|'''396 편성'''|| rowspan="4" |[[2023년]]||운행 중||
|-
|'''397 편성'''||운행 중||
|-
|'''398 편성'''||운행 중||
|-
|'''399 편성'''||운행 중||
|}
 
== 사진 ==
<gallery>
20230901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2세대.jpg|2세대 394 편성 내부
</gallery>
 
== 각주 ==
<references/>
 
== 같이 보기 ==
* [[한국철도공사]]
* [[수도권 전철 3호선]]
* [[일산선]]
* [[지축차량사업소]]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대한민국의 철도차량}}
{{수도권 전철 차량}}
 
[[분류: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
[[분류:현대로템의 철도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