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되돌려진 기여 일반 문서의 넘겨주기화
1번째 줄:
#넘겨주기 [[귤]]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출처 필요|날짜=2017-01-23}}
{{철도 차량 정보
| 차량명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 그림 = SMSC EMU3000 VVVF 301.jpg
| 그림설명 = [[옥수역]]에 진입 중인 [[구파발역|구파발]]행 301편성 (1차분)
|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3}}
| 글자색 = black
| 량수 = 10량
| 차량중량 = 341.5
| 전기방식 = [[직류]] 1,500V 가공가선방식
| 제어방식 = {{기호 없는 목록|1차분: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미쓰비시]])([[현대로템]] [[지능형 전력 모듈|IPM]]) 2레벨 1C4M제어<br/>|2차분: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다원시스]]) 2레벨 1C4M제어}}
| 설계최고속도 = 110
| 기동가속도 = 3.0
| 감속도 = 상용: 3.5 km/h/s<br> 비상: 4.5
| 제어공기압력 = 5kg/cm<sup>2</sup>(변동범위:4~6kg/cm<sup>2</sup>)
| 구동장치 = [[유도전동기|교류 3상 농형 유도전동기]]<ref>[[현대로템]] KTM-ILS-210CA형, 정격출력: 210kW, 단자전압: 1,100V, 정격전류: 136A, 회전수: 2,200rpm</ref>
| 기어비 = 7.07(14:99)
| 전동기출력 = 210<ref>1시간 정격출력은 230kW</ref>
| 편성출력 = 4,200(6000마력)
| 궤간 = 1,435
| 용도 = [[통근형 전동차]]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제동|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제작사 = {{기호 없는 목록|1차분: [[현대로템]]|2차분: [[다원시스]]}}
| 운영회사 = [[서울교통공사]]
| 제작연도 = [[2009년]]~[[2010년]]: 1차분<br>[[2021년]]~[[2022년]]: 2차분
| 사용량 = 49개 편성 490량
| 생산량 = 49개 편성 490량
| 비고 =
| 영업최고속도 =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 구간 80
| 보안장치 =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 [수동운전]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는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 중인 [[서울교통공사]]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현재 총 10량 49개 편성(490량)이 운행하고 있다.
 
== 개요 ==
[[1983년]]~[[1991년]]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교체와 [[수도권 전철 3호선]] [[수서역|수서]]~[[오금역|오금]]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다. 349편성(1개 편성)이 유일하게 연장분으로 도입되었다.
 
== 기술적 사양 ==
기초적 사양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와 같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한국형 표준전동차]]를 기초로 하며 대형 전동차에 맞게 재설계되었다.
 
=== 제어 기기 ===
1차분은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인버터가 적용되었으며, 1대의 인버터가 한 량분(4개)의 전동기가 제어되었다. 전동기의 출력이,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에 비해서는 약간 증대된 210Kw의 국내산 전동기가 탑재되었으며, 보조전원장치(SIV)는 180kVA [[IGBT]]-[[SIV]]가 적용되었다. 다만, [[다원시스]]에서 제작한 2차분은 일본 [[히타치 제작소]]와 기술 제휴로 국산화된 [[IGBT]] 인버터가 탑재되었다.
 
=== 차체 및 [[대차]] ===
차체는 STS301L 스테인리스가 적용되었다. [[대차]]는 기존 중형 전동차 모델을 기초로 더욱 경량화된 [[대차]]가 채용되었다. 단, [[다원시스]] 제작분인 2차분 전동차는 알루미늄 차체가 적용되었다.
 
=== 실내 설비 ===
객실 내부에는 다양한 영상을 내보내는 [[LCD TV]]가 설치되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CD]] 안내판과 기존 행선판을 병용 사용한 안내판이 설치되었다. 객실 창문은 UV코팅 처리된 통유리가 채용되었으며, 선두부는 곡면형태를 일부 줄인 형태의 유선형 FRP 선두부가 적용되어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등과 그것의 파생형과 유사하다.
 
=== [[TCMS]] ===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과는 달리 [[ATO]] 대응 장비는 빠졌으며, [[TCMS]]만 있다. 단 [[TCMS]]에는 서비스기기 제어 기능이 빠졌으며 운전실 내부에 냉난방제어, 방송기기, 행선표시 제어 기기가 각각 설치되었다. 운전 방식은 수동 운전 방식이다.
 
=== 편성 ===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와 제어실이 없는 T1, 그리고 아무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었다.
{| style="text-align: center;"
|-
|
|
|◇◇
|
|◇◇
|
|
|
|◇◇
|
|-
|30XX
|31XX
|32XX
|33XX
|34XX
|35XX
|36XX
|37XX
|38XX
|39XX
|-
|Tc
|M
|M'
|T
|M'
|T1
|T
|M
|M'
|Tc
|-
| ←오금
| colspan="8" | <small>※XX는 편성 번호</small>
| 대화→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0%;"
!style="width: 20%;"|객차번호
!style="width: 80%;"|설치된 전장품
|-
!3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XX
|M(주변환장치)
|-
!32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3XX
|T(무동력객차)
|-
!34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5XX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6XX
|T(무동력객차)
|-
!37XX
|M(주변환장치)
|-
!38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9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배속 ==
* 301~320편성: [[지축차량사업소|지축차량기지]], 10량
* 321~349편성: [[수서차량사업소|수서차량기지]], 10량
 
== 도입 역사 ==
=== 1차분 ([[2009년 5월]]~[[2010년 3월]]) ===
*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301~315편성 (총 15개 편성)
* [[수서차량사업소]] 소속: 321~333편성, 336~340, 349편성 (총 19개 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1984년]]~[[1985년]]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초퍼제어 전동차]]의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제작되었다. 349편성은 유일한 [[수서역|수서]]~[[오금역|오금]] 구간 연장 도입분이다.
 
=== 2차분 ([[2021년 6월]]~[[2022년 3월]]) ===
*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316~320편성 (총 5개 편성)
* [[수서차량사업소]] 소속: 334~335, 341~348편성 (총 10개 편성)
* 제작사: [[다원시스]]
 
[[1990년]]~[[1993년]]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초퍼제어 전동차]]의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제작되었다. '''[[다원시스]] 정읍공장/김천공장'''에서 제작되었다.
 
== 현황 ==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301~348편성은 [[1984년]]~[[1993년]]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대체분이고 349편성은 [[2010년]]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대차분이 아닌 [[수서역|수서]]~[[오금역|오금]] 연장으로 증차 도입되었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width="50"|차호!!width="75"|도입 시기!!width="90"|운행 중단 시기!!비고
|-
|'''301 편성'''|| rowspan="15" |[[2009년]]||운행 중||
|-
|'''302 편성'''||운행 중||
|-
|'''303 편성'''||운행 중||
|-
|'''304 편성'''||운행 중||
|-
|'''305 편성'''||운행 중||
|-
|'''306 편성'''||운행 중||
|-
|'''307 편성'''||운행 중||
|-
|'''308 편성'''||운행 중||rowspan="3"|[[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
|'''309 편성'''||운행 중
|-
|'''310 편성'''||운행 중
|-
|'''311 편성'''||운행 중||
|-
|'''312 편성'''||운행 중||
|-
|'''313 편성'''||운행 중||KTCS-M 시범개조 차량
|-
|'''314 편성'''||운행 중||
|-
|'''315 편성'''||운행 중||
|-
|'''316 편성'''||rowspan="5"|[[2021년]]||운행 중||
|-
|'''317 편성'''||운행 중||
|-
|'''318 편성'''||운행 중||
|-
|'''319 편성'''||운행 중||
|-
|'''320 편성'''||운행 중||
|-
|'''321 편성'''||rowspan="13"|[[2009년]]||운행 중||rowspan=2|[[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
|'''322 편성'''||운행 중
|-
|'''323 편성'''||운행 중||
|-
|'''324 편성'''||운행 중||
|-
|'''325 편성'''||운행 중||
|-
|'''326 편성'''||운행 중||
|-
|'''327 편성'''||운행 중||
|-
|'''328 편성'''||운행 중||
|-
|'''329 편성'''||운행 중||
|-
|'''330 편성'''||운행 중||
|-
|'''331 편성'''||운행 중||
|-
|'''332 편성'''||운행 중||
|-
|'''333 편성'''||운행 중||
|-
|'''334 편성'''|| rowspan="2"|[[2021년]]||운행 중||
|-
|'''335 편성'''||운행 중||
|-
|'''336 편성'''|| rowspan="5"|[[2010년]]||운행 중||
|-
|'''337 편성'''||운행 중||
|-
|'''338 편성'''||운행 중||
|-
|'''339 편성'''||운행 중||
|-
|'''340 편성'''||운행 중||
|-
|'''341 편성'''|| rowspan="4"|[[2021년]]||운행 중||
|-
|'''342 편성'''||운행 중||
|-
|'''343 편성'''||운행 중||
|-
|'''344 편성'''||운행 중||
|-
|'''345 편성'''|| rowspan="4"|[[2022년]]||운행 중||
|-
|'''346 편성'''||운행 중||
|-
|'''347 편성'''||운행 중||
|-
|'''348 편성'''||운행 중||
|-
|'''349 편성'''||[[2010년]]||운행 중||
|}
 
== 현재 운행구간 ==
* {{한국 도시철도|SM3}}
**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역|지축]]~[[오금역|오금]]
** [[일산선]]: [[대화역|대화]]~[[지축역|지축]]
 
== 반입 경로 ==
1차분 도입 시엔 [[신창원역|신창원]]부터 [[영등포역|영등포]]까지 [[디젤기관차]]로 견인한 후에 방향을 변경하여 [[안산역]]으로 이동하였다. 그 후 [[교류]]/[[직류]] 겸용의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와 연결한 후에 [[남태령역|남태령]]까지 이동한 후, 그 이후로는 자력으로 [[충무로역]]까지 이동하였다. [[충무로역|충무로]] 인근에 있는 3~4호선간 연결선로를 이용하여 [[지축차량사업소|지축차량기지]] 또는 [[수서차량사업소|수서차량기지]]로 반입되었다.
 
2차분 도입 시엔 [[노령역]]/[[김천역]]부터 [[영등포역]]/[[오류동역]]까지 [[디젤기관차]]로 견인한 후에 방향을 변경하여 [[안산역]]으로 이동하였다. 그 후 [[교류]]/[[직류]] 겸용의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와 연결한 후에 [[사당역]]까지 이동한 후, 그 이후로는 자력으로 [[충무로역]]까지 이동하였다. [[충무로역]] 인근에 있는 3~4호선간 연결선로를 이용하여 [[지축차량사업소|지축차량기지]] 또는 [[수서차량사업소|수서차량기지]]로 반입되었다.
 
== 특이 사항 ==
 
=== [[자전거]] 전용칸 개조 ===
자출족들의 이동 편의를 위해 308~310, 321~322편성은 전동차 Tc(운전실이 있는 칸) 맨 앞에 [[자전거]] 전용칸 개조가 이루어졌다. 즉, [[자전거]]를 이용할 경우엔 주인이 직접 들고 다녀야 한다.
 
=== 신형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 설치 ===
대한민국의 정부의 녹색 성장에 맞추어 [[서울 지하철]] 조명을 업그레이드 하고자 337~340, 349편성의 객실 조명에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이 설치되었다.
 
=== 출입문 교체 ===
304, 307~308편성은 [[한국철도공사]] [[VVVF]] 전동차 3세대 후기형 출입문이 한동안 임시로 설치되었다가 도로 철거되었다.
 
=== 측면 행선 [[발광 다이오드|LED]] 가동 중단 ===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1차분 전동차의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모든 안내기가 소등되고 에너지 절약을 위해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부착되었다. 다만 2차분 전동차는 앞칸과 뒷칸만 측면 안내기가 가동 중이다. 일부 차량은 아직 10량 모두 가동 중이다.
 
== 특성 및 사양 ==
* 견인장치는 표정속도 34km/h 이상 확보하였으며, 운행최고속도는 80km/h이다.
* 전동차가 고장났을 때 고장이 발생한 차량을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분리(VCOS) 시킬 수 있으며, 1조의 견인장치(컨버터 + VVVF 인버터)를 분리하고도 매우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지고 있는 차량이다.
* 6량 또는 10량 편성 시 전동차 1유닛 고장 경우에도 최대 승객 하중 조건에서 고장난 유닛을 개방한 상태로 35‰ 구배에서도 기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차량이다.
 
== 사진 ==
<gallery>
파일:SMSC EMU3000 VVVF 301.jpg|[[옥수역]]에 진입 중인 [[구파발역|구파발]]행 301편성 (1차분)
파일:Seoulmetro 349 01.jpg|349편성 차량 실내 1
파일:Seoulmetro 349 02.jpg|349편성 차량 실내 2
</gallery>
 
== 각주 ==
<references/>
 
{{notelist}}
 
== 같이 보기 ==
* [[서울교통공사]]
* [[수도권 전철 3호선]]
*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수도권 전철 차량}}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
[[분류: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분류:다원시스의 철도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