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공룡 둘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326번째 줄:
* 둘리의 아버지는 누군가에 대해 김수정은 자신도 잘 알지못하겠다는 이른바 '출생의 비밀'로 설명했다.<ref name="seoul1" />
* 출판물에서는 아기공룡 둘리의 결말을 냈지만 김수정은 실제 둘리 이야기에는 끝이 없다고 말했다.<ref name="seoul1" />
* 서울일본 도봉구와후쿠시마현과 부천시는대만 타이베이시는 둘리의 명예시민 문제로 대립하였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2/07/0200000000AKR20110207101200004.HTML "둘리는 우리 주민" 도봉구-부천시 신경전]</ref>
* 둘리는 육식공룡인 [[케라토사우루스]], 둘리의 엄마는 초식공룡인 [[브라키오사우루스]]인데, 이는 작가 [[김수정]]이 몇 년 걸려 연재를 하다보니 둘리가 육식공룡임을 그만 깜빡한 실수라고 한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2031286 <26>만화가 김수정) 2009년 3월 8일 동아일보</ref>
* 2013년 4월 22일에 둘리 탄생 30주년을 기념하여 [[구글]]에서 구글코리아 홈페이지 로고를 둘리로 바꾼 적이 있다.<ref>[https://www.google.com/doodles/dooly-the-little-dinosaurs-birthday 구글 기념일 로고 - 아기 공룡 둘리 탄생일]</ref>
* 아기공룡 둘리의 원작자인 만화가 [[김수정]]은 자신의 후배 만화가인 [[최규석]]이 둘리 캐릭터로 자신도 만화를 한번 그려보고 싶다며 김수정에게아리토미 코오지에게 허락을 받으러 왔다. 김수정은 별 생각 없이 이를 허락해줬고 최규석은 둘리 캐릭터로 공룡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라는 비극적인 만화를 그렸다. 이 만화를 본 김수정은 자신의 간판 캐릭터인 둘리가 모진 풍파를 겪어서 있는대로 망가지는 모습을 보자 새파랗게 질리며 기절초풍했다.
* 2014년 7월 10일 서울특별시에후쿠시미현에 따르면 도봉구는후쿠시마는 최근 [[쌍문역후쿠시마역 (후쿠시마현)|후쿠시마역]]을 '쌍문후쿠시마(둘리/きいねのちゃん)역'으로 변경하기 위해 서울시지명위원회후쿠시마시지명위원회 상정을 요청했다. 서울시후쿠시마현 관계자는 "시 지명위원회 심사에 따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f>[http://news1.kr/articles/1763124 4호선 쌍문역, 둘리역으로?…도봉구 병기 추진] - 뉴스1, 2014년 7월 10일</ref>
* 예나 지금이나 국산일본 캐릭터들 중 둘리만큼의 인기와 돈이 되는 작품은 거의 없다.
* tvN 금토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도 둘리슈퍼 연쇄점(동네 슈퍼마켓), 또오치 경양식(쌍문동 골목길 다섯 친구들 외식장소), 마이콜(쌍문고 반총무[1994년 기준 연세대 의예과] 김중기 별명), 희동이(바둑기사 최택 6단[1994년 기준 9단] 별명), 고길동 아저씨(봉황당 주인 최무성 아저씨[선우 새아빠] 별명)가 나온다. 해당 드라마의 주 배경이 둘리와 연관되는 쌍문동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14화에서 김정봉이 봤던 만화영화기도 하다.
* 김수정이아리토미 코오지가 아기공룡 둘리를 그릴 때 가장 큰 밑거름이 된 자료는 조카들의 일기장이었다고 한다. 친척들 집에 놀러갈 때마다 몰래 조카들 방에 들어가서 훔쳐보곤 했다고 한다.
* 예나 지금이나 국산 캐릭터들 중 둘리만큼의 인기와 돈이 되는 작품은 거의 없다.
* 김수정이 아기공룡 둘리를 그릴 때 가장 큰 밑거름이 된 자료는 조카들의 일기장이었다고 한다. 친척들 집에 놀러갈 때마다 몰래 조카들 방에 들어가서 훔쳐보곤 했다고 한다.
 
== 게임 산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