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9.1.213.32(토론)의 37185041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동음이의 링크
49.1.213.32(토론)의 37185045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26번째 줄:
}}
 
'''김수한'''(金守漢, [[1928년]] [[8월 20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고위정치인]]이다.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장]]이다.
 
== 학력 ==
* [[1947년]] [[경북중학교 (대구)|경북중학교]] ([[졸업]])
* [[1952년]] [[영남대학교]] ([[법학]] / [[학사]])
 
=== 명예 박사 학위 ===
* [[2010년]] [[경남대학교]] ([[정치학]] / [[명예박사]])
* [[2014년]] [[영남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 생애 ==
1928년, 일제강점기 김성진과 성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경순왕]](敬順王)의 재종질(再從姪) [[김선평]]의 28세손으로 진골 귀족의 후손이다. 학생 시절에 하인들을 해방해주었다. [[대구초등학교|대구국민학교]], [[경북중학교]], [[대구고등학교]], [[영남대학교]] 법학 학사를 졸업하였다.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자 [[김영삼]]과 같이 학도병으로 [[6.25 전쟁]]을 치루었다. [[김영삼]] [[대통령]]과 함께 금융실명제 도입 등을 개혁했으며, 정치, 경제, 사회의 국가 체제를 정착하게 하였다.
 
1958년, [[국회의원|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대구시 병 선거구에 민주혁신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자유당 이우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사회대중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민주당 임문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국회의원|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원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통합야당 민중당에 속했다가 1966년 신한당 분당시 따라갔다. 1967년 [[국회의원|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70년부터 1972년까지 신민당 대변인을 역임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진산 파동 때는 [[유진산|유진산계]]에 속하였다.
 
1973년, [[국회의원|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제2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정희섭]]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이후 [[이충환]]의 혁진회에 속하였다. 1978년, [[국회의원|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관악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정희섭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0년 여름, [[신군부]]에 의해 모처로 끌려가서 구금당하고 강제로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해야 했다. 그리고 정치규제를 당했다가 1984년 해금되었다. 1985년 [[국회의원|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임철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7년 [[통일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1988년, [[국회의원|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평화민주당 이해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선거|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민주당 이해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6년, [[국회의원|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98년까지 국가 서열 2위인 제15대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20세기 마지막 국회의 국회의장이다.
 
1998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서훈하였다.
 
제2공화국 때 혁신계, 민주혁신당-신민당 강경파로 활동했으며, 새누리당과 한국 메인스트림 계열에서 보기 드문 [[사회주의]] 일본사회당-사회민주당으로 한일 협력에 기여를 하며 국가 체제를 앞당겼다.
 
== 경력 ==
줄 91 ⟶ 62:
* [[1999년]]: [[파일:JPN Toka-sho BAR.svg|40x40픽셀]] [[훈일등욱일대수장|훈일등 욱일대수장]]
 
== 가족 관계 ==
* 아버지: 김성진 - [[법조인]](일본제국 변호사)
* 어머니: [[성주 이씨]] - 이언충 [[종2품]] [[형조참판]]의 직계손
** 장인: 신금석(愼金石) - [[법조인]](일본제국 변호사)
** 장모: [[경주 김씨]] 김남현(金湳鉉)의 딸, 김부 [[정1품]] [[좌의정]]의 직계손
*** 처형: 신영희(愼英姬)
*** 손위동서: [[김우경 (1931년)|김우경]] - [[정치인]](제6제·7대 국회의원)
*** 부인: 신금호 - [[거창 신씨]] 신금석의 둘째 딸
**** 장남: [[김성동 (1954년)|김성동]] - [[정치인]](제18대 국회의원)
**** 장녀: 김향
**** 차녀: 김숙향
***** 손자: 김유현 - [[법조인]](미국 미국로펌 회장)
***** 사위: [[장성수 (1954년)|장성수]]
 
== 그외 것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