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 미제라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33번째 줄:
《레 미제라블》은 [[영화]], [[뮤지컬]], [[연극]] 등으로 많이 만들어졌으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국방송]](KBS)에서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인형극]]으로 각색하여 방영하였다.
 
== 줄거리 ==
굶주리는 장발장은 빵을 훔친 죄로 19년간 감옥 생활을 마치고 가석방된다. 주교와의 만남을 통해 새로운 삶을 시작한 그는 공장주가 되어 가난한 이들을 돕는다. 공장에서 일하던 팡틴이 죽음을 앞두고 딸 코제트를 부탁하자, 장발장은 이를 받아들인다. 장발장은 자신과 비슷한 사람이 누명을 쓴 것을 알고 진짜 정체를 밝히며 형장에 끌려가지만, 이후 탈출하여 혹사당하던 코제트를 구한다. 형사 자베르의 추적을 피해 살아가던 중, 코제트는 마리우스라는 청년과 사랑에 빠져 결혼하게 된다. 마리우스는 장발장에 대해 오해를 하여 장발장을 피하지만, 테나르디에의 모함을 통해 장발장이 자신의 생명의 은인임을 알게 된다. 마리우스와 코제트는 다시 장발장을 찾아오고, 장발장은 기쁨 속에 삶을 마감한다.
 
/일곱 조카들을 위해 빵 한 조각을 훔친 죄로 19년의 감옥살이를 한 장 발장.<ref>{{웹 인용|url=https://www.naver.com/|제목=네이버|언어=ko|확인날짜=2020-08-25}}</ref> [[전과자]]라는 이유만으로 모두의 박해를 받던 장 발장은 자신의 집에서 하룻밤을 재워주고 자신이 훔친 은식기에 은촛대까지 선물로 준 미리엘 [[주교]]에게 감명받아 새로운 삶을 살기로 결심한다. 미리엘 주교의 사랑에 감동받은 장 발장은 정체를 숨기고 '마들렌'이라는 새 이름으로 시장이 되어 가난한 이들을 도와주며 살던 중 팡틴과 마주친다. 죽음을 눈앞에 둔 팡틴은 자신의 딸 코제트를 장 발장에게 부탁한다. 자신과 비슷한 용모를 지닌 상마튜라는 사람이 장발장으로 재판정에 선다는 것을 알게 된 장발장은 크게 고민하다가 재판정을 찾아가 자신이 진짜 장발장임을 밝힌다. 이후 장발장은 다시 [[도형장]]에 끌려가지만 물에 빠진 선원을 구하고난 뒤 수영하여 탈출한다. 그 이후 테나르디에 부부에게 혹사당하던 코제트를 구하고 입양하여 자신이 키우기 시작했다. 자베르의 눈을 피해 [[수도원]]에서 포슐르방 노인에게 도움을 받아 살아가며 코제트를 키우다가 코제트에게 수도원 밖 삶을 보여주기 위해 파리로 이사한다. 이후 마리우스라는 청년과 코제트가 사랑에 빠지게 되고 결국 결혼까지 한다. 장 발장은 처음엔 코제트를 뺏긴 것 같은 분노에 사로잡혔다. 그 후 마리우스는 장 발장이 나쁜 일을 많이 저지르고 자신을 죽이려고 했다고 오해를 해서 코제트가 장발장을 만나지 못하게하고 장 발장을 피해 다닌다. 하지만 테나르디에가 장 발장이 마리우스를 죽인 살인자라는 모함을 하려했지만, 그것은 오히려 마리우스에게 장 발장이 마리우스의 생명의 은인인 것을 알아채게 만들었다. 프랑스 6월 봉기에서 마리우스가 죽을 뻔한 것을 장 발장이 [[하수도|하수구]]를 통해 마리우스를 집으로 데려다 주었으나, 마리우스는 그 은인이 누군지도 모르고 있었다./사회 갈등론은 사회적 가치의 불평등한 분배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존재하며, 이러한 갈등이 사회 변동에 기여한다고 본다. 소설 레 미제라블에서는 다양한 사회 불평등 현상의 모습이 묘사되며, 이는 사회 갈등론적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다.
 
사회 갈등론에 따르면, 사회에는 지배 계급과 피지배 계급 간의 갈등이 존재한다. 레 미제라블의 장발장과 팡틴은 피지배 계급으로서, 빵을 훔치거나, 머리카락과 치아를 파는 등 경제적 어려움으로 고난스러운 삶을 살아간다. 이를 통해 지배 계급이 피지배 계급을 착취하고 억압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사회 갈등론의 관점에서 법과 제도는 지배 계급의 합의로 제정되며, 지배 계급의 이익을 보호하고, 피지배 계급을 통제하는 도구로 작용한다. 법과 질서를 상징하는 자베르의 집요한 추적은 법이 어떻게 하층민을 억압하고, 상류층의 권력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지를 보여준다. 법과 제도가 공정하지 않으며,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키는 것이다.
 
사회 갈등론에서는 사회가 갈등과 투쟁을 통해 변화한다고 본다. 마리우스와 그의 동료들이 참여하는 혁명 활동은 사회 갈등론의 핵심인 저항과 변화를 잘 보여준다. 혁명가들은 기존의 불평등한 사회 구조 속에서 자신들의 권리를 찾기 위해 싸우고, 사회 변화를 위해 목숨을 걸고 저항합니다. 이는 피지배 계급이 지배 계급에 저항하며, 사회적 변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상징합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갈등이 사회 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위와 같이 레 미제라블을 사회 갈등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면, 계급 간의 갈등, 법과 제도의 불공정성, 그리고 혁명을 통한 사회 변화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레미제라블 감상을 통해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마리우스가 코제트에게 자초지종을 얘기하고 장 발장을 찾았을 때 장 발장은 이미 코제트를 보지 못하는 슬픔에 죽어가고 있었고, 삶의 마지막 순간에 코제트와의 재회를 크게 기뻐하며 만족스럽게 삶을 마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