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장벽: 수정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85번째 줄:
다른 장벽은 지속가능성 개념에 ''외부적''이다. 극복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한 가지 방법은 공공재 소비에 가격표를 붙이는 것이다. 일부 외부 장벽은 지배적인 제도적 틀의 성격과 관련이 있다. [[공공재]]에 대한 시장 메커니즘이 실패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기존 사회, 경제, 문화는 소비 증가를 장려한다. 경쟁적인 시장 경제 에서 성장하려면 구조적인 필수 조건이 있다. 이는 필요한 사회적 변화를 방해한다.<ref>Wiedmann, Thomas; Lenzen, Manfred; Keyßer, Lorenz T.; Steinberger, Julia K. (2020). "Scientists' warning on affluence". Nature Communications. 11 (1): 3107. Bibcode:2020NatCo..11.3107W. doi:10.1038/s41467-020-16941-y. ISSN 2041-1723. PMC 7305220. PMID 32561753. Text was copied from this source, which is available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ref>
 
[[현재]]
[[현재]] 아프리카와 침팬지의 상황은 어떠한가 1960년엔 탕가니카 호수의 동쪽을 따라 보호구역 밖으로도 계속 이어지던 숲이 이제는 30제곱마일의 작은 곰비 국립 공원만 남아있다. 이곳엔 땅이 부양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사람이 살고 있다. 그들은 스스로 살아가기 위해 [[나무]]를 경작하고, 그 자리엔 풍화 등이 작용하고, 결국엔 사막화까지 이어진다. 그리고 침팬지들은 밀렵꾼에게 노출되어 죽거나 과도한 경작으로 인해 서식지를 잃게 된다. 20세기 말까지 침팬지는 100만 마리가 넘었으나, 현재 침팬지는 15만 마리 밖에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아프리카 자연을 보호하고 침팬지<ref>{{저널 인용|제목=African great apes (chimpanzee and gorilla) : feature, phylogeny and evolution|저널=Journal of Life Science|url=http://dx.doi.org/10.5352/jls.2003.13.2.175|날짜=2003-04-01|권=13|호=2|쪽=175–183|doi=10.5352/jls.2003.13.2.175|issn=1225-9918}}</ref>를 비롯한 동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궁극적으로 동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선 인간의 삶부터 개선해야 한다. 그렇기에 [[제인 구달|제인구달]]은 TACARE 프로그램을 통해서 사막과 같은 산에 묘목을 심는 방법, 적절한 경작법, 토양 침식을 줄이고 막기 위한 대책들, 피폐해진 땅을 되살려서 2년 안에 다시 경작 가능하게 만드는 방법들을 곰비 국립 공원 주변 12개의 마을 사람들에게 알려주기 시작했다. 그 결과 마을 [[원주민주의|원주민]]들의 첫 관심사는 본인들의 건강이었지만 시간이 흐르고 상황이 나아지면서 그들도 자연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즉, 언덕 위쪽의 숲이 그들의 생존을 위한 경작으로 사라지면 결국 토양 침식과 이류가 생긴다는 것을 깨달았다.
 
침팬지들과 사라지는 숲이 직면한 문제들의 원인은 무엇인가 환경오염이다. 우리가 마시는 공기는 점점 유독해지고 땅과 함께 음식도 유독해진다. 특히, 수질 오염이 21세기 인류가 맞이한 가장 결정적인 문제이다. 물은 농업, 산업, 가정에서 나온 화학 물질들로 어디서나 오염되어 있고, 이 화학 물질들은 물을 매개로 하여 점점 세계로 퍼져나가서 결국에서 땅에서 과거와 같은 수확을 거둘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환경오염은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인류가 해야만 하는 생각은 무엇인가 에드워드 윌슨은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이 유럽이나 [[미국인]]의 삶의 수준을 누리려면 지구가 세 개 더 있어야 한다” 라고 말했다. 그러나, 우리의 지구는 오직 하나 뿐이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 세계 곳곳의 원주민<ref>{{저널 인용|제목=From Object to Subject: Native Americans in Canadian Films|저널=STUDIES IN HUMANITIES|성=Lee|이름=Sang-Hoon|url=http://dx.doi.org/10.33252/sih.2020.9.66.457|날짜=2020-09-30|권=66|쪽=457–480|doi=10.33252/sih.2020.9.66.457|issn=2005-1263}}</ref>들은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마다 모여 앉아 스스로에게 “ 이것이 우리의 7대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라고 물어본다. 즉, 인류는 현재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미래를 살아갈 우리의 다음 세대들을 생각해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지속가능성을 추구해야 한다. 그렇다면 이를 위해 인류의 기술이 적용된 사례에는 무엇이 있는가 퇴비 제작용 변기가 있다. 변기를 한 번 내리는데 들어가는 물의 양은 2~6L정도이다. 이 많은 물을 그냥 변기에 흘려보내는 건 지나친 물 낭비이다. 따라서 변기 의자 밑에 바로 퇴비 처리용 쓰레기통을 두어 물 낭비를 [[탁월]]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지속가능성 정책을 시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데에는 몇 가지 장벽이 있다. 환경정책의 목표와 경제발전의 목표 사이에는 상충관계(trade-offs)가 존재한다. 환경 목표에는 자연 보호가 포함된다. 개발은 빈곤 감소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ref>Howes, Michael; Wortley, Liana; Potts, Ruth; Dedekorkut-Howes, Aysin; Serrao-Neumann, Silvia; Davidson, Julie; Smith, Timothy; Nunn, Patrick (2017).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 Case of Policy Implementation Failure?". Sustainability. 9 (2): 165. doi:10.3390/su9020165. hdl:10453/90953. ISSN 2071-1050.</ref>단기 이익과 장기 생존 가능성 사이에는 상충 관계도 있다.<ref>Berg, Christian (2017). "Shaping the Future Sustainably – Types of Barriers and Tentative Action Principles (chapter in: Future Scenarios of Global Cooperation—Practices and Challenges)". Global Dialogues. Centre For Global Cooperation Research (KHK/GCR21), Nora Dahlhaus and Daniela Weißkopf (eds.). doi:10.14282/2198-0403-GD-14 (inactive 6 March 2024). ISSN 2198-0403.</ref>정치적 압력은 일반적으로 장기적보다는 단기적인 측면을 선호한다. 따라서 그들은 지속가능성 개선을 지향하는 행동에 장벽을 형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