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39번째 줄:
=== 근대적 의미 ===
[[19세기]]부터 국민이 [[주권|주권적 국가]]와 동일시되는 지배적 생각이 유럽을 풍미했으며, 이는 [[국민국가]]라고 불리었다. 이러한 생각 자체는 개별 국민이 개별 국가를 만들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국민주의]]의 [[사상 (철학)|사상]]에서 파생되었다. 19세기 이전에는 근대적인 국민국가의 정의에 부합하는 예시를 쉽게 찾기 힘들다.
 
== 국민개새끼론 ==
[[국민개새끼론]]이 해외에서 화제다. 한국의 국민은 수준이 미개하다. 통계적으로도 입증된 상태로 아시아 국가별 국민의식 수준 순위 비교 2023년(Ranking of national awareness level by Asian country in 2023)에서는 여러가지의 사회적 의식수준을 구체화하여 평가항목으로 나눠 5.0 만점으로 평가했다. 가장 국민성이 높은 국가 순서로 나열해 보면 1위가 [[일본]]이며, 2위가 [[싱가포르]]이다. [[OECD]]국가 중 최하위는 [[대한민국]]이 지정되었다. 또한 '2003년부터 2015년까지 12년째 OECD 국가 가운데 자살률 1위', '빈곤율 49.6%, OECD 회원 국가 중 최하위'로 한국인의 웰빙지수는 51.7점으로 지난해 53.9점보다도 더 낮아져 23개국 중 꼴찌를 기록했다.<ref>[https://www.mk.co.kr/news/economy/8389397 `갈길 먼 불행한 대한민국` 웰빙지수 23개국 중 `최하위`]</ref> 이러한 국민성에는 국민의 90%가 노비 후손이었다는 원천도 있다.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