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권센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이게 팩트지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팩트라고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29번째 줄:
 
== 주요 활동 ==
고문치사 여군중대장에게 멘탈케어서비스 제공
군인권센터는 유엔(United Nations, UN)이 채택한 세계인권선언 등 국제인권법, 국제인도법과 헌법 기타 모든 인권 관련 법률과 규범이 군대 내에서 구현됨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https://mhrk.org/introduce/vision]
 
* 군 인권침해 인터넷 및 전화 상담
* 피해자 및 유가족 트라우마 치유·회복 지원
* 국방 정책 및 예산 모니터링, 연구·개발
*인권연대 활동(국제/국내)
* 아미콜 캠페인 등 군인권 홍보
 
군인권센터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군인권센터에 접수되는 상담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아래 합계는 사건 케이스의 수로 상담 건수와는 차이가 있다. 2011년과 2016년 집계는 불명확하다. 한편, 2019년 5월 설립한 [https://mhrk.org/sexual-abuse/intro 부설 군성폭력상담소]를 통해 군인에 의한 성폭력 사건 피해자(민간인 포함)와 군인인 성폭력 피해자에게 전문적 상담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2년부터는 군인권센터에서 업무 분리가 되었다. 2023년 3월 부설 상담소는 피해자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군인권센터로부터 분리되었다.
{| class="wikitable sortable"
|+사건 접수 현황(피해유형 중복집계)<ref>{{웹 인용|url=https://mhrk.org/notice/annual-report-list|제목=연례보고서|확인날짜=2024-03-29}}</ref>
!연도
!2011
!2012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
|전체 아미콜 상담 건수
|41
|122
|약 518
|1,036
|1,238
|1,669
|1,710
|1,708
|1,348
|-
|구타·가혹(폭언등)
| rowspan="2" |21
|36
|141
|353
|365
|419
|451
|487
|385
|-
|성폭력(폭행,추행,희롱)
|8
|24
|43
|49
|102
|115
|178
|(분리)
|}
대표적 활동으로는 2011년 육군 훈련소 뇌수막염 꾀병취급 사망 고 노 훈련병 유가족 지원, 2012년 '종북 앱' 삭제 지시 인권위 제소 및 이명박 정권 정책 비판 군간부 색출 및 처벌 사건 피해자 지원, 2013년 육군 노 소령의 성추행으로 사망한 고 오 대위 사망사건 및 뇌종양 꾀병취급 사망 신 상병 유가족 지원, [[경기도 연천 의무병 살인사건|2014년 고 윤 일병 사망사건]] 은폐 폭로 및 유가족 지원, 2015년 공군 부사관 집단 가혹행위 사건 피해자 지원, 2016년 국군 청주병원 에탄올 주사 피해자 지원, 2017년 육군 성소수자 장병 색출 사건 피해자 지원, 육군 [[박찬주 (1958년)|박찬주]](대장)의 공관병 갑질 사건 폭로, 2018년 [[국군기무사령부]] 촛불 집회 무력진압 계획 공개(계엄령), 2019년 7군단 훈련 빙자 의료권 침해 등 인권침해 접수 등이 있다. 2020년 국군 최초 공개 성전환 육군하사 고 [[변희수]] 강제전역 사건과 2021년 공군 20비 성추행 피해 고 [[공군 부사관 성추행 피해 사망 사건|이예람]] 중사 사망사건 등도 주요한 지원사건이다.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