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클랜드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영어 링크 정리
→‎결과: ㄹㄹ
태그: 되돌려진 기여 한글 자모가 포함된 편집 요약 시각 편집
45번째 줄:
|작전 =
}}
'''포클랜드 전쟁'''({{llang|en|Falklands War}}, {{llang|es|Guerra de las Malvinas, Guerra del Atlántico Sur}})은 [[1982년]] [[4월 2일]], 아르헨티나가 자국과 가까운 [[포클랜드섬]]을 "수복"하겠다고 선언하며 침공한 전쟁이다. 이 전쟁은 2개월 만에 아르헨티나군의 항복으로 종료되었으며, [[레오폴도 갈티에리]]의 [[군사독재]]는 실각하게 된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이 전쟁을 두고 '''말비나스 전쟁'''이라고 부른다.
 
== 배경 ==
{{출처 필요 문단|날짜=2020-04-01}}
[[아르헨티나]]가 ‘[[말비나스]]’라고 부르는 이 섬은 [[1690년]] [[영국]]의 존 스트롱이 처음으로 상륙한 기록이 있다. [[1764년]] [[프랑스 왕국]]의 [[루이 앙투안 드 부갱빌]]이 처음으로 정착민을 데려와 살게 했다. 이 후, 섬에 정착했던 프랑스 정착민들은 [[1766년]]에 이 섬의 권리를 [[스페인]]에게 판다. 그 후 50년간 영국과 스페인은 이 섬의 일부를 각각 통치하고 있었다.
 
[[1766년]]에 영국인들은 이 프랑스 정착촌의 존재를 모르는 채로 영국 정착촌을 세웠고 프랑스 정착촌을 넘겨받은 스페인과 영국이 [[1771년]] [[전쟁]]을 벌일 뻔하기도 했으나, 영국은 [[1774년]], 스페인은 [[1811년]]에 각각 경제적인 이유로 철수했다. 이들이 철수한 이후 이 섬은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가 되었다. [[1816년]]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아르헨티나는 스페인 식민지에서 벗어나면서 당시 스페인의 영토였던 이 섬도 같이 승계했다고 주장했다.
 
[[1826년]] 아르헨티나는 이 섬의 영유권이 아르헨티나에 귀속된다고 공식 선언한다. [[1828년]]에 아르헨티나는 독일인 상인을 대리인으로써 파견해서 관리한다. 그런데 독일 상인이 불법적으로 어선을 나포하고 해적질하자 자국 어선에 대한 해적질을 처단하고자 미해군 함선 렉싱턴 호가 독일 상인의 기지를 포격해서 파괴한다. 1833년 영국은 해적 행위에 대한 소식을 듣고 주변 해역의 안전보장을 위해서 전함을 보내서 포클랜드 제도를 군사력으로 점유한다.
 
이때 영국이 아르헨티나 식민자들을 내쫓았다는 주장이 최근 아르헨티나 정부에 의해 제기되었으나, 영국과 아르헨티나 양측 소스에서 영국 측이 오히려 식민자들에게 남을 것을 권유했다는 기록이 있어서 부정되고 있다.
 
그 후 100여 년 동안 영국이 이 섬을 지배한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1946년]]에 이 섬의 영유권을 다시 주장하기 시작한다. [[1965년]] [[유엔]]총회는 식민지의 독립을 추구하는 결의(결의 2065/XX)를 채택했다. 영국계 주민들이 대다수였던 이 섬의 주민들은 아르헨티나에 의한 지배를 반대했다.
 
[[1973년]] 아르헨티나가 이 섬에 대해 영유권을 다시 주장하기 시작했고, 평화적인 해결을 권고한 유엔의 결의에 따라 [[1973년]]부터 영국과 협상을 시작했다. 하지만, 협상이 진행되지 않으면서 [[1982년]] 3월, 아르헨티나 정부는 영토 문제 해결을 위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공식 선언한다. 이로써 영국과 갈등을 겪는다. [[1982년]] 4월, 아르헨티나는 이 섬을 '회복'할 것이라고 선언하며 침공한 후 짧게나마 점령에 성공한다.
 
침공의 배경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영유권 때문이라기보다, 아르헨티나의 군사 독재 정권에 의한 내부 문제를 외부의 위기로 해결하려는 고전적인 정치 수단의 일환이었다. 즉, [[인플레이션]]과 [[실업]], 정치 혼란, 강제수용소에 반독재 투쟁인사들을 투옥, 고문한 군사독재정권의 인권침해를 비판하는 목소리 등을 잠재우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는 주장이다.
 
또한, 영국 정부가 남대서양의 끝에 있는 별볼일 없는 섬에 무력으로 개입할 것 같지는 않다는 판단도 무력 점령을 시도한 원인이라는 설도 있다. 실제로 이 당시 포클랜드 주둔 영국군은 [[해병대]] [[코만도]] 소속 수십 명에 불과하였으며, 이들 모두는 [[포로]]가 되었다.
 
== 경과 ==
[[1965년]] 유엔은 아르헨티나와 영국이 영토분쟁에 대해서 합의할 것을 촉구했다. 영국 외무·영연방부(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는 포클랜드 제도가 남아메리카에서 영국 무역에 대한 골치거리이자 장애물이라 여겼고, 아르헨티나에 섬들을 양도할 준비까지 했었다.
 
== 결과 ==
포클랜드 제도의 영유권 주장에 대해서는 국제사회의 의견이 엇갈리거나, 중립을 지킨다. [[영연방]] 국가들은 이 제도에 대한 영국의 영유권을 인정하고 있으나, 이들 중 [[카리브 공동체]] 국가들은 최근 아르헨티나의 입장을 지지함을 밝혔다.<ref name="autogenerated1">{{웹 인용 |url=http://portal2.sre.gob.mx/gruporio/images/STORIES/10_Cumbre_Unidad/Declaracion_Malvinas_en.pdf |제목=Microsoft Word – Declaracion_Malvinas_en |형식=PDF |확인날짜=2010-03-15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0722225854/http://portal2.sre.gob.mx/gruporio/images/STORIES/10_Cumbre_Unidad/Declaracion_Malvinas_en.pdf# |보존날짜=2011-07-22 |url-status=dead }}</ref><ref>{{웹 인용 |url=http://www.caribbeandailynews.com/?p=6996 |제목=Caribbean Daily News, '&#39;CARIBBEAN: Former diplomat concerned about region’s stance on Falklands'&#39 |출판사=Caribbeandailynews.com |날짜=2010-02-26 |확인날짜=2010-06-09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327000936/http://www.caribbeandailynews.com/?p=6996 |보존날짜=2010-03-27 |url-status=dead }}</ref> [[유럽연합]]은 이 곳을 회원국의 특수해외영토로 간주하고 있다.
 
한편 [[페루]]는 아르헨티나의 영유권 주장을 가장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으며, 포클랜드 전쟁 중 물자지원을 하기도 했다. 중남미 제국(諸國)과 그 국제기구들([[메르코수르]](MERCOSUR), [[남아메리카 국가 연합]])은 아르헨티나의 영유권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칠레]]는 포클랜드 전쟁 중 영국의 입장을 지지하였으나,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퇴임 이후에는 아르헨티나의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www.minrel.gov.cl/webMinRel/showNoti.do?noticia=1414&&agina=bajada-noticia-sb.jsp |제목=CHILE REAFIRMA SU POSICIÓN SOBRE ISLAS MALVINAS |웹사이트=Ministerio de Relaciones Exteriores de Chile. |날짜=2004-08-18 |확인날짜=2012-01-06 |archive-date=2008-06-1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80611034947/http://www.minrel.gov.cl/webMinRel/showNoti.do?noticia=1414&&agina=bajada-noticia-sb.jsp |url-status= }}</ref><ref>{{웹 인용 |url=http://www.lacapital.com.ar/2004/06/09/general/noticia_106744.shtml |제목=La OEA convocó a resolver "sin demoras" el conflicto por Malvinas |웹사이트=La Capital. |날짜=2004-06-09 |확인날짜=2012-01-06 |archive-date=2004-11-16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41116105654/http://www.lacapital.com.ar/2004/06/09/general/noticia_106744.shtml |url-status= }}</ref>. 유럽연합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은 아르헨티나의 영유권 주장을 암묵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또한 아르헨티나의 영유권 주장을 공식적으로 지지하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www.mfa.gov.cn/esp/wjdt/gongbao/t717906.htm |제목=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웹사이트=Mfa.gov.cn |날짜=2010-07-13 |확인날짜=2011-11-20 |archive-date=2011-10-0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1002031608/http://www.mfa.gov.cn/esp/wjdt/gongbao/t717906.htm |url-status=dead }}</ref>.
 
[[미국]]은 1940년대 이래 공식적으로 이 제도의 영유권 주장에 대해서 중립적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포클랜드 전쟁 중에는 영국에 대해 물자 및 정보지원을 실시했다<ref>{{서적 인용 |저자=Lawrence Freedman |url=http://books.google.com.ar/books?id=PSsxmXWChqIC&pg=PA379 |시리즈=The Official History of the Falklands Campaign |제목=War and diplomacy |판=II |쪽=379 |연도=2005 |isbn=0-7146-5207-5 |출판사=Routledge |출판위치=Abbingdon}}</ref>
 
[[레오폴도 갈티에리]]는 아르헨티나 자국 내의 언론 통제를 이용하여 자국 국민들에게는 이 전쟁이 아르헨티나의 승리로 끝났다고 거짓말을 했으나 [[마리오 켐페스]], [[디에고 마라도나]] 등 [[198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던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이 [[스페인]]을 다녀와서는 자국 언론과 기자회견을 열어 사실은 영국이 이겼다는 것을 발표했으며 이로 인해 아르헨티나의 군부는 대통령이 계속 바뀐 끝에 [[레이날도 비그노네]]를 끝으로 군정이 종식되었다.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