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61.73.143.157(토론)의 편집을 Bluehill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9번째 줄:
| 상훈 = [[파일:건국훈장1대한민국장.png|x10px]] ([[건국훈장]] 대한민국장,2019)<br>
[[파일:건국훈장3독립장.png|x10px]] ([[건국훈장]] 독립장,1962)
}}순국했다.
}}
{{한국 이름
| 제목 = 유관순
| 한글 표기 = 유관순
| 한자 표기 = 柳寬順
| 개정 로마자 표기 = Yu Gwansu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Yu Kwansun
| 예일 표기 = Yu Kwanswun
| 공식 표기 =
}}
'''유관순'''(柳寬順, [[1902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7일]]) ~ [[1920년]] [[9월 28일]])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고흥 류씨|고흥]](高興)이며 [[일제강점기]]에 [[3.1운동]]으로 시작된 만세 운동을 하다 일본 형사들에게 붙잡혀 [[서대문형무소]]에서 이뤄진 모진 고문으로 인해 순국했다.
 
[[1916년]]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미국인]] [[감리교|감리교회]] 선교사인 [[앨리스 샤프|사애리시]] 부인(사부인)의 추천으로 [[이화학당]] 보통과 3학년에 [[장학금|장학생]]으로 편입하고, [[1919년]]에 [[이화학당]] 고등부에 진학했다. [[3월 1일]] [[3.1 운동]]에 참여하고 [[3월 5일]]의 만세 시위에도 참여하였다. [[조선총독부|총독부]]의 휴교령으로 [[천안]]으로 내려와 후속 만세 시위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가 [[일본 제국|일제]]에 체포되어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형을 선고받고 항소하였고, [[조선총독부 재판소|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아 사형이 확정되었다. 일제의 교도소에서 [[1920년]] [[9월 28일]]에 순국했다.
 
[[1962년]]에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으며, [[1996년]]에 [[이화여자고등학교]]는 명예 졸업장을 추서했다.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용두리의 생가가 복원되어 [[1991년]]에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230호로 지정되었다. [[천안 유관순 열사 유적]]과 천안종합운동장 내 '[[유관순체육관]]'<ref>현재 한국 남자 프로배구 구단인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가 홈 구장으로 쓰고 있다.</ref>은 유관순의 이름을 딴 것이다. 해방 후 [[박인덕]] 등에 의해 기념사업이 추진되었는데, 이 때문에 [[박인덕]] 등이 자신들의 친일 의혹을 덮기 위한 불순한 의도로 이화학당 학생이었던 유관순 열사를 부각시켰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 성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