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239번째 줄:
 
전자 개개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실에서는 [[입자검출기]]라는 기계를 사용한다. 입자검출기는 에너지, 스핀, 전하 등 각 입자의 고유한 특성을 감지하여 입자의 종류를 분석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ref name="grupen2">{{저널 인용|title=Physics of Particle Detection|journal=[[AIP Conference Proceedings]]|last=Grupen|first=C.|year=2000|volume=536|pages=3–34|arxiv=physics/9906063|bibcode=2000AIPC..536....3G|doi=10.1063/1.1361756|s2cid=119476972}}</ref> [[사중극자 이온트랩]]과 [[페닝트랩]]이 개발된 결과 전하를 띈 입자를 아주 작은 공간에 오랫동안 담아두는 것이 가능해졌고, 이를 통해 입자의 성질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페닝트랩을 사용해 전자 1개를 10달동안 붙잡아두는데 성공한 적이 있으며,<ref name="nobel19892">{{웹 인용|url=http://nobelprize.org/nobel_prizes/physics/laureates/1989/illpres/|title=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9|year=2008|publisher=[[Nobel Foundation|The Nobel Foundation]]|access-date=2008-09-24|df=dmy-all}}</ref> 이를 통해 1980년대에는 전자의 자기모멘트를 소숫점 11자리까지 측정하는데 성공했다.<ref>{{저널 인용|title=The isolated Electron|journal=[[Scientific American]]|last1=Ekstrom|first1=P.|last2=Wineland|first2=David|url=http://tf.nist.gov/general/pdf/166.pdf|year=1980|volume=243|issue=2|pages=91–101|bibcode=1980SciAm.243b.104E|doi=10.1038/scientificamerican0880-104|accessdate=2008-09-24|df=dmy-all}}</ref>
 
2008년 2월에는 스웨덴 [[룬드 대학교]] 연구팀이 아토초 단위로 빛을 깜빡여서 전자의 움직임을 촬영하는데에 성공했다.<ref>{{웹 인용|url=http://www.atto.fysik.lth.se/video/pressrelen.pdf|title=Electron filmed for the first time ever|last=Mauritsson|first=J.|publisher=[[Lund University]]|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90325194101/http://www.atto.fysik.lth.se/video/pressrelen.pdf|archive-date=March 25, 2009|access-date=2008-09-17|df=dmy-all}}</ref><ref name="Mauritsson2">{{저널 인용|title=Coherent Electron Scattering Captured by an Attosecond Quantum Stroboscope|journal=[[Physical Review Letters]]|last1=Mauritsson|first1=J.|year=2008|volume=100|issue=7|page=073003|arxiv=0708.1060|bibcode=2008PhRvL.100g3003M|doi=10.1103/PhysRevLett.100.073003|pmid=18352546|display-authors=etal|s2cid=1357534}}</ref> 고체 내에서 전자의 분포는 광전 효과를 통해 고체의 [[푸리에 변환|푸리에 공간]]에 대한 정보인 [[역격자]]를 측정하는 기술인 [[각분해광전자분광]](ARPES)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을 통해 전자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분석해서 물질 내에 전자의 산란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title=Probing the Electronic Structure of Complex Systems by ARPES|journal=[[Physica Scripta]]|last=Damascelli|first=A.|year=2004|volume=T109|pages=61–74|arxiv=cond-mat/0307085|bibcode=2004PhST..109...61D|doi=10.1238/Physica.Topical.109a00061|s2cid=21730523}}</ref>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