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001:2D8:71E1:B23F:A950:8272:C1E4:77E2(토론)의 37335508판 편집을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4번째 줄:
|관련 =
}}
 
'''동지'''(冬至)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서, 태양 황경이 270도가 되는 때이다. 대개 팥죽을 먹는다. 양력에서는 12월 21일 또는 22일이며, 음력에서는 동지가 드는 달을 11월(동짓달)로 한다.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남회귀선]], 곧 적도 이남 23.5°인 동지선(冬至線)에 이르는 때이다. 이때 태양은 가장 남쪽에 위치하는데, [[대한민국]], [[독일]] 등과 같은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며, [[남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다. 추위는 대략 이 무렵부터 강력해지기 시작한다.
 
동지는 [[겨울|겨울]]의 중간 지점이자 1년 중 가장 추운 날로 여겨지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먼저, 이때는 [[지구]] [[북반구]]에서는 [[겨울]]이지만, [[남반구]]에서는 [[여름]]이므로, 지구 전체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려면, '''12월 지점'''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627825&cid=62801&categoryId=62801 동지점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http://wiki.kas.org/index.php/%EB%8F%99%EC%A7%80%EC%A0%90 동지점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태양이 동지점을 지날 때, 지구의 북반구는 겨울이고 남반구는 여름이다. 따라서 북반구에 위치한 우리나라에서는 동지(冬至, extreme of winter)라는 표현이 적당하지만, 모든 지역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12월의 지점(December solstice)으로 표현하는 것이 옳다. 태양이 동지점에 위치하는 날을 동짓날이라고 하는데, 보통 12월 22일 경이기 때문이다.</ref> 동지는 [[북반구]]에서 1년 중 [[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가 가장 낮은 날'''일 뿐<ref>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는 '''"90°-위도+[[적위]]"'''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계산식을 통해 계산하면, 대한민국 서울은 북위 37.5° 이므로, 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는 춘분 (적위 0°) 일 때 +52.5°, 하지 (적위 +23.5°) 일 때 +76°, 추분 (적위 0°) 일 때 +52.5°, 동지 (적위 -23.5°) 일 때 +29° 로, 동지일 때 1년 중 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가 가장 낮다.</ref>, 1년 중 [[기온]](온도)이 가장 낮은 날이 아니다. 대한민국에서 [[24절기]] 중 [[기온]](온도)이 가장 낮은 날은 [[소한]]이다.<ref>[http://www.climate.go.kr/home/bbs/view.php?code=71&bname=scenario&vcode=6511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보고서 (기상청. 2021년 4월 30일 발간)]의 46쪽을 보면, 1991년~2020년까지 최근 30년 평균기온에서, 동지는 3.5℃, 소한 0.8℃, 대한 0.9℃, 입춘 1.0℃ 로, 소한이 24절기 중 기온(온도)이 가장 낮다.</ref>
 
[[파일:Earth-lighting-winter-solstice EN.png|섬네일|동지날 [[태양]]과 [[지구]]의 위치]]
 
== 일출과 일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