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동음이의 링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서울이 인수 매수해서 서울 지역된 서울 지역 시이름 입니다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알찬 글}}
{{좌표|36.119469|128.344381|source:dewiki_region:KR_type:landmark|display=title}}
{{구별|구리시}}
{{다른 뜻 넘어옴|구미}}
{{다른 뜻}}
{{대한민국 시군구 정보
|이름 = 구미시
|대표이미지 = Gumicityhall.jpg
|대표이미지크기 = 280px
|대표이미지설명 = 구미시청 전경
|기 = Flag of Gumi.svg
|휘장 =
|슬로건 =
|지도 = Map Gumi-si.png
|면적 = 615.3
|세대 = 182,645
|세대_조사연도 = 2021년<ref name="pop1">{{웹 인용 |제목=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url=https://jumin.mois.go.kr/index.jsp |웹사이트=행정안전부}}</ref>
|총인구 = 412,581
|총인구_조사연도 =2021년<ref name="pop2">{{웹 인용 |제목=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url=https://jumin.mois.go.kr/index.jsp |웹사이트=행정안전부}}</ref>
|인구밀도 =
|일반구 =
|읍 = 3
|면 = 5
|행정동 = 17
|법정동 = 30
|시장 = [[김장호 (정치인)|김장호]]([[국민의힘]])
|국회의원 = 갑: [[구자근]]([[국민의힘]])<br />을: [[강명구]]([[국민의힘]])
|시청소재지 = 송정대로 55
|홈페이지 = [https://www.gumi.go.kr/main.do 구미시]
|시목 = [[느티나무]]
|시화 = [[개나리]]
|시조 = [[까치]]
|상징동물 =
}}
'''구미시'''(龜尾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다. 시청 소재지는 [[송정동 (구미시)|송정동]]이고, 행정구역은 3읍 5면 17동이다.
 
과거에는 [[선산읍]] 중심의 농업이 산업의 주축이었으나, 경제개발 계획 후 1970년대에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내륙 수출 산업단지를 보유한 도시로 발전했다. [[경상북도]] 내에서는 [[포항시]]에 이어 2번째로 큰 도시다.
 
이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하였으며, [[고인돌]]이나 [[삼국 시대]]를 전후로 형성된 고분군이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신라]]에 [[불교]]가 처음 전해진 해동불교의 성지 도리사를 비롯한 불교 문화와, [[길재]]를 연원으로 하는 이른바 [[영남학파]]의 한 축을 담당한 [[선산읍|선산]] [[사림파|사림]]의 유교 문화는 이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한 지역은 구미 등으로 불리다가, [[경부선]] [[구미역]]의 개설 후 주요 중심지로 부상하였으며 1978년 구미시가 신설되었고 [[1995년]]에 구미시와 선산군을 다시 합쳐 도농복합형 구미시를 설치하고, 구미시선산출장소를 설치함으로써 지금의 구미시가 형성되었다.
 
구미의 남서쪽에 있는 [[금오산 (경상북도)|금오산도립공원]]은 영남 팔경의 하나이다. [[조선 시대]]까지 있었던 금오산성은 [[임진왜란]] 때 [[곽재우]] 등이 활약을 펼친 곳이기도 하다. [[정월 대보름]]에는 [[금오산 (경북 구미)|금오산]]의 금오제단에서 시장이 헌관으로 참여하는 금오대제가 열린다. 또한, [[10월]]경에 [[원평동 (구미시)|원평동]]의 문화로를 중심으로 문화로 거리축제가 열린다.
 
== 지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