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파일:STS-130 Endeavour flyaround 5.jpg|thumb]]
'''궤도 운동'''(軌道運動)은 어떠한 물체가 [[중력]] 또는 [[전자기력]] 등에 의해 움직임을 구속받아 다른 물체 주위를 도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때, 물체가 움직이는 길을 '''궤도'''(軌道, {{문화어|자리길}})라고 한다. [[물리학]]에서 궤도 운동이란 한 물체가 한 점이나 다른 물체 주위를 자연스럽게 곡선으로 도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면 별 주위의 행성의 중력 궤도 운동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행성의 겉보기 운동은 처음으로 여러 원운동을 합친 [[주전원]] 형식으로 이해했었다. 이는 아주 잘맞는 행성의 궤도 예언이었다. [[케플러]] 시대에 비로소 행성의 궤도는 실질적으로 [[타원]] 운동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아이작 뉴턴]]은 이것을 [[역제곱 법칙]]을 통해 해결하였고, 동시적으로 거기에 해당하는 힘은 [[중력]]이라 불리며 널리 퍼졌다. [[아인슈타인]]은 후에 [[일반 상대성이론]]을 이용해 중력이 [[시공간]]을 휘게 만들고, 궤도는 그 위에 놓여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현재 가장 정확하다고 여겨지는 이론이다.
 
== 역사 ==
[[태양계]]의 기하학적 모델 중에서 [[천구]] 모델은 본래 완벽한 구 혹은 테의 모양 속에서 하늘 안에 행성의 겉보기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행성의 정확한 움직임을 측정한 후에 지구를 둘러싼 가상의 원과 주전원과 같은 이론적인 메커니즘이 후에 추가되었다. 하늘에서 행성의 위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주전원들이 요구되었고 행성들이 더 발견됨에 따라 그와 같은 모델로 행성의 운동을 예측하는 것은 점점더 어려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