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정보 책임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psp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Endy Leo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 개요 ==
최근의 경영환경이 정보중심으로 급변함에 따라 정보화문제를 총괄하는 고위직 책임자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를 CIO라 지칭한다. [[미국]]에서는 [[GE]], [[애플]] 등에서 도입했고 [[대한민국]]에서는 [[삼성]]·[[아시아나항공]] 등에서 이 제도를 도입해 실시하고 있다.
경영 전략에 따른 정보 전략이나 IT 투자 계획 책정 등에 책임을 진다. 정보 시스템 부문의 책임자를 겸하는 경우도 많다. 직무상 보고자는 [[최고경영책임자]](CEO)일 경우가 많지만, [[최고재무책임자]](CFO)에게 보고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군사 조직에서는 지휘관에게 보고한다.
 
경영 전략에 따른 정보 전략이나 IT 투자 계획 책정 등에 책임을 진다. 정보 시스템 부문의 책임자를 겸하는 경우도 많다. 직무상 보고자는 [[최고경영책임자]](CEO)일 경우가 많지만, [[최고재무책임자]](CFO)에게 보고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군사 조직에서는 지휘관에게 보고한다.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정보 유출]]을 막는 책임을 지는 기능을 담당한다. CIO의 역할은 때때로 정보뿐 아니라, 지식도 취급하는 [[최고지식책임자]](CKO)로 확장되기도 한다.
이전에는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비교적 적었던 [[임원]]이었지만, [[정보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기업]] 등에 적극 설치하고 있다.
 
CIO에 관련된 명확한 자격은 없지만, CIO 역할을 하려면 [[정보과학]], [[소프트웨어 공학]] 등의 지식이 필요하다. 경영에 관한 지식이나 리더십 등의 경험도 요구된다.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정보 유출]]을 막는 책임을 지는 기능을 담당한다.
 
CIO에 관련된 명확한 자격은 없지만, CIO 역할을 하려면 [[정보과학]], [[소프트웨어 공학]] 등의 지식이 필요하다. 경영에 관한 지식이나 리더십 등의 경험도 요구된다.
 
CIO의 역할은 때때로 정보뿐 아니라, 지식도 취급하는 [[최고지식책임자]](CKO)로 확장되기도 한다.
 
== 관련 용어 ==
줄 23 ⟶ 19:
* [[최고관리책임자]](CAO)
* [[최고지재관리책임자]](CPO)
 
== 참고 문헌 ==
* {{글로벌}}
 
[[분류:경영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