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루지기타령: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변강쇠가' 참조
1번째 줄:
{{판소리}}
'''가루지기타령'''은 [[신재효]]가 정리한 한국의 [[판소리]] 가운데 하나이다. 남자일명 주인공이'''변강쇠타령''', 변강쇠이기 때문에'''변강쇠가''', '''변강쇠타령횡부가'''이라고도(橫負歌)>라고도 부른다한다.
 
이 소리는 《관우희》 중에 들어 있고 판소리 원로의 한 사람이며, 8명창의 한 사람인 송흥록(宋興祿)이 〈변강쇠가〉를 잘 하였다는 서술이 정노식(鄭魯湜)의 《조선창극사》에 보이는 것으로 보아, 1810년 이전부터 불려온 창본임을 알 수 있다.
가루지기타령에서 “가루지기”는 “(시체를) 가로로 (등에) 지다.”라는 뜻인데, 이는 죽은 변강쇠의 장례를 치르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제목이다. {{출처}}
 
내용은 음탕한 변강쇠와 음녀인 용녀의 난음한 생활을 묘사한 것인데, 표면적으로는 성(性)과 육체를 부정한 듯한 내용이면서도 내면적으로는 오히려 그것을 긍정하려는 것같이 보이며, 실학 사상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엿보인다.
 
창본으로는 신재효본이 유일하다.
 
== 신재효본 ==
《변강쇠가》는 신재효가[[신재효]]가 실전(失傳) 판소리 〈변강쇠가〉를 사설로 정리한 것이다. 19세기 후반까지만 해도 판소리로 전승되고 있었던 듯하나 20세기 들어서는 부르는 사람이 거의 없게 되었고, 고소설 형태로도 전환되지 못하고 거의 사라졌다. 유일하게 신재효의 사설만이 전한다. 하지만 이 작품은 창극이나 마당극으로는 종종 상연되며 만화나 영화로도 제작된 바 있다. 여타의 판소리계 소설과는 차별화된 과정으로 이어지고 있는 이유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제시된다.
 
《변강쇠가》는 괴상망측하고 음란한 내용의 작품이다. 작품을 읽어보지 않은 사람들도 주인공인 ‘변강쇠’와 ‘옹녀’는 익히 알고 있다. 그들이 정력가와 색골의 캐릭터로 널리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양반이나 부녀자가 감상하기에는 부적절하게 여겨져 판소리가 확대되는 과정에서 도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 다시 재창조되는 것은 단지 노골적인 주인공 캐릭터 때문만은 아니다. 작품은 조선 후기 사회에서 발생한 유랑민이 유랑에도 실패하고 정착에도 실패하여 패배하고 죽어갔던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변강쇠의 무지와 심술 이전에 그가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안타까운 사회적 현실이 밑바탕에 깔려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