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 로켓: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내용 정리 및 추가 - 관측 로켓에 의한 우주 연구, 《글로벌 세계 대백과》 참조
1번째 줄:
[[파일:Black Brant.jpg|thumb|right|[[블랙 브랜트]] XII가 발사되고 있다.]]
 
'''관측 로켓'''(sounding rocket)은 종종 '''연구 로켓'''(research rocket)이라고도 불린다. [[우주 공간]] 또는 [[고층 대기]]의 과학 관측이나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위하여 장비를 탑재한 [[준궤도]](sub-orbital) 로켓을 말한다.
 
관측 로켓은 수직 방향으로 쏘아올려져서 상승하면서 관측을 하고 낙하 중에도 다 타 버릴 때까지 관측을 계속한다.<ref name="글로벌_1">관측 로켓에 의한 우주 연구,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관측 고도 ==
고(高)고도 대기의 관측은 [[기구]](氣球)에 [[라디오 존데]]를 달아서 날리고, 지상의 [[레이더]]로 기구를 추적하면서 그 흐르는 모양을 살펴보고, 고공(高空)의 바람을 측정함과 동시에 라디오 존데로 온도나 기압에 대한 정보를 보내 오는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기구 존데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고도 30~40km가 한도이며, 또 기구는 곧바로 레이더로 추적할 수 없는 수평선 저쪽으로 이동하므로 관측 범위도 한정되어 있다.<ref name="글로벌_1">관측 로켓에 의한 우주 연구,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관측 로켓은 50 에서 1500 킬로미터를 비행하며, 고도는 [[기상 풍선]](weather balloon)과 인공위성 사이의 고도이다. 기상 풍선의 최고고도는 대략 40 킬로미터이며, 인공위성의 최저고도는 대략 120 킬로미터이다.<ref name=overview>{{웹 인용 | 날짜 = 2006년 7월 24일 | url = http://rscience.gsfc.nasa.gov/srrov.html | 제목 = NASA Sounding Rocket Program Overview | 작품명 = NASA Sounding Rocket Program | 출판사 = NASA | 확인날짜 = 2006년 10월 10일}}</ref>
줄 9 ⟶ 14:
보통의 관측 로켓은 [[고체 연료 로켓]]과 [[페이로드]]로 구성된다.<ref name=what/> [[탄도 미사일]]과 [[준궤도]] 비행을 하는 점이 동일하며, 탄두에 폭탄을 넣는가 과학장비를 넣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탄도 미사일 개발은 국제적으로 규제되나, 관측 로켓의 개발은 그렇지 않다. 준궤도 비행을 하는 관측 로켓(sounding rocket)이 추력을 더 가져서 궤도 비행을 하면 [[우주발사체]]가 된다.
 
== 용도 및 관측 방법 ==
== 연구 ==
관측로켓은 보통 다음에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 [[Aeronomy]](초고층 대기 물리학) 연구.
* 자외선과 엑스레이 측정.
* [[마이크로중력]] 연구.
 
이른바 수직 방향의 종심단면(縱深斷面)의 관측은 관측 로켓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다. 관측 로켓이 아니면 관측할 수 없는 것들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특히 중요한 것은 고층 대기의 연구이다. 기상 로켓은 라디오 존데를 머리 부분에 달고 고도 60~80km까지 상승, 거기서 낙하산을 펴고 존데를 작동시키면서 서서히 강하하면서 관측데이터를 보낸다. 지상 레이더는 이 데이터를 수신하여 낙하산이 흘러가는 방향에서 바람을 측정한다.<ref name="글로벌_1"/>
 
기상 위성처럼 지구면을 내려다보는 꼴로 관측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밖에 로켓을 쏘아올려 나트륨 증기를 고공에 뿌리고, 그 흐르는 모양을 지상에서 관측하는 방법, 그리고 채프라고 하는 얇은 테이프를 고공에 뿌리고 이것을 레이더로 추적하는 방법도 있다. 원거리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리층]](電離層)의 관측을 위해 전리층의 특성을 수평 방향으로 탐색하는 외에 고도별로 이온의 단위 면적당의 수를 관측 로켓으로 자세히 관측하는 방법이 세계적으로 행해졌다.<ref name="글로벌_1"/>
 
[[오로라]]를 보다 자세하게 관측하기 위해서는 로켓을 오로라 속으로 쏘아올려서 조사하기도 한다.<ref name="글로벌_1"/>
 
== 사용국가 ==
* 영국의 [[스카이라크 로켓]] 1955년 설계되었다. 2005년 중단되기까지 400회 이상 발사했다.
* [http://www.rocketlab.co.nz Rocket Lab]은 [[Atea 로켓]]을 개발했다. 고도 250 km 이상에 10 ~ 70 kg 의 [[페이로드]]를 운반한다.
* 호주 우주 연구소([[ASRI]])는 소형 관측 로켓 프로그램(SSRP)을 운영한다. 고도 7 km까지 페이로드를 운반하는 교육용이다.
줄 29 ⟶ 40:
* [[과학로켓 3호]]
 
== 참고 자료 ==
{{reflist}}
{{글로벌}}
 
== 외부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