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켓: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내용 이동
고체로켓과 액체로켓, 《글로벌 세계 대백과》 참조
37번째 줄:
 
실용적인 면에서 로켓으로는 적당하지 않지만 학습용으로 [[물로켓]](bottle rocket) 이 사용된다.
 
=== 추진제에 따른 분류 ===
로켓은 현재까지는 연소화학 반응을 추력발생원으로 하는 화학로켓이 주(主)이며, 추진약의 상태에 따라 다음의 셋으로 나눠진다.
 
==== 고체로켓 ====
{{본문|고체로켓}}
고체추진약을 사용한다. 연소실은 동시에 추진약의 창고가 되며, 구조가 간단하다. 연소가 균일하고 신속하게 전해지도록 추진약 내부에 적당한 형상의 공동(空洞)을 만들어 둔다. 공동의 형태는 연소가 진행되더라도 연소면적이 거의 달라지지 않도록 설계한다. 내부 온도는 2,500~3,000℃, 압력은 40~50기압이 된다.<ref name="글로벌_1">고체 로켓,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액체로켓 ====
{{본문|액체로켓}}
추진약은 액체이며, 로켓모터, 추진약의 탱크와 공급장치,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보통 연료와 산화제를 각각 별개의 탱크에 저장해 두었다가, 펌프 또는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고압의 연소실로 강제적으로 보내어 연소시킨다. 각종 제어장치에서 필요에 따라 추진약의 공급을 조절하고, 이로써 추진력을 제어한다. 그 때문에 고체로켓에 비해서 구조는 복잡하다.<ref name="글로벌_2">액체 로켓,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가스가압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이지만 일반적으로 가스압력이 낮고 지속시간이 짧으므로 추진약의 유량이 제한되며, 큰 추진력은 내지 못한다. 또 추진약 용기는 압력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ref name="글로벌_2"/>
 
대형로켓은 대부분 펌프가압식을 채용하고 있다. 펌프는 다른 계통의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서 터빈을 돌려서 구동한다.<ref name="글로벌_2"/>
 
특별한 경우로서, 연료와 산화제의 양쪽 성질을 가진 단일한 추진약을 촉매 등으로 분해하고 연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구조는 간단하나 추진력이 작고, 보조제어용이라든가 가스발생용 등으로 쓰인다.<ref name="글로벌_2"/>
 
==== 혼합로켓 ====
하이브리드엔진(hybrid engine)이라고도 한다. 고체추진약에다 액체의 산화제(과산화수소·액체산소 등)를 부어넣어서 연소시킨다. 고체만에 의한 것보다 성능이 좋고 또 제어될 수 있다.<ref name="글로벌_3">혼합 로켓,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로켓의 추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