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노인은 겸손한 단어이자 높임말인 '어르신'로 갈음
노인 문제, 《글로벌 세계 대백과》 참조
2번째 줄:
 
[[파일:Dedeler.jpg|250px|thumb|right|upright|[[터키]]의 어르신들 (2010년)]]
'''노인'''(老人)은 [[나이]]가 들어 늙은 사람을 뜻한다. '''어르신'''이라고도 부르나 그 외에도 늙은이, 고령자, 시니어, 실버 등으로 교체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한 나라에 노인이 많으면 [[고령화]]현상이 발생해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과거에는 60세라도 노인으로 불렸으나 현재는 65~70세는 되어야 노인이 된다. 노인만을 위한 시설로는 경로당, 노인정, 노인 대학 등이 있다. 현재 도시보다는 농촌에 어르신들이노인들이 많이 분포한다.
 
== 노인 문제 ==
부모와 아들 부부가 동거하는 복합적인 가족에 있어서도 [[부모]]가 노령에 이르면 그 부양과 공경(恭敬) 같은 문제, 혹은 [[노령화]](老齡化)에서 오는 자기 중심성, 자기 폐쇄성, 활동성의 감퇴, 고독감·시기심·질투심의 왕성화·불평 불만과 같은 심리적 행동적인 것에서 일어나는 오해와 충돌과 같은 가족관계의 불안정성의 문제가 있다. 현대가족에 있어서는 부모와 아들부부가 별거하는 부부가족적 경향이 높아지면서 부양에 대한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다. 또, 심리적·행동적인 면에서 일어나는 가족관계의 문제는 대체로 회피할 수 있을 것 같이 보이지만 반대로 그것을 촉진하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 현대의 가족에 있어서의 노인문제는 특히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ref>노인 문제,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주석 ==
<references/>
 
== 참고 자료 ==
{{글로벌}}
 
{{Commons category|Old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