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erlIw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바꿈: pl:Allel dominujący
불완전 우성, 《글로벌 세계 대백과》 참조 - 일부 수정
1번째 줄:
'''우성'''(優性)은 [[멘델]]의 [[유전법칙]]에서 도입된 단어이다. 서로 다른 대립형질(allele)의 순종끼리 교배한교배하여 잡종 제1대에서 나타나는한 쪽 형질이 나타났을 때 그 형질을 ‘우성’이라 한다. 그리고, 나타나지 않고 숨겨져 있는 형질을 우성이라‘열성’이라 한다.
 
== 완전 우성과 불완전 우성 ==
우성 유전자가 한 개여도 호모, 즉 같은 유전자가 두 개 있는 경우와 동등한 형질 발현 능력이 있으면 표면에 드러나는 형질(표현형)은 부모 중 한쪽과 잡종 제1대가 같아진다. 이것이 ‘완전 우성’이다. 그러나 만약 한 쪽이 절반의 작용밖에 할 수 없다면 잡종 제1대의 표현형은 우성 호모인 부모와 열성 호모인 부모의 중간 형이 될 것이다. [[분꽃]]의 꽃색깔은 그 예로 자주 인용되는데, 이 같은 경우를 ‘불완전 우성’이라 한다.<ref>불완전 우성,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주석 ==
<references/>
 
== 참고 자료 ==
{{글로벌}}
 
{{토막글|생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