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이은하
특이은하(영어: Peculiar Galaxy)는 크기, 모양, 또는 조성이 특이한 은하이다.[2] 특이은하는 은하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만들어진 것이며, 이례적인 양의 먼지 또는 기체를 포함하고 있다. 또 이들은 평범한 은하보다 더 높거나 낮은 표면밝기를 가지며, 아니면 은하핵의 제트와 같은 특별한 징후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다른 은하와의 접근으로 인해 어마어마한 중력으로 크게 불규칙한 모양을 띠곤 한다.[3] 이들은 현재 둘 또는 그 이상의 정상은하(나선은하, 타원은하 등) 사이의 병합의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특이은하는 최근의 과거에 일어난 은하 병합 및 충돌로 인한 것이다. 특이은하는 규칙적인 크기의 나선은하나 타원은하와 비슷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런 은하의 유형과 유사한 특징과 성질들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또한, 충돌 기간에 은하는 하나 또는 두 은하의 은하핵이나 별의 형성 활동을 급증시키는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것이 특이은하의 공통적인 특성이다. 일부 목록에서 특이은하는 "p" 또는 "pec"형으로 표현된다.

ESO 162-17은 용골자리 방향으로 약 4,0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특이은하이다.[1]
1966년에는 홀튼 아르프가 특이은하를 모아 특이은하 성도(Atlas of Peculiar Galaxies)로 목록화하기도 하였다.[4] 아르프는 "이 목록에 수록된 은하의 특이성은 우리가 관측한 너무 멀어서 직접적으로 실험이 불가능한 은하의 기원에 관한 분석을 가능할 수 있게 하도록 섭동, 변형, 상호작용을 의미한다."라고 말하였다.[5]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외부은하의 특이성”. 《www.spacetelescope.org》. ESA/Hubble. 2015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특이은하”. Daviddarling.info. 2007년 2월 1일. 2012년 8월 14일에 확인함.
- ↑ Millis, John P. “특이은하”. 《space.about.com》. About.com. 2014년 1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아르프의 특이은하 목록”. Arpgalaxy.com. 2007년 11월 12일. 2012년 8월 14일에 확인함.
- ↑ “우주의 구조의 형성”. Ned.ipac.caltech.edu. 2012년 8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