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칠곡송림사오층전탑사리장치.jpg

원본 파일(2,375 × 3,000 픽셀, 파일 크기: 7.8 MB, MIME 종류: image/jpeg)

파일 설명

설명
한국어: 1959년 경상북도 칠곡군 송림사 오층전탑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전탑 안에 거북 모양의 석함(石函)이 안치되어 있었는데, 여기에서 전각형 사리탑(殿閣形舍利塔)과 유리잔, 사리병 등이 출토되었다. 사리탑은 금동으로 만들어졌다. 기단 위에 네 기둥을 세우고 보개(寶蓋)를 덮은 전각형이다. 보개는 2단으로 앙련판(仰蓮板), 사격자 투각판(斜格子透刻板) 등으로 장식되었다. 네 모서리에 수식(垂飾)이 늘어졌다. 추녀에는 여러 개의 영락(瓔珞)이 달려 있다. 기단 부분을 보면 넓은 받침 위에 단판(單瓣)의 연꽃 모양을 오려서 중판(重瓣) 형식을 만들었다. 그런 후에 다시 받침을 얹고, 그 위에 난간을 둘렀다. 난간에는 한 면에 두 개씩 중간 동자주(童子柱)를 세웠고, 만자(卍字) 모양의 투각(透刻)으로 장식하였다. 난간 안쪽의 공간에 연화대(蓮花臺)가 있다. 이 연화대 위에 유리잔이 얹혀져 있다. 유리잔은 약간 황색이 도는 투명한 녹색이다. 입이 밖으로 벌어졌고 밑에 작은 굽이 있는 주발 모양의 잔이다. 표면에는 드문드문 유리로 만든 고리가 12개 붙어 있다. 그 속에 옥과 진주를 붙였던 흔적이 남아 있다. 이러한 유리 제품은 아주 희귀한 것이다. 유리잔 안에 사리병이 보관되어 있었는데, 이것 역시 황색이 도는 투명한 녹색 유리로 만들었다. 목이 길고 보주형(寶珠形) 마개로 입을 막았다. 공 모양의 몸체를 하였고, 바닥은 평평하다. 함께 발견된 유물로는 《은제도금수형장식구》, 《금제원형금구》, 《비취곡옥》, 《유리제곡옥》, 《수정제절자옥》, 《유리제옥》, 《유리제곡옥》, 《관옥》. 《상감청자원형합》 등이 있다.
날짜
출처 http://www.museum.go.kr/program/relic/relicDetail.jsp?langCodeCon=LC1&menuID=001005001003&relicID=1924&relicDetailID=7693
저자 국립중앙박물관

라이선스

KOGL Type 1

이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표시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 저작물 변경: 2차적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해야 합니다.

설명

이 파일이 나타내는 바에 대한 한 줄 설명을 추가합니다

이 파일에 묘사된 항목

다음을 묘사함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섬네일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15년 1월 24일 (토) 06:502015년 1월 24일 (토) 06:50 판의 섬네일2,375 × 3,000 (7.8 MB)1987ADUser created page with UploadWizard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위키의 문서 목록

다음 위키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bn.wikipedia.org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문서 목록
  • en.wikipedia.org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문서 목록
  • mt.wikipedia.org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문서 목록
  • vi.wikipedia.org에서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문서 목록

메타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