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혼

결혼 약속의 종료

파혼 또는 법률 용어로 약혼해제, 약혼의 해제약혼을 깨는 일이다.

법률

편집

대한민국 민법 제804조, 대한민국 민법 제805조에서 약혼해제를 다루고 있다. 약혼은 강제이행을 청구하지 못하므로 모든 이유로든 실질적으로 파혼이 가능하나, 정당하지 않은 이유의 경우 배상책임을 지게된다.

  • 제803조(약혼의 강제이행금지) 약혼은 강제이행을 청구하지 못한다.
  • 제804조(약혼해제의 사유) 당사자 한쪽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대방은 약혼을 해제할 수 있다.
  1. 약혼 후 자격정지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경우
  2. 약혼 후 성년후견개시나 한정후견개시의 심판을 받은 경우
  3. 성병, 불치의 정신병, 그 밖의 불치의 병질(病疾)이 있는 경우
  4. 약혼 후 다른 사람과 약혼이나 혼인을 한 경우
  5. 약혼 후 다른 사람과 간음(姦淫)한 경우
  6. 약혼 후 1년 이상 생사(生死)가 불명한 경우
  7. 정당한 이유 없이 혼인을 거절하거나 그 시기를 늦추는 경우
  8. 그 밖에 중대한 사유가 있는 경우
  • 제805조(약혼해제의 방법) 약혼의 해제는 상대방에 대한 의사표시로 한다. 그러나 상대방에 대하여 의사표시를 할 수 없는 때에는 그 해제의 원인있음을 안 때에 해제된 것으로 본다.
  • 제806조(약혼해제와 손해배상청구권) ①약혼을 해제한 때에는 당사자 일방은 과실있는 상대방에 대하여 이로 인한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 ②전항의 경우에는 재산상 손해외에 정신상 고통에 대하여도 손해배상의 책임이 있다.
  • ③정신상 고통에 대한 배상청구권은 양도 또는 승계하지 못한다. 그러나 당사자간에 이미 그 배상에 관한 계약이 성립되거나 소를 제기한 후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같이 보기

편집